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UAE, 2016년 하반기 경제 전망
  • 경제·무역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미진
  • 2016-08-19
  • 출처 : KOTRA

 

UAE, 2016년 하반기 경제 전망

- 주요 경제지표, 경제성장 둔화 전망 시사 –

- 저유가 장기화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리스크 관리 필요 -

 

 

 

□ 거시경제 동향

 

 ○ 장기화 되고 있는 저유가의 영향에도 2016년 하반기 UAE 경제 전망은 비교적 안정을 보일 전망

  - 저유가는 UAE 수출규모 축소와 GDP 성장률 둔화, 아울러 정부지출이나 소비자의 구매력 감소로 이어지면서 소득과 소비양상, 소비심리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반면, 그간 축적해온 재정 흑자폭이 부정적인 효과를 상쇄할 뿐 아니라, 젊고 부유한 인구분포와 회복되고 있는 외국인 투자유입 등은 완충재로 작용하고 있음. 특히 2020년 10월~2021년 4월까지 거행될 두바이 엑스포 2020은 호텔 및 관광산업에 큰 호재가 될 전망

 

UAE 경제 SWOT 분석

 - 중동 및 아프리카에서 4번째로 큰 경제규모(2015년 기준)

 - 경제 둔화에도 낮은 국가채무

 - 정부 차원에서 산업다각화 위한 노력 지속

 - 두바이 엑스포가 경제 활성화에 미칠 긍정적 영향

 - 에너지 자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로 유가하락에 따른 영향 과도

 - 외국인 노동력에 의존하는 경제구조

 - 지속적인 저유가

 - 준조세 상승 등에 따른 기업비용 상승

자료원: 유로모니터

 

 ○ IMF는 UAE의 2016년 경제성장률을 2.3%로 전망

  - 저유가에 따른 석유부문의 성장 둔화

  - 긴축재정과 금융기관의 유동성 부족, 달러 강세 등이 비 석유부문의 성장도 둔화시키는 것으로 분석함.

 

 UAE 경제성장률 전망

                        (단위: %)

 

2013

2014

2015*

2016**

2017**

실질GDP성장률

4.7

3.1

4.0

2.3

2.5

- 석유부문

2.9

0.8

4.6

2.0

2.0

- 비 석유부문

5.6

4.1

3.7

2.4

2.7

주: * 추산, **예상

자료원: IMF

 

□ 통화지표 동향

 

 ○ 물가상승, 금융기관의 유동성과 은행 수익성 감소 등의 통화지표는 가계경제 및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상승 등의 부담으로 연결될 수 있음.

  - 각종 보조금 철폐와 주택임대료, 관리비 등의 상승으로 인해 2015년 물가상승률은 2008년 이후 최고치에 달함(2015년 4.1%, IMF).

  - 광의적 개념의 통화공급 지표인 M2*가 지난 3월부터 지속적 감소세를 보이며 유동성 감소를 대변함. (2016년 6월, 3월 대비 -3.1%)

  - 뿐만 아니라, 1달러당 3.7로 고정된 달러 대 자국통화 디르함의 고정환율제의 차용은 미국의 금리인상이 UAE 경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UAE 통화공급지표 현황

            (단위: 백만 디르함)

2016년

3월

4월

5월

6월**

M2*

1,218,494

1,203,120

1,186,437

1,180,418

주: * 현금+요구불예금+저축성예금. **중앙은행 예상

자료원: UAE 중앙은행

 

□ 수출입 동향

 

 ○ 2016년 UAE 수출은 세계 경기 침체에 따른 교역량 감소, 저유가로 인한 수출액 감소, 자국통화 강세 등의 이유로 2013년 대비 18.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특히 UAE는 OPEC(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과 GECF(Gas Exporting Countries Forum) 회원국으로, 에너지 자원 수출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아 유가하락은 수출액 감소로 직결될 수밖에 없음.

 

 ○ 2016년 총 수입액은 전년대비 3.5% 증가했으나, 재수출액이 꾸준히 늘어나는 점에 비하면 내수가 총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증가는 미미한 수준임.

  - UAE는 세계 3대 재수출국이며, 특히 두바이는 역내 운송허브로 재수출에 큰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가라앉는 내수와 재수출이 수입 증가 둔화로 연결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UAE 수출입 동향

            (단위: 십억 달러)

 

2013

2014

2015*

2016**

2017**

   수출과 재수출

371

343

300

304

323

     - 석유부문

129

102

61

55

65

     - 비 석유부문(재수출 제외)

104

101

104

110

116

   수입

230

235

224

232

242

   무역수지

74.1

40.3

12.3

5.3

12.2

주: * 추산, **예상

자료원: IMF

 

□ 정부재정 동향

 

 ○ 그간 쌓아온 재정흑자로 운용되는 국부펀드의 영향으로 UAE의 국가채무는 낮고 비교적 건실한 재정상태를 유지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음.

  - 그럼에도 UAE 최대 국부펀드인 아부다비투자청(ADIA, Abu Dhabi Investment Authority)의 2014년 총자산은 5000억 달러에서 2016년 4750억 달러 규모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아울러 ADIA의 20년 장기투자 수익률은 2015년 말 기준 6.5%로 전년의 7.4%에 비해 다소 하락하는 등 유가하락, 세계적 경기침체에 따른 채권시장의 수익률 악화, 신흥시장 경기침체 등이 UAE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2009년 유가하락에 따른 정부수입 감소로 사상 첫 재정 적자를 경험한 이후 다시 돌아온 저유가에 대비하는 UAE 정부 대처는 단호함.

  - 2015년 8월 이후 연료에 대한 보조금 제도를 개편하고, 2016년 1월 물과 전기요금제도 정비를 통해 상승한 요금을 부과하고 있음.

  - 아울러 비 석유부문 수입강화를 위해 준조세의 인상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5%의 부가가치세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시사점 및 전망

 

 ○ IMF는 2016년 세계경제 성장을 3.1%로 전망한 가운데, 중동과 북아프리카(MENAP)의 평균보다 조금 높은 3.4%로 전망

  - 최근의 유가 반등세가 지역 내 산유국 경제에 긍정적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함.

  - 특히 UAE의 경우, 2016년 2월 UAE-인도 간 체결된 상호협정으로 양국 간 교역 확대가 예상됨.

  - 이란시장 개방에 따른 UAE의 전략적 입지 강화 및 브렉시트로 영국-GCC 간 FTA 체결이 기대되는 등 2016년 하반기 경제 전망에 희소식 또한 존재함.

 

 ○ IMF는 UAE의 에너지보조금제도 개편, 세제 개혁 등 그간의 재정다각화 노력을 환영하면서도 지속적인 노력을 촉구함.

  - 이에 부가가치세 및 법인세 도입, 외국인 투자지분 제한 변경 등의 기업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법안들이 연내 도입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 특히 미국 금리인상 움직임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UAE 경제에 크게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외부 경제에 민감한 UAE 진출을 위한 리스크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시점임.

 

 

자료원: IMF, 유로모니터, UAE 중앙은행, UAE 연방통계청, ADIA, 걸프뉴스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2016년 하반기 경제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