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탈리아 건설장비 및 부품 시장동향(2013.9)
  • 상품DB
  • 이탈리아
  • 밀라노무역관 오새봄
  • 2015-10-12
  • 출처 : KOTRA

 

작성일자: 2013.9.30

작성자: 밀라노 무역관 Mrs. Roberta & Mrs. Maria(Roberta@kotra.it, Maria@kotra.it)

 

 

1. 시장동향

 

□ 건설장비 시장규모 및 현황

 

 ○ 2010년 기준 이탈리아 건설장비 산업은 총 22억91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5.3% 그리고 2008년 대비 -47%로 시장의 급격한 축소

 

 ○ 건설장비 시장을 종류별로 상세히 보자면

  - 토목기계는 2010년 기준 총 매출이 6억900만 유로로 전년 대비-4.9% 감소

  - 드릴장비는 2010년 기준 5억8600만 유로의 매출로 전년 대비 -12.5% 감소

  - 콘크리트 장비 또한 2010년 기준 5억600만 유로의 매출로 전년 대비 -8.5% 감소

  - 도로장비 매출은 3억53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7.8% 감소

  - 타워 크레인은 1억1300만 유로의 매출로 5.6% 성장하며 전체 건설장비 중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을 기록

  - 파쇄&스크리닝 장비의 매출은 총 60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14.3%의 감소를 보임.

 

 ○ 주목할 만한 점은, 2008년 이후 건설장비 바이어의 지급 지연에 대한 위험은 45% 증가하며 전체 건설경기의 불황이 이어지고 있음을 설명

 

이탈리아 제품별 건설장비 시장(2010년 4분기)

 

□ 시장전망

 

 ○ 2011년 1~8월 기준 이탈리아 토목기계 판매량은 총 7173대로 전년 동기 대비 -26.3% 감소

  - 감소 폭은 2분기와 3분기에 더욱 커짐으로(약 -30%) 시장이 점차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 하락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

 

 ○ 2011년 1~8월 기준 이탈리아 도로장비 기계 시장은 -47.2% 감소했으며, 콘크리트 장비(레미콘 트럭, 콘크리트 트럭, 트럭 탑재 펌프 등)의 감소폭 또한 점차 증가

 

 ○ 2014년 전망에 따르면, 건물 투자에 대한 것은 전체적으로 1.8% 감소 전망

  - 유럽의 구조 자금 활용을 통해 인프라에 대한 투자 가능성 높음. 즉, 프로젝트성 국책사업으로 기간산업에의 투자와 경기 부양책 실시를 통해 건설경기 부양

 

2. 수입현황

 

□ 연도별 수입규모

 

 ○ 건설장비는 HS Code 84 기계류 중 일부로 전체 기계장비 부품은 HS Code 8431로 분류, 세부 부품 내역에 따라 다시 HS Code 6자리 분류

  - 건설장비 부품은 HS Code 843149로, 전체 부품에서 약 39%를 차지. 2012년 기준 4억1500만 유로의 수입시장을 형성하며 전년 대비 -10.4% 감소세를 보임.

 

World Trade Atlas

Italy - Imports from - World

(단위: 백만 유로)

자료원: Eurostat

 

□ 국가별 경쟁동향

 

 ○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 독일, 프랑스, 벨기에가 있으며 중국과 독일, 상위 2개 국가에서 수입하는 규모가 전체 수입의 약 33%를 차지

  - 수입 5위국에는 일본이 있으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012년 기준 2000만 유로로 수입국 7위를 차지. 이는 전년 대비 약 -25.9% 감소한 수치로, 상위 10개국 중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World Trade Atlas

Italy - Imports

843149 Ot For Derricks, Etc

(단위: 백만 유로)

자료원: Eurostat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탈리아 건설장비 및 부품 시장동향(2013.9)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