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자원대국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개발에도 관심
  • 트렌드
  • 러시아연방
  •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 2017-07-26
  • 출처 : KOTRA

- 세계 신재생에너지 및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산업동향 -

-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잠재성과 그 이유 -

 



□ 신재생에너지 자원 개요

 

™  ㅇ 신재생에너지 자원은 태양열, 풍력, 지열 에너지, 수력, 바이오 에너지로 구성돼 있음. 2015년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총 5512TWh였으며 생산량은 수력 70%(3893TWh), 풍력 15%(826TWh), 바이오 에너지 8%(456TWh), 태양열 5%(256TWh), 지열 에너지 1%(81TWh), 해양(1TWh) 순임.

 

2015년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 자원

external_image

자료원: Irena

 

□ 전 세계 및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자원 사용분포

 

™  ㅇ 전 세계적으로 기존 에너지 자원인 탄화수소가 고갈되고 있으며, 2015년 체결된 파리기후변화협약 이행으로 회원국들은 탄소배출규제 정책을 시행함. 이에 많은 국가들이 탄화수소 에너지 자원을 대체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투자하기 시작함. 아래 지도에 제시된 것과 같이 노르웨이, 뉴질랜드, 브라질 등과 같은 국가들은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음.

 

2015년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자원 사용분포

external_image

자료원: Masters

 

™  ㅇ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자원 평균 사용비율은 8.6%이며(수력 미포함), 러시아 내 신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은 약 0.8~0.9%임. 러시아는 석탄, 석유, 가스 등 자원에너지가 많이 매장돼있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은 현재까지 낮은 수준임. 러시아에서는 주로 화력발전(68%), 수력발전(20%), 원자력발전(11.5%)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발전은 미미함(1% 미만). 하지만 러시아에는 태양열, 풍력, 조력, 지열 등 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는 기존 에너지발전소에 비해 작은 규모임에도 분야별로 분포돼 있음.

 

2016년 러시아 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external_image

자료원: Utmagazine

 

□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잠재력

 

™  ㅇ 태양광 에너지발전의 경우, 러시아 평균 일사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일사량이 높은 지역은 1일 평균 4~5kWŸh/㎡로써, 해당 수치는 세계 태양에너지 발전지역인 독일 남부, 스페인 북부와 비슷한 수준임. 러시아 내 일사량이 높은 지역은 크라스노다르, 로스토프, 카프카스, 알타이, 남시베리아, 극동지역 및 바이칼 지역임.

 

러시아 지역별 일사량

                                                                                                            (단위: kWŸh/)

external_image

자료원: Hevelsolar


™  ㅇ 풍력에너지의 경우, 극동지역의 평균풍속은 6~7m/s로 세계풍력에너지 발전국가인 덴마크의 평균풍속 5m/s보다 높은 수준으로, 러시아가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개발시키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음.

 

러시아 지역별 풍속

                                                                                        (단위: m/s)

external_image

자료원: Super-alternatiwa

 

□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정책

 

™  ㅇ 현재 러시아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음. 러시아 에너지부에 따르면, 향후 2035년까지 계획에 따라 러시아 신재생에너지비율을 2~3%정도로 올릴 계획이며,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35년까지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비율은 최대 19%에 도달할 것으로 밝힌 바 있음.

 

™  ㅇ 2013년부터 러시아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형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산업육성정책을 시행하고 있음. 투자업체가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참가 시, 러시아 정부는 자본지출이 낮은 프로젝트를 선별해 투자업체와 계약을 체결함. 본 계약에 따라 투자업체가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건립할 경우, 러시아 정부는 발전소 수익의 14% 및 향후 15년간 투자업체에 투자비용회수기간을 보증함. 본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러시아산 발전설비를 통한 에너지생산을 목표로 하지만, 풍력과 수력의 경우 러시아산 발전설비가 거의 없으므로 외국산 발전설비를 통해 에너지생산을 함. 본 프로젝트의 주요 참가업체는 T Plus사(러시아), Solar Systems사(중국), Hevel Solar사(러시아), Fortum사(핀란드), Nord Hydro사(러시아)임.

 

□ 신재생에너지 생산설비 구조

 

™  ㅇ 태양광 발전설비 제조업계에서는 중국이 가격경쟁력 우위에 힘입어 1위를 점유하고 있음. 중국이 저가상품을 전 세계로 수출하기 시작하면서 다른 업체에 막대한 피해를 입힘. 최근 2~3년간 독일업체 Solon사·Solarhybrid사·Q-Cells사(한국 Hanwha사는 독일 Q-CELLS를 인수Ÿ합병함)·Solar Millennium사 등 4곳 업체가 파산 및 인수Ÿ합병했고, 미국의 First Solar사 또한 독일 내 현지공장을 폐쇄함. 이외에도 Siemens사 및 Bosch사도 태양광 발전설비 생산을 중단함. 이는 다른 국가에 비해 중국의 설비제조가격이 2배가량 낮기 때문임.

 

  ㅇ 2016년 기준 전 세계 태양광 발전설비 주요 생산업체는 다음과 같음.

    - Hanwha Q-CELLS(한국)

    - JA Solar(중국)

    - Trina Solar(중국)

    - First Solar(미국)    

    - JinkoSolar(중국)

    - Motech(중국)

    - Tongwei Solar(중국)

    - Yingli Green(중국)

    - Canadian Solar(캐나다)

    - Shunfeng(중국)


  ㅇ 러시아 태양광 발전설비 생산업체는 다음과 같음.

    - Hevel(노벨물리상을 수상한 Alferov 박사의 발명품으로 태양광 발전설비 효율성을 높임)

    - Saturn

    - RZMKP

    - Kvant

    - Solnechnyi Veter


™  ㅇ 2015년 대지풍력에너지 설비 주요 생산국은 다음과 같음.

    - Vestas(덴마크)

    - GE(미국)

    - Goldwind(중국)

    - Gamesa(스페인)

    - Enercon(독일)

    - Nordex Group(독일)

    - Guodian(중국)

    - Siemens(독일)

    - Ming Yang(중국)

    - Envision(중국)


™  ㅇ 2016년 연안풍력에너지 설비 주요생산국은 다음과 같음.

    - Sewind(중국)

    - Siemens(독일)

    - Goldwind(중국)

    - Envision(중국)

    - XEMC(네덜란드)

    - GE(미국)

    - Doosan(한국)

    - CSIC(중국)


™  ㅇ 현재 러시아 내 풍력에너지 생산업체가 없기 때문에, 덴마크 Vestas사와 네덜란드 Lagerwey사가 러시아에서 풍력에너지 생산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러시아 정부의 지원을 받음.


external_image

자료원: Newslab


□ 시베리아 지역 신재생에너지 사업 사례 및 전망

 

™  ㅇ 태양광 에너지생산에 가장 적합한 지역은 러시아 시베리아 남부지역임. 시베리아 최대 태양광발전소는 알타이공화국(Kosh-Agachskaya 10㎿), 하카시아공화국(Abakanskaya, 5.2㎿), 알타이 주(Ust-Kanskaya, 5㎿)에 있으며 현재 이르쿠츠크주, 부랴티아공화국, 옴스크주, 알타이주, 바이칼주에 새로운 태양광발전소를 건립 예정임. 야쿠티야공화국은 넓은 대지, 태양광발전소의 복잡한 전력공급방식으로 인해 향후 소형 신재생에너지 자원 발전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됨. 풍력발전소는 러시아 중부 및 극동에 집중돼 있으며 시베리아 지역에는 없음. 향후 2030년까지 시베리아 옴스크주에 풍력발전소를 건립할 예정임.

 

™  ㅇ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은 신재생에너지발전 가능성이 높은 편임.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은 땅이 넓고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으로 중앙집중형 전력계통이 아닌 디젤발전소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음. 하지만 교통이 낙후된 지역에서 디젤발전소를 통한 에너지 생산 시, 높은 비용 및 연료의존성으로 인해 에너지공급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위치에 국한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산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필요함. 대도시의 경우 환경보호정책에 부합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필요함. 현재 시베리아 내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과학연구가 있음에도 생산설비시설이 없음. 그렇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발전된 한국이 러시아 및 시베리아지역에 진출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됨.

 

□ 시사점

 

™  ㅇ 러시아에서는 주로 화력발전, 수력발전, 원자력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발전은 아직까지 미미하나 태양열, 풍력, 조력, 지열 등 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발전 가능성은 높은 편임. 국제적인 변화 추이에 따라 러시아 정부 역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음. 러시아 에너지부에 따르면, 향후 2035년까지 계획에 따라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3%정도로 올릴 것을 목표로 각종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임.

 

™  ㅇ 특히 러시아 내 교통이 낙후된 지역에서 디젤발전소를 통한 에너지 생산 시 높은 비용 및 연료의존성으로 인해 에너지공급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리적 위치에 국한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산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유력한 대안임. 화석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러시아의 특성상 근시일 내에 빠른 발전을 어려울 수 있으나, 교통이 낙후된 지역을 중심으로 틈새시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Irena, Masters, Minenergov, Utmagazine, Kommersant, Hevelsolar, Super-alternatiwa, Altenergiya, Pv-tech, Energylogia, Econet, Newslab, Madenergy, Tayga 등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자원대국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개발에도 관심)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