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6년,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이 떠오른다
  • 트렌드
  • 중국
  • 난징무역관
  • 2016-01-19
  • 출처 : KOTRA

 

2016년,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이 떠오른다

- 증시 부진 속 신에너지 자동차 관련 주만 ‘화색’ -

- 중국 정부의 풍부한 지원정책이 시장 활성화의 핵심동력 -

 

 

 

□ 2015년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현황

 

 ○ 2015년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은 17만 대를 넘어서며 전년대비 2배 성장했으며, 2011년 8159대와 비교했을때 불과 4년 만에 규모가 약 20배 이상 증가

  - 특히 최근 2년간은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이 떠오르는 해로, 매년 전년대비 2~3배의 규모로 판매량 증가

  - 2015년 8월부터는 판매량이 급증하며 매달 4000대 이상이 팔리는 기록을 세움. 12월은 전년동기대비 1만 대 이상의 판매량인 3만7137대가 팔려 시장의 열기가 뜨거움을 확인

 

 

  - 정부 차량의 30%를 신에너지 자동차로 구입하기로 하면서 승용차, SUV 등 기본적인 자동차뿐만 아니라, 신에너지 버스의 이용량도 급성장. 2015년 신에너지 버스는 이미 중국 전체 버스의 23.51%를 차지했으며 총 3만7363대에 달함.

  - 중국 내 신에너지 버스 이용률 1위인 장쑤성은 성내 버스 중 신에너지 버스가 차지하는 비율이 40%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임.

 

 ○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브랜드의 활약

  - 중국 자동차 브랜드인 BYD는 2015년 1~10월까지 총 4만3069대를 판매했고, 동기 대비 222%의 성장률을 보이며 세계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판매율 1위를 달성함. 이는 일본의 닛산(NISSAN), 미국의 테슬라, 독일의 BMW의 판매량을 넘어선 수치임.

 

  - BYD 외에도 KANDI(康迪), ZOTYE(泰) 등 중국 자동차 브랜드가 세계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율 10위에 이름을 올림.

 

 

  - 2015년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은 전 세계 판매량의 20%를 차지하며 3위를 기록함. 유럽, 미국, 일본과 더불어 전 세계 신에너지 자동차 소비의 핵심국가로 자리 잡음. 이는 2009년 중국이 신에너지 자동차를 본격적으로 생산한 이래로 정부의 판매 촉진에 힘입어 얻은 결과임.

 

□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의 부상 배경

 

 ○ 중국의 심각한 환경문제

  - 2015년 아시아개발은행과 칭화대학의 환경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대기오염이 심각한 도시 10개 중 중국의 도시가 7개를 차지. 또한 중국의 500개 대도시 중 WHO 공기질량기준을 통과하는 도시는 1%도 안 됨.

  -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내연기관 자동차의 배출가스(약 30%)가 주목돼 국가적 차원에서 저탄소 운송수단에 대한 지원을 하기로 결정

 

  - 중국 정부는 “더 이상 환경을 담보로 경제성장을 이끌어갈 수 없다”고 밝히며 대기오염 절감과 관련된 신에너지 교통수단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것임을 발표

 

 ○ 중국 연료자동차 브랜드의 고전

  - 중국은 2009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에 등극함. 2013년 단일 국가 최초로 판매량 2000만 대를 돌파한데 이어 2014년 2350만 대, 2015년 2500만 대의  판매대수를 기록

  - 그러나 중국 내수시장에서 중국 현지 자동차 브랜드의 점유율은 매년 가파르게 급감하고 있음. 소비자의 소득수준과 눈높이가 높아지는 반면, 중국 현지 제조사들은 글로벌 업체의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임.

  -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신성장산업인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이 일반 자동차 시장에 비해 성장공간이 충분하다고 판단, 중국 자국 브랜드의 독보적 위치를 선점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음.

 

 ○ 높은 원유 해외의존도

  - 중국석유경제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의 원유 해외의존도는 2014년 59%를 기록한데 이어 2015년에는 60%를 넘어섬. 이 중 휘발유 소비량의 85%, 디젤 소비량의  45%를 자동차에 사용하고 있음. 이러한 추이가 계속된다면 2035년에는 75%, 2040년에는 8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함.

  - 이 같이 높은 에너지 해외의존도를 타파하기 위해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

 

 ○ 소비자의 소비인식 변화

  - 소비자의 환경보호 인식이 강화되면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기존의 자동차 대신 신에너지 자동차를 구매하는 것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름.

  - 저렴한 유지비용, 고성능, 스마트화 자동차임을 고려한 신세대 소비자들이 대거 등장해 시장규모가 커짐.

 

□ 2016년 중국 정부의 시장 견인 정책 및 변화

 

 ○ 중국 정부는 ‘중국제조2025-전기차 산업 지침서’에 2020년까지 누적 보급대수 500만 대를 달성하겠다고 발표함. 이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대다수의 정책은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의 밸류체인에 자국 기업을 초기단계부터 참여시키고 육성해,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권을 갖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함.

 

 ○ 강력한 인센티브 정책

  - 중국의 재정부에서 발표한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보급 방안에 따르면, 2016년에는 공기오염이 심한 성, 시가 3만 대의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을 달성할 경우 9000만 위안의 인센티브를 지급할 예정. 3만 대 이상일 경우 최대 1억2000만 위안의 인센티브 수여

  - 수여받은 인센티브는 다시 신에너지 자동차 관련 사업에 투자(충전시설 확대, 신에너지 자동차 전용 주차장 증설, 고속도로 톨게이트비 할인 등)해 시장 활성화를 이끄는 선순환 방식 채택

 

 ○ 보조금 정책

  - 중국 정부가 신에너지 자동차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주는 직접보조금, 즉 자동차 가격을 할인해주는 방식이 다소 변동됨. 주행가능거리가 짧은 자동차의 직접보조금은 줄어들고, 주행가능거리가 긴 자동차의 보조금은 늘어남.

 

 

   · 전기차(EV; Electric Vehicle): 전기를 충전받아 모토를 구동시켜 운행하는 자동차. 배터리와 구동장치가 일반 자동차의 내연기관을 대신함.

   ·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Vehicle): 내연기관을 주동력원으로 하고 전기동력을 보조적으로 활용해 운행하는 자동차

   · 연료전지자동차(Fuel Cell Vehicle): 수소를 연료로 하는 전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운행하는 자동차.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적고 연료의 열효율이 높음.

 

  - 신에너지 자동차의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도로 사용 권리를 부여하며, 자동차 충전시설 인프라 건설 등의 소비자 권익에 사용되는 간접보조금은 더욱 늘어날 계획

 

 

 ○ 정부의 신에너지 자동차 관련 정책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연관 분야까지 함께 견인하고자 하는 정책임.

  - 전기차 부품, 소재 분야에서 자국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전기차 핵심부품을 제조하는 외자기업의 지분이 50%를 넘을 수 없도록 하는 정책을 2016년부터 시행할 예정

  - 중국에 이미 진출한 외국기업은 중국 회사와 함께 경영하는 형식인 ‘합작법인’으로 설립한 것으로, 신에너지 자동차 이차전지의 핵심기술인 ‘셀 기술’을 단계적으로 현지업체에 이전해야 함. 이로 인해 전문가들은 머지 않아 중국과 외국 유명업체의 기술격차가 좁아질 것으로 전망

 

 ○ 2015년 ‘중국판 유투브’ Letv,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인터넷 관련 업체들이 대거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에 뛰어들면서 2016년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은 ‘스마트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전망

  - Letv는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인 패러데이퓨처에 1조 원 이상 투자해 차세대 스마트카(EV)를 공동 개발, 2016년 1월 9일 1인승 EV 스마트형 수퍼카 FFZERO1을 공개함.

 

 

  - 상하이자동차와 협력하는 알리바바는 2016년 10월 스마트카 출시 예정

  - 텐센트와 바이두 역시 각각 폭스콘, BMW와 협력해 스마트카 개발을 진행 중에 있음.

 

□ 시사점

 

 ○ ‘전기차’로 대표되는 신에너지 자동차는 중국 정부의 개발정책에 힘입어 전·후방 연관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됨. 배터리, 충전소, 스마트그리드 등과 결합해 산업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판단됨.

 

 ○ 한국은 LG, 삼성 등 대기업이 전기차 관련 산업에서 활기를 띠고 있으나, 엄청난 액수의 금액을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업체의 추격에 대비해 기술격차를 넓히는 것이 관건

 

 ○ 신에너지 자동차의 충전 인프라 확충, 배터리 충전시간 단축, 이용자의 수혜내용 확대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 신에너지 자동차로 인해 앞서 언급한 중국이 직면한 문제들이 해결 가능할지는 아직 미지수임.

 

 ○ 우리 신에너지 자동차 관련 기업의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의 기회 및 위협요인에 대한 정보 분석 및 적기 시장 진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자료원: AUTO.SOHU(搜狐汽), 신에너지자동차망(新能源汽车网), 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乘用信息), 중국자동차공업협회(中业协会), 중국재무부, 중국자동차뉴스망(中车报网), 2015중국신에너지자동차산업발전현황 및 분석, KOTRA 난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6년,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이 떠오른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