-
동남아 최대 금시장, 베트남 금 시장동향
- 트렌드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주성규
- 2022-03-16
- 출처 : KOTRA
-
베트남 투자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안전자산 ‘금’
재물신의 날을 맞아 금 수요 급증
코로나19에 대한 세계적인 트렌드는 ‘예방과 대응’에서 ‘적응과 회복’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처럼 코로나의 여파로 위축되었던 세계 금시장 또한 회복세를 띄고 있으며, 베트남 금시장 역시 회복되어가는 추세이다.
2021년 동남아시아국가(ASEAN) 최대 금시장
세계금위원회(World Gold Council, WGC)에서 발행한 ‘금 수요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코로나로 인하여 전 세계의 연간 금 수요가 현저히 줄어들었으나 2021년에 들어서면서 팬데믹으로 인한 피해가 상당 부분 회복되며 전 세계 총 금 수요가 전년대비 10% 증가한 4,021톤에 달한다고 전했다.
<연도별 세계 금 수요 변화>
[자료: World Gold Council]
이러한 세계 금시장의 회복세와 더불어 2021년 베트남 금 수요 또한 전년대비 상당 부분 회복되었다. 금(금괴 및 주화)에 대한 수요는 31.1톤을 달성하였는데, 이는 동남아시아국가(ASEAN)에서 가장 많은 금 매입량으로 전 세계에서 8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금장식류(보석류) 매입 또한 12톤에 달하였는데, 이는 전년대비 11% 증가한 수치이며, 금과 금장식류를 합친 총 매입량 43톤은 지난해 대비 8% 증가한 수치이다.
금에 대한 인식 및 귀금속 소비 성향
지난해 WGC가 2,000여 명의 베트남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투자자의 72%가 금을 가장 높은 자산가치로 평가하였으며 이어서 저축 36%, 생명보험 34%, 부동산과 토지 24%, 암호화폐 18%가 뒤를 이었다. 또한 금에 투자한 경험이 있는 투자자들의 81%가 금 매입에 대하여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베트남 투자자들이 생각하는 금에 대한 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투자자들이 뽑은 가장 높은 자산가치>
(단위: %)
[자료: World Gold Council]
베트남 일반인들의 귀금속에 대한 소비문화도 활발한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statista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2021년 12월 베트남 연휴 기간 동안 소비자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상품으로 46%의 응답자가 ‘귀금속 및 패션 액세서리’를 뽑으며 4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가전제품, 가구, 장난감 등보다 높은 수치이며 베트남인들의 귀금속에 대한 선호도가 긍정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베트남 연휴 기간 동안 소비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상품 순위>
[자료: Statista]
현지 금 시세 동향
최적의 물가 상승 대응 투자처로 여겨졌던 금은, 2020년 8월 1온스당 2,038.08달러를 달성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금 시세의 급등은 2021년에 3월까지 하향 곡선을 띄었는데이유는 ‘디지털 금’이라 불리는 가상화폐의 등장, 달러화의 강세로 인하여 안전자산으로서의 입지가 좁아졌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2021년 3월부터는 다시 상향 곡선을 띄며 꾸준한 회복세를 보였다.
<2018~2022 금 시세 비교 그래프(3월 3일 기준)>
[자료: Goldprice]
베트남 금 시세 또한 세계 금 시세 동향과 비슷한 형세를 띄고 있는데, 지난해 3월부터 조금씩 상향 곡선을 그리며 회복세 이어갔다. 베트남 금 시세 동향에는 특별한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첫째로는 베트남 금 시세가 국제 금 시세보다 다소 높다는 것이다. 베트남 금 값은 2022년 3월 4일 기준, 세계 금 시세보다 1냥 당 553달러 더 높게 측정되고 있으며 약 19%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 금 값의 차이가 생긴 이유에 대해서 전문가들과 당국의 분석이 엇갈리고 있는데, 전문가들의 경우 국내 공급 부족을 원인으로 꼽은 반면 당국은 유통업체들이 금 가격을 끌어올린다고 주장하고 있다. 둘째로, 베트남은 매년 음력 1월 10일 전후로 금값이 상승하는 동향을 보인다. 이는 베트남 금 구매 풍속인 ‘재물신의 날’의 영향으로 미루어 볼 수 있으며, 올해 역시 음력 1월 10일을 기점으로 베트남 금 시세가 상승하는 동향을 보였다.
<2022년 2월 베트남 금 시세 동향>
[자료: Gia vang - 24H]베트남 재물 신의 날
재물신의 날은 매년 음력 1월 10일에 금을 구매하는 베트남의 문화이다. 베트남 풍속에 따르면 재물 신의 날에 금을 구매하여 재물신의 넋을 달래면 행운이 들어와 모든 일이 잘 풀리고 1년 내내 돈이 넘쳐난다는 내용이다.
<베트남 재물의 신>
[자료: vietnammoi.vn]
재물 신의 날에 금을 구매하는 것은 그저 풍속적인 의미에 그치지 않는다. 베트남은 구정 전으로 쇼핑 비율이 크게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데, 구정 이후 1년 동안 모은 돈을 금 구매에 사용하면서 자산을 비축하고 돈에 대한 낭비를 막아주는 역할 또한 하고 있다.
금에 대한 선호도 상승이 미치는 영향
현재 베트남은 재물신의 날에 그치지 않고 금에 대한 수요와 값어치가 꾸준히 상승 중이다. 가장 주요한 이유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으로 인해 금의 안전자산으로서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며 금을 더욱 선호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금에 대한 고평가는 베트남 금시장이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귀금속 시장의 경우, 아직까지 중국과 인도 시장만큼의 눈에 띄는 성장은 없었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의 귀금속 시장 진출은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금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과 베트남인들의 금과 귀금속에 대한 선호도로 미루어 보아 긍정적인 시장 성장이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물자산 선호 성향은 베트남 금융시장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도 있다. 베트남은 금과 귀금속뿐만 아니라 현물 자산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는데, 지난해 영국 시장정보업체 머천트프로파일(Merchant Profile)에 따르면, 은행계좌를 보유하지 못한 인구 비율이 높은 상위 10개국에 베트남이 69%로 2위를 차지했다. 이는 높은 현금 사용률, 전자결제 보안 불신 등에서 기인한 결과로 베트남인의 은행에 대한 신뢰도가 상당히 낮을 것으로 미루어볼 수 있으며 이러한 동향은 발전하고 있는 베트남 금융시장에 제동을 걸 수도 있다. 이러한 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베트남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우리 기업들은 이러한 베트남의 상황을 고려하여 베트남인들의 은행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마케팅이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World Gold Council, statista, goldprice, Gia vang - 24H, vietnammoi 및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동남아 최대 금시장, 베트남 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양회를 통해 보는 세부정책 분석 ① 탄소중립
중국 2022-03-17
-
2
우크라이나 사태가 스웨덴 경제에 미치는 영향
스웨덴 2022-03-16
-
3
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일본 2022-03-10
-
4
베트남 엔터테인먼트 시장은 블루오션일까?
베트남 2022-03-16
-
5
코로나시대에 살펴본 베트남 전자결제 시장 전망
베트남 2022-03-16
-
6
2022 베트남 디지털헬스·원격진료 시장동향
베트남 2022-03-16
-
1
2025년 베트남 철강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7-07
-
2
2025년 베트남 전자산업 정보
베트남 2025-05-13
-
3
2025년 베트남 섬유의류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11
-
4
2025년 베트남 자동차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02
-
5
2024년 베트남 전력 및 에너지 산업 정보
베트남 2024-12-10
-
6
2024 베트남 건설산업 정보
베트남 202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