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크로아티아 외국인 직접투자(FDI) 환경 분석
  • 투자진출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무역관 양경순
  • 2015-10-20
  • 출처 : KOTRA

 

크로아티아 외국인 직접 투자(FDI) 환경 분석

- 통신, 제약, 관광 등 신규 프로젝트 사업에 대한 FDI 유입은 계속될 전망 -

- FDI 유입 확대를 위해 관료주의 및 사법체계의 변화 시급 -

     

     

     

□ 개요

 

 ○ 크로아티아 외국인투자협회(FIC)가 해당국 투자 환경 및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을 골자로 한 2015년 ‘크로아티아 투자백서‘를 올 9월 발간했음.

  - 이 투자백서는 2년마다 발간되며, 이 투자협회 공식회원은 외국기업 20개 사임.

  - FIC에 따르면, 외국인직접투자(FDI)가 1% 증가할 때마다 전체 GDP 성장률이 0.5~1%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1993년부터 2014년까지 크로아티아 FDI 투자 규모는 약 294억 유로로 집계됨.

  - 주요 투자국은 오스트리아, 네델란드, 독일 등 유럽 국가 중심

  - 주요 투자 업종은 금융 및 통신업 분야로 전체 FDI 투자의 약 40%를 차지

  - 인근 국가대비 우수한 사회간접자본을 갖추고 있어 향후 FDI 증가가 예상

 

□ FDI 투자 현황

 

 ○ 크로아티아의 연도별 FDI 투자규모는 대외경제 여건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남.

  - 예컨대 2000년대 고속도로 건설 등 건설붐의 영향으로 FDI 유입이 급증해 2008년에는 사상 최대인 40억 유로를 기록

  -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2009년과 2010년 각각 24억 유로, 3억7000유로까지 FDI 유입이 급감

  - 2014년에는 EU 가입에 따른 각종 프로젝트 출현에 따라 유입량 대폭 상승

  - 크로아티아 FDI 투자 흐름

   · 1990년대 초반: 국영기업의 민영화 추진과 함께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에 제한된 외국인 투자 시작

   · 1997~2002년: 금융, 통신, 정유 업종의 지분투자 및 민영화 추진

   · 2004~2009년: 국영 정유회사 INA와 크로아티아 통신(HT)의 대규모 시설 투자에 따른 포트폴리오 외국인 투자 급증

   · 2009년 이후: 기존 외국기업들의 시설 투자

 

 ○ 주요 외국인 투자기업의 형태는 다른 동구권 국가와는 달리 그린필드 투자유치는 저조한 반면, 국영기업의 민영화에 따른 지분투자(Equity Investment)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1993~2014년 연도별 FDI 유입액

                                                                                                (단위: 백만 유로)

자료원: CNB

 

 ○ 크로아티아의 1인당 FDI 투자 규모는 6300유로로, 전체 중동부 유럽 국가 중 4위를 차지함.

 

중·동부 유럽의 1인당 FDI 규모 비교

                                                                                                (단위: 유로)

자료원: UNCTAD

 

 ○ 주요 투자업종은 금융 및 통신업분야로 전체 FDI 투자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통 및 부동산 분야가 그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함. 그 밖에 정유, 화학 및 제약 분야 등에 대한 투자가 이어지고 있음.

  - 특히 통신분야는 지속적인 시설 현대화가 필요한 업종으로 전국망 네트워크 공사, 초고속 광통신망 사업 등 후속 투자가 지속될 전망이어서 향후 FDI 유입이 예상됨.

  - 대형 쇼핑몰 증가에 따른 부동산에 대한 FDI 투자 누적액은 18억 유로 규모로 전체 4위를 차지

 

1993~2014년 FDI 상위 20위 업종

                                                                                    (단위: 백만 유로)

자료원: CNB

 

 ○ 금융분야는 외국인 최대 투자분야로 1993년부터 2009년까지 누적투자액 기준 약 35%를 차지한 바 있음. 이탈리아 및 오스트리아 은행의 투자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크로아티아의 외국계은행은 2014년 기준 17개(크로아티아 민간은행은 11개, 국립은행은 2개)로, 크로아티아 전체 은행자산의 89.6%를 차지하고 있고, 2개의 메이저은행(Zagrebacka Banka, PBZ)이 은행자산의 43.7%를 차지(CNB 발표)

 

크로아티아 주요 외국계 은행

은행명

외국인 투자내역

투자국

Zagrebacka Banka

- 크로아티아 제1의 민간은행

- 1914년 설립 후 1989년 민영화

- 이탈리아 UniCredit 그룹이 대주주

이탈리아

Privredna Banka Zagreb

(PBZ)

- 크로아티아에서 두 번째로 큰 민간 은행

- 1966년 설립 후 1999년 민영화

- 이탈리아 Intesa Sanpaolo가 대주주

이탈리아

Societe Generale-

Splitska Banka

- 1965년 설립 후 2002년 민영화(오스트리아)

- 2006년 프랑스 Societe Generale이 오스트리아 Bank Austria Creditanstalt로부터 지분 인수

프랑스

Hypo Group Alpe Adria

- 오스트리아계 은행으로 구유고연방 및 동구권에서 주로 활동

오스트리아

Raiffeisen bank

- 오스트리아계 은행으로 구유고연방 및 동구권에서 주로 활동

오스트리아

자료원: KOTRA 자그레브 무역관

 

 ○ 통신분야는 Deutsche Telekom(독일 통신), 정유분야는 헝가리의 MOL이 각각 현지 국영기업의 대규모 지분투자를 통해 크로아티아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그 밖에 기술력을 인정받는 크로아티아 제약기업에 대한 인수 및 지분투자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크로아티아 관광산업이 유망한 관계로 호텔 및 리조트 분야의 투자도 계속 증가할 전망임.

 

주요 외국인 투자 진출 기업 현황

자료원: 크로아티아 상공회의소

 

 ○ 1993년부터 2013년까지 크로아티아에 투자한 상위 10개국을 살펴보면, 오스트리아(66억 유로), 네덜란드(60억 유로), 독일(25억 유로), 헝가리(20억 유로), 이탈리아(15억 유로) 등 모두 EU 국가가 차지함.

 

1993~2013년 대크로아티아 투자 상위 20개국

                                                                                                    (단위: 백만 유로)

자료원: CNB

 

 ○ 2014년 기준으로 외국인투자기업은 약 1500개사에 이르고, 이들 외국인 투자기업은 국가 전체 투자의 45%, 수출의 55%, 고용에서도 25%의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크로아티아 경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외국인투자기업이 전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단위: %)

구분

1998

2000

2002

2007

2012

2014

Capital

9.5

12.5

15

29

41.6

45

Revenues

10.4

12.5

15.7

30

45.3

50

Exports

17.7

17.3

23.7

30

55

55

Employment

7.7

7.9

9.3

13

20

25

Investment

18.6

25.9

16.1

29.2

39

45

주: 외국인 지분 10% 이상인 기업을 외국투자기업으로 가정

자료원: Croatia Foreign Investors Council White book 2015

 

□ 투자대상지로서의 장점

 

 ○ 우수한 자질의 인력

  - 문맹률 0.8% 불과, 18세까지 무상교육 실시

  - 40세 이하 인구의 77%가 영어구사 가능: 인구의 34% 독일어, 14% 이탈리아어 구사 가능

  - 혁신적 기업운영과 사고방식을 보유해 80% 이상의 크로아티아 기업이 기업운영의 중심으로 기술혁신 추구

  - 인구 100만 명당 0.3건의 USPTO 특허 보유로 남동부 유럽에서 체코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수준임.

  - 크로아티아인의 우수한 발명 능력: MP3 플레이어, 자동연필, 만년필, 낙하산, 전기매직장갑, SMS 주차 등

 

 ○ 낮은 기업 운영비

  - 유럽에서 낮은 수준인 20%의 법인소득세율과 법인소득세율 감면 및 면제 인센티브 부여

  - 사무실 임대료 평균: sqm당 월 10~20유로 수준(부가세 별도)

  - 전력, 전화, 휘발유 비용 등은 다른 유럽지역에 비해 저렴한 편이고, 가스료는 약간 높은 수준임.

   · 전기료: 0.09유로/㎾h(EU 평균: 0.108유로)

   · 가스료: 0.041유로/㎾h(EU 평균 0.0363유로)

  - 상수도세: 산업용 3.50유로/㎥(가정용 1.80유로/㎥)

  - 발유(디젤): 1.27유로(유럽에서 두 번째로 낮은 가격)

  - 국내 전화료: 0.39유로/10분

 

 ○ 인근 국가 대비 우수한 사회간접자본

  - 도로 총 연장 2만9410㎞(고속도로 1254㎞, 국도 6853㎞ 포함)

  - 총 철도망 2772㎞(98㎞ 전철화: 전체 철도의 36%)

   · 단선 철도 2468㎞, 복선 철도 253㎞

   · 6개 상업 항구 보유: Rijeka, Zadar, Split, Sibenik, Ploce, Dubrovnik

   · 9개 공항 보유: 7개 국제공항(Zagreb, Split, Dubrovnik, Pula 등), 2개 국내공항(Brac, Mali Losinj)

 

  우수한 ICT 인프라 구비

  - 142개 국가 중 ICT 경쟁력 순위 42위 기록(세계경제포럼의 Networked Readiness Index 2012)

  - 유선전화 라인 100% 디지털화된 네트워크 구축

  - 최신식 네트워크 구축 중동구권 최고 수준

  - 트리플플레이 서비스와 4G도 이미 상용화됨.

 

□ 투자 대상지로서의 단점 및 시사점

 

 ○ 협소한 내수시장

  - 크로아티아는 인구 440만 명의 소규모 국가로 내수 시장이 협소해 시장 수요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 자체의 내수시장만 보고 투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 따라서 구유고 연방인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 코소보 시장까지 포함한 인구 약 2000만 명의 시장 진출과 인근 중동부 유럽 진출을 동시에 고려 필요

  - 주변 유럽 국가에서 크로아티아를 관할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직접투자 진출과 인근 유럽법인에서 관할할 경우의 장단점을 잘 비교할 필요가 있음.

  - 비즈니스 관행이 현지인 에이전트나 디스트리뷰터를 지정해 사업을 하거나 지사장을 현지인으로 선임하는 경우도 많음.

 

 ○ 관료주의, 사법체계의 낙후성

  - 외국인 직접 투자에 가장 큰 걸림돌로는 정부의 관료주의, 부정부패, 사법제도의 낙후성, 잦은 법률 변경 및 법률 시행 지연 등을 들 수 있음.

  - 부정부패는 정부 고위층관료들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Ivo Sanader 전 총리가 뇌물수수 혐의로 2012년 징역 10년을 선고받은 바 있음.

  - 많은 기업가이 관료주의와 허가절차의 지연으로 비공식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것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음.

 

  높은 세금체계 및 복잡성

  - 25%의 높은 부가세는 크로아티아 내 자국 기업뿐 아니라 외국인투자기업에도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함.

  - 개인소득세의 경우에도 세금공제액을 2015년부터 조금 낮췄으나(2200쿠나에서 2600쿠나로), 고소득 근로자에 대한 세금 부담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결과적으로는 회사의 인건비에 부담이 되고 있음.

   · 세금 공제액인 2600쿠나 이상의 급여에 대해서는 금액에 따라 12%(추가 2200쿠나까지), 25%(2200~1만3200쿠나), 40%(1만3200쿠나 이상)의 세금을 차등적으로 부과

  - 법인세는 20%로 낮은 수준이지만 이윤에 대한 과실송금 또는 주식배당이 이뤄질 경우 12%의 원천징수세를 추가로 부담하게 돼 실질적 법인세는 32% 수준으로 매우 높은 수준임.

  - 높은 세금요율 체계뿐 아니라, 부가세 환급신청 절차, 자주 바뀌는 세금요율 등이 크로아티아 투자기업에 애로사항으로 제기되고 있음.

 

 

자료원: 외국인투자자협회 2015년 투자백서 및 KOTRA 자그레브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크로아티아 외국인 직접투자(FDI) 환경 분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