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사우디 색조화장품시장, 직장여성 증가로 일반화
  • 트렌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Osama Alhajouj
  • 2016-04-20
  • 출처 : KOTRA

 

사우디 색조화장품시장, 직장여성 증가로 일반화

     

     

     

□ 사우디 화장품 시장 개요

     

 ○ 사우디는 GCC국가 중 가장 큰 규모의 화장품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유로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2015년 말을 기준으로 전체 시장규모는 52억1000만 달러로 중동 전체 시장의 19.2%를 차지했음.

 

 ○ 사우디의 화장품 시장 규모는 보고서마다 큰 격차를 보이고 있으나,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48억 달러, 2015년 52억1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8.5%가 증가해 이전의 추세에 비해 증가율이 다소 둔화됐음.

 

사우디의 연도별 화장품 판매 증가율

                                    (단위: %)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10.2

11.9

12.8

12.1

12.2

8.5

자료원: 유로모니터

 

 ○ 품목별로는 2015년 말을 기준으로 향수제품이 17억 달러, 모발화장품이 약 7억 달러, 피부 화장품이 6억3500만 달러, 색조화장품이 5억 달러 순임.

 

사우디의 연도별. 품목별 화장품 판매현황

                        (단위: 백만 리얄)

품목

2011

2012

2013

2014

향수

3,882.80

4,468.00

5,105.20

5,845.40

모발화장품

1,726.90

1,943.80

2,176.60

2,440.00

피부화장품

1,683.90

1,861.50

2,048.10

2,253.00

색조화장품

1,244.00

1,400.30

1,563.40

1,746.50

구강용품

881.50

979.60

1,083.50

1,200.60

치약치솔류

871.40

969.20

1,072.80

1,189.40

목욕용품

864.60

962.70

1,067.40

1,184.00

기타

1,520.10

1,716.50

1,913.30

2,133.40

합계

12,675.20

14,301.60

16,030.30

17.992.30

            자료원: 상동   

          

 ○ 가장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분야는 향수 분야로, 전년대비 15%의 성장세를 보임. 이어서 모발화장품 12%, 색조화장품 11.7%, 목욕용품 10.9%의 순을 보이고 있음.

  

□ 색조화장품 시장 및 수요동향

     

 ○ 사우디의 색조화장품 시장규모는 2015년 말을 기준으로 약 5억 달러이며, 매년 10% 이상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사우디는 이슬람교 중심국가로 전통적으로 여성들이 색조화장품을 소비하는 것에 대해 금기시 해왔으나, 최근 직업여성의 증가, 생활방식의 서구화, 도시화의 진전, 방송매체 및 SNS의 영향, 유아 및 청년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색조화장품의 소비가 점차 일반화돼 가고 있음.

     

 ○ 색조화장품 분야의 선두주자는 프랑스이며, 고급 이미지를 구축한 브랜드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음. 특히 Clinique(Estee Lauder), Maxfactor(Modern Products), Lancome(Lancome Perfumes Beaute), L'oreal(L'oreal Group), Yves Saint Laurant(Yves Saint Laurant Parfumes), Dior(Christian Dior) 등이 소비자들의 선호 브랜드로 높은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이 전체 수요의 73%를 점유하고 있음.

  

브랜드별 연도별 사우디 색조화장품 시장점유율

 자료원: 유로모니터

     

 ○ 색조화장품 중 가장 급격한 매출을 보이고 있는 분야는 눈화장 부문임. 사우디 여성은 종교적인 관습에 따라 눈을 제외한 부분은 검은 천으로 가려야 함. 따라서 유일하게 노출이 허용되는 눈화장 용품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임.

  

 ○ 따라서 아이라인과 음영처리를 위한 화장펜과 색조화장의 수요가 많으며, 기타 얼굴용 색조화장도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음. 특히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과 위성채널의 시청은 외국에서 개발되는 신규 화장품 정보를 신속하게 사우디 소비자들에게 전달하고 있어 색조화장품의 수요 증가의 주요 원인임.

     

 ○ 사우디 여성들이 연간 화장품 구입에 지출하는 금액은 약 3800달러로 세계 정상급이며, 직업을 가진 여성들의 경우 소득의 70% 이상을 화장품 구입에 소비할 정도로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와 집착이 큰 편임.

     

 ○ 사우디 여성들이 화장품을 구입하는 동기는 크게 사교적인 파티와 결혼식 참가를 위한 것임. 특히 결혼식 참가를 위해서 평균적으로 지출하는 비용은 300달러를 상회하며, 자신이 결혼하는 경우 지출하는 비용은 3000달러 이상인 것으로 조사됨.

 

사우디의 화장품 쇼핑몰

자료원: Google Image

     

□ 화장품 인증 및 통관절차

     

 ○ 동남아의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등 몇몇 이슬람국가들은 화장품에도 할랄 인증제를 도입해 시행 중이나 사우디는 아직까지는 화장품 수입조건으로 할랄 인증을 요구하지는 않음.

     

 ○ 사우디의 화장품 수입절차는 일반 공산품과 유사하나 화장품 특유의 수입 전 검사제도를 시행하며 그 절차는 다음과 같음.

     

 1) 품목에 대한 분류 확인

  - 사우디는 화장품 수입에 사전 등록이 불필요함. 다만 조만간 사우디 식약청(Saudi Food and Drug Authority : SFDA)은 사전등록제를 도입하기 위해 전자등록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음.

  - 화장품 중 상당수 품목은 국별로 분류가 상이해 사전에 의약품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함.

     

 2) 통관서류 구비

  - 사우디 세관의 통관을 위해 구비해야 할 서류는 다음과 같음.

  ① 제조업자에 의해 발행된 상업송장(Payment Bill)

   원산지 증명서

   선하증권 사본

   화장품을 위한 창고증명서

   지정대리인의 상공회의소 등록증 또는 에이전트 계약서

   검사기관 발행 확인서(Interteck, SGS, TUV, Cotecna)

   eCosma 신고번호

  - 검사기관 확인서: 사우디 세관통관을 위해서는 SASO 인증 확인서가 요구됨. 검사기관 확인서는 사우디로 수입되기 이전 사우디 식약청이 인정하는 기관으로부터 사전 검사를 필했다는 증거서류임. 이 서류를 발행할 수 있는 기관은 Interteck International Limited, Socirte Generale de Surveillace-SGS, TUV Rheinland, Cotecna 등 4개 회사임. 만일 수출국의 검사기관이 부재한 경우에는 수입업자가 샘플 일부를 사우디 식약청에 제출, SASO 규격에 부합하는지를 판명받아야 함.

  - eCosma 신고번호: eCosma란, 사우디로 화장품을 수입하고자 하는 수입업자와 제조사가 해당 제품이 사우디의 공산품 표준규정(SASO)을 충족하고 성분에 유해성이 없으며 결함이 없음을 신고하는 전자 통신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임.

     

 3) 통관 및 물품인도

     

□ 효과적인 시장 진출전략

     

 ○ 사우디의 색조화장품 시장은 아직 우리 업체들에는 생소한 분야이며, 우리나라 제품의 진출은 거의 전무한 편임. 그 이유는 사우디나 중동에서 소비되는 제품과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사양이나 스펙이 상이하기 때문임.

     

 ○ 따라서 사우디를 비롯한 중동의 색조화장품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현지인들의 기호와 특성을 잘 파악해 현지 시장에 적합한 제품 개발을 선행해야 함.

 

 ○ 최근 사우디를 비롯한 UAE 등은 젊은 여성층을 중심으로 한류 영향에 따라 화장품과 액세서리 식품 등에서 우리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급상승하고 있음. 이미 기초화장품 분야에서는 상당한 매출을 보이는 단계임.

         

 ○ 따라서 기초화장품에서 얻은 좋은 평가를 색조화장품에도 확대 적용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며, 현지인들이 즐겨 사용하는 색상과 습성을 파악해 점진적으로 시장을 확대시키는 마케팅이 필요함.

     

 ○ 사우디 시장 진출의 성공 여부는 무엇보다도 역량 있는 에이전트를 선정하는 것임. 에이전트로서 가장 중요한 점은 전국적인 유통 네트워크를 보유하며, 화장품 유통 분야에서 영향력이 있는 업체가 최적의 파트너 조건임.

     

 ○ 만일 에이전트가 자체적인 유통 네트워크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외부 납품형태의 직·간접적인 화장품 유통 능력이 요구됨. 사우디에서 화장품의 주된 유통채널은 헬스클럽과 뷰티샵 등 전문시설, 화장품 및 미용용품 전문 상점, 대형 슈퍼마켓, 약국 등임.

     

 ○ 아울러 화장품 전문 매장을 패키지화해 진출하는 프랜차이즈 화장품 브랜드점 진출도 고려할 만함. 이미 몇몇 국내화장품 프랜차이즈가 진출해 있으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선례를 잘 분석해 체계적인 진출이 필요함.

  

     

자료원: 유로모니터, BMI, Reeds International 및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 색조화장품시장, 직장여성 증가로 일반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