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UAE 식품 수출 가이드
  • 통상·규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미진
  • 2015-01-13
  • 출처 : KOTRA

 

UAE 식품 수출 가이드

- UAE 식품시장규모 증가에 따른 수출기회 증가 -

- 수입관련 주요 규정 숙지해야 -

 

 

 

□ UAE 식품시장 동향

 

 ○ UAE는 GCC 국가 중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식품소비시장을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식품을 수입에 의존함.

  - 인구 증가에 따른 내수뿐 아니라 UAE 내에서 간단한 가공을 거쳐 인근지역으로 재수출하기 위한 식·자재 수요 또한 늘면서 식품 수입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UAE 식품시장 규모

             (단위: 백만 디르함)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시장규모

39,152.3

40,177.1

42,311.4

44,335.6

47,012.5

50,267.8

주: Grocery Retailer 기준; 식품, 음료, 담배와 같이 매일 이용하는 식료품 기준

자료원: 유로모니터

 

 ○ UAE의 주요 수입대상국가는 인도, 브라질, 미국, 캐나다 등이며 한국의 경우 전체 수입액의 4%인 4억7000만 달러를 차지함.

 

2012년UAE 식품 수입대상국

순위

국가

수입액(백만 달러)

수입 비중(%)

 

전체

12,913

100

1

인도

1,621

13

2

브라질

1,242

10

3

미국

1,099

9

4

캐나다

622

5

5

호주

554

4

6

한국

475

4

7

뉴질랜드

430

3

8

중국

426

3

9

영국

371

3

10

파키스탄

359

3

자료원: 두바이 상공회의소

 

□ 식품 수입관련 연방정부 차원의 규제 부재

 

 ○ UAE 식품수입은 꾸준히 증가하나 이를 관리할 연방차원의 규제기관이 부재함.

  - UAE로 식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토후국별로 운영 중인 각각의 기관 규정에 따라 사전 승인절차를 거쳐야 하나 아부다비와 두바이를 제외한 나머지 토후국의 위생관리는 매우 허술한 수준으로 알려져 있음.

 

UAE 토후국 별 식품위생 관리기관

토후국명

기관명

아부다비

Abu Dhabi Food Control Authority

두바이

Dubai Municipality(Food Control Dep.)

샤르자

Sharjah Municipality(Dep. of Public Health)

아즈만

Ajman Municipality(Public Health & Environment Dep.)

움알콰인

-

라스알카이마

RAK Municipality( Health Dep., Department of Food Control)

푸자이라

-

주: 움알콰인과 푸자이라의 경우 Municipality홈페이지에 Food Control Section 정보가 없어 기입하지 않음.

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 UAE 표준 측량청인 ESMA에 따르면, 2014년 12월 초 기준, 식품에 대한 연방정부 차원의 강제 인증은 없다고 함.

  - 2014년부터 UAE 연방식품법을 시행할 것이라는 언론보도가 있었으나 12월 현재에도 향후 시행 계획만 보도되고 있어 발효가 지연되는 것으로 보임.

  - ESMA 측 담당자에 따르면 현 단계에서는 ESMA에서 부여하는 할랄인증마크를 식품의 포장에 표기해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고자 한다면 인증취득은 가능하나 강제사항은 아님.

 

□ 두바이 식품수입절차

 

 ○ 두바이로 식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두바이 정부(Dubai Municipality, DM)의 식품부서(Food Control Department)의 규정을 따르고 수입 전 사전승인절차를 시작해야 함.

  - DM은 식품의 수입과 재수출관리에 FIRS(Food Import Re-Export System)이라는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 식품교역과 관련된 모든 서비스를 제공

  - 세계 어디서든 온라인을 통해 신청서를 접수, 첨부파일 제출 및 수수료 납부가 가능하며 모든 식품정보는 바코드와 연계돼 관리됨.

  - 두바이의 식품 수입은 식품관련 사업자 등록증을 보유한 UAE 사업자와의 계약 → DM의 E-government에 회사정보 입력 → FIRS 활성화 → 식품라벨 승인(단, 식품 종류에 따른 예외 적용) → FIRS상에 식품정보와 바코드 등록  → 수입 통관 → 현지 판매의 기본 절차를 따름.

  - 모든 포장식품의 라벨에는 아래의 사항을 표기해야 함.

   1. 브랜드명

   2. 상품명(간단한 상품 묘사)

   3. 식품 원료(함량에 따른 내림차순)

   4. 생산일자 및 유효기간

   5. 제조사명, 포장회사, 수입자 혹은 에이전트 명

   6. 순 중량

   7. 수입국

   8. 상품 바코드

   9. 제품번호

   10. 저장방법의 특이사항

   11. 과민성 질환 유발 가능한 원재료 포함 여부

   * 모든 라벨은 아랍어로 명기돼야 함.

 

 ○ 화물이 두바이에 도착하기 전 수입업체는 신청서를 FIRS를 통해 제출, 관련 절차를 시작해야 하며 화물을 인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서류가 필요함.

  - 내수시장용 수입식품의 수입 시 제출 된 서류심사와 실질적인 화물검사가 진행되며 컨테이너 도착 시 상품에 대한 실사 및 라벨과 일부 품목에 대한 샘플검사가 이루어짐.

   1. B.E: 원산지, 상품정보, 가격 등을 포함하는 세관서류

   2. D.O: 화물이 도착 시 해당 항구 관리청에서 발행

   3. 패킹리스트(Packing List): 수입상품목록, 수량, 무게, 수입자 이름과 주소, 인보이스, 검역증명서번호 등을 명기

   4. 검역증명서(Health Certificate)

   5. 할랄 증명서: 육류나 가금류 성분 포함 시

   6. 요청 시 기타 인증서(예: 무 GMO, 무 다이옥신)

 

필수 서류 예시

 B.E

D.O

패킹리스트

자료원: DM

 

 ○ 육류, 가금류 가공식품을 두바이로 수입할 경우 수입 승인을 위한 할랄증명서를 제출해야 함.

  - 두바이 정부는 육 가공 식품에 대한 인증서의 제출 유무를 확인하며 식품이 할랄인증을 받기에 적합 여부는 인증서 발급기관에서 대행함.

  - 이 증명서는 UAE Ministry of Environmental & Water에서 인정하는 기관에서 발급돼야 하며 한국 기관은 포함돼 있지 않음.

  - 국내 산업 관계자의 인터뷰에 따르면 주로 한국에서는 3~4개의 기업이 일종의 그룹을 형성, 인근국가 기관인사를 초청해 동시에 할랄인증 심사를 받음으로써 경비를 절약하고 있다고 함.

 

DM 인정 할랄인증서 발행기관

국명

기관명

중국

China Islamic Association

싱가포르

Majlis Ugama islam singapura - Islamic Religious Council of Singapore

말레이시아

Department of Islamic Development Malaysia (JAKIM)

주: 2014년 11월 기준 인정기관 전체 리스트 별도 첨부함.

자료원: DM

 

□ 시사점

 

 ○ UAE 정부는 연방법 제정을 통해 토후국별로 독자적으로 진행하는 식품위생관리를 일원화해 연방차원에서 관리할 계획을 밝혔으나 2014년 12월 현재까지 시행되지 않음.

  - 두바이를 비롯한 UAE로 식품 수출을 계획할 경우 토후국별로 관리감독기관과 규정을 숙지한 후에 통관절차를 진행해야 함.

  - 아울러 연방차원의 식품위생관리에 대한 논의가 꾸준히 진행 중인 바, 우리 수출업체의 관심과 준비가 요구되는 시점임.

 

 ○ 주UAE 말레이시아 대외무역개발공사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산 식품의 경우 이슬람국이라는 국가 이미지의 특성 상 UAE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데 어려움이 없으나 비이슬람 권으로부터 수입된 식품의 경우 교리에 어긋난 식품원료를 포함했을지 모른다는 막연한 의문으로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함.

  - 최근 UAE 내의 한국 교민이 증가하고 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돼 진출 가능성이 커지는 것은 사실이나 비 할랄식품에 대한 종교적 거부감이 존재하기에 의무사항이 아니라 하더라도 할랄인증을 통한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추천함.

 

 

자료원: Dubai Municipality, Gulf News, 유로모니터, 두바이 상공회의소 외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식품 수출 가이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