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5년 베이징 4대 비즈니스 트렌드
  • 경제·무역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15-04-02
  • 출처 : KOTRA

 

2015년 베이징 4대 비즈니스 트렌드

- 대중소비, O2O, 생활서비스, 지역협동발전 -

- 中 수도권 일체화 전략으로 역내 네트워크 구축 본격화 -

 

 

 

 ㅇ 베이징 시정부는 2015년 베이징 사회소비품 판매액 증가율을 전년도의 8.6%보다 낮은 8%로 확정했음.

 ㅇ ‘삼공소비’의 대대적인 절감, 소비방식 변화 등의 원인으로 베이징 소비시장은 증가세가 최근 몇 년간 주춤하는 양상을 보임.

 ㅇ 중속성장에 접어든 베이징 소비시장은 더 높은 수준의 상품 및 서비스 품질을 요구하고 있으며 다양한 발전추세를 보임.

 ㅇ 또 한편, 징진지 지역협동발전책의 실시로 일부 도시기능이 조정되면서 기업에 더 많은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

 

□ 베이징 소비시장 뉴노멀시대 진입, 소비 대중화가 대세

 

 ○ 최근 몇 년간 베이징 사회소비품 판매총액의 증가율은 지속적인 하락세, 이는 베이징 소비시장이 ‘뉴노멀’시대에 접어들었음을 의미

  - 2014년 베이징의 사회소비품 판매총액은 9000억 위안을 돌파해 9098억 위안을 기록

  - 그러나 증가율은 2012년의 11.6%에서 2013년 8.7%, 지난해는 전년도보다 0.1%p 하락한 8.6%로 집계됨.

  - 베이징시 상무위원회 옌리강(閻立剛) 주임은 베이징 소비시장은 현재 중속성장의 뉴노멀 상태에 진입했다고 평가

 

베이징시 사회소비품 판매총액 및 증가율 추이

자료원: 베이징시정부 홈페이지

 

 ○ 현지 언론과 전문가는 베이징 소비시장의 변화는 ‘삼공소비(三公消費)’ 절감에서 기인했다고 분석

   · 삼공소비(三公消費): 정부 인원의 출국 경비와 공무차량 비용, 접대비 등

  - 현지 언론 베이징상보(北京商報)는 현 지도부의 강력한 부패척결로 ‘삼공소비’ 대폭 감축이 소비시장의 최대 변수라고 평가

  - 중앙정부와 직할시(베이징) 정부가 공존하는 베이징 소비시장은 직접적인 충격을 면할 수 없는 결과라고 풀이

 

 ○ 소비시장의 이러한 변화에 맞춰 기업과 베이징 시정부는 ‘대중소비’에서 해법을 찾고 있음.

  - 베이징시 정부는 인터넷 소비와 여행·엔터, 녹색소비 등 다양한 대중 소비를 격려해 ‘삼공소비’로 위축된 소비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

  - 고급 요식업 관련 업체를 비롯해 백화점, 쇼핑몰 등 전통 유통업체도 O2O, 앱 등 방식으로 대중에게 적극 다가가고 있음.

 

 ○ 베이징 소비시장의 또 하나의 변화는 소비수준의 업그레이드, 베이징 시정부 규획에 의한 저가 도소매시장의 철폐

  - 베이징의 비(非)수도기능을 해소하고 소비수준 업그레이드를 위해 베이징 시정부는 허베이(河北)성 정부와 손잡고 베이징시의 대표적인 따훙먼(大紅門)과 동물원(動物園) 저가 의류 도소매시장을 허베이로 이전시켰음.

  - 2014년 베이징시 정부에서 폐쇄·개선·업그레이드한 저가 도소매시장은 총 217개, 철폐면적은 218만8000㎡에 달함.

 

따훙먼(大紅門)

둥우위안(動物園)

자료원: 바이두

 

□ 중요성이 부각되는 온라인·오프라인 시장의 변신

 

 ○ 최근 중국시장에서 온라인 매장이 날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흐름에 맞춰 베이징의 온라인 시장도 확대되는 추세

  - 2014년 베이징 온라인 매출액은 전년대비 69.7% 증가한 1456억9000위안으로 집계됨.

  - 온라인 시장은 베이징 사회소비품 매출의 15.1%를 차지하며 전반 베이징 사회소비품 시장의 6.7%를 향상시키고 있음.

  - 소비시장에서 온라인 시장이 보다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반면, 전통산업의 비중은 하락세를 타게 됨. [베이징시 청훙(程紅) 부시장]

  - 2014년 베이징 전문점, 전문매장과 백화점, 쇼핑몰 등 전통유통매장의 매출이 처음으로 전반 소비품 판매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 이하로 추락

 

 ○ 위축되는 오프라인 매장 활성화를 실현하기 위해 베이징의 전통 유통업체는 O2O, 즉 온·오프라인으로 방향을 틀었음.

  - 온·오프라인이란 오프라인의 상거래 관련 행위가 온라인과 연결돼 구성되는 비즈니스

  - 베이징 중심가에 위치한 왕푸징(王府井) 백화점은 텐센트와 협력하는 등 O2O 방식으로 고객에게 적극 다가가고 있음.

   · 왕푸징 백화점은 홈페이지 개설, SNS인 웨이신(微信)을 플랫폼으로 매장개설을 시도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음.

  - 쑤닝(蘇寧), 구어메(國美) 등 가전 거두들의 새로운 소비트렌드를 인지하고 온라인 매장을 시도하는 방식은 향후 계속될 것으로 전망

 

모 가전매장의 한산한 풍경

왕푸징 백화점 홈페이지

자료원: ZDL, 왕푸징 백화점 홈페이지

 

 ○ 텐센트, 징둥 등 전자상거래 업체도 전통 유통업체에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며 사업 확장을 꾀함.

  - 온·오프라인이 적절한 조화를 이뤄 오프라인으로 상품 이미지를 구축하고 온라인으로 더 편리한 유통채널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시도는 향후 베이징 비즈니스의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

 

□ ‘살기 좋은’ 베이징 건설을 위해 생활형 서비스업 발전

 

베이징 CBD 구어마오(國貿)

베이징 톈탄(天壇) 공원

자료원: 바이두

 

 ○ 2014년 2월 시진핑 주석이 베이징을 글로벌적인, 살기 좋은 수도로 건설할 것이라는 비전을 내놓은 이후 베이징 시정부는 ‘생활형 서비스업 품질 제고 3년 액션플랜’을 연구 및 제정했음.

  - 최근 몇 년간 베이징 시정부는 지역사회, 아파트 단지가 보다 거주에 편리하게 변화하도록 인도하고 지원했음.

  - 올해에는 3개 농산품 도소매 선두기업을 육성하고 100개 ‘아침밥 식당’과 ‘아침밥 서비스’ 편의점 40개를 건설할 목표를 내세웠음.

  - 생활 편리 시설의 브랜드화, 프랜차이즈화 등 방향으로 시장을 인도하고 전통시장, 재래시장의 전환을 모색하는 방침은 지속될 전망[중국 상무부 소비경제연구부 자오핑(趙萍) 부주임]

 

 ○ 정부의 지원과 더불어 전자상거래 업체와 전통 산업의 협력은 ‘생활 편리화’로 이어지고 있음.

  - 일례로 징둥닷컴과 차오쓰파(超市發) 마트가 공동으로 파이다우쟈(拍到家) 앱을 출시해 시민이 슈퍼, 마트에 가지 않고 집에서 간편하게 생필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했음.

 

파이다우쟈(拍到家)

자료원: 텐센트

 

□ 징진지 협동발전, 각 분야의 역내 네트워크 구축이 한창

 

 ○ 중국의 국가급 전략인 징진지 협동발전전략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는 것도 베이징의 사업 트렌드임.

  - 2015년 2월 10일, 시진핑 주석은 베이징이 갖는 비핵심기능 분산과 징진지 지역동반성장을 추진할 것을 강조

  - 베이징 2015년 정부업무보고에서도 수도 비핵심기능 분산을 서두를 것을 주문한바 있음.

  - 인구경제 등 증가율을 엄격히 통제하고 기존의 인구경제요소를 질서있게 분산시키며 수도 전략 포지셔닝에 부합하지 않는 기능과 산업을 퇴출

 

베이징시의 도시기능 조정 조치

 

 ㅇ 신규증가 산업에 대한 금지 및 규제 목록을 철저히 집행하고 제조업을 분산시키며 수도 기능 핵심지역에 제조업 공장건설을 금지

 ㅇ 동물원과 따훙먼(大紅門) 의류도매시장, 쳰이(天意)경공업제품 도매시장을 서둘러 분산시키고 기타지역 도매시장에 대해서도 점차적 분산 계획을 제정

 ㅇ 일부 교육, 의료 등 사회공공서비스 기능의 외곽 이전과 분산업무를 적극적으로 추진, 징진지 지역의 교육협력과 인적교류를 촉진하고 대학캠퍼스, 연구소, 창업단지, 직업교육단지 건설을 모색

 ㅇ 의료보건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고 수준 높은 간호병원과 재활병원을 건설하며 양로서비스기관이 주변지역에 양로서비스 기지를 건설하도록 장려함으로써 지역간 공공서비스 평준화 발전수준을 제고

 

 ○ 징진지 내 도시기능 재배치 과정에서 역내 물류단지와 항구, 철도 등 물류 네트워크의 형성에 박차를 가함.

  - 베이징 동부에 위치한 핑구(平谷) 마팡(馬坊) 물류기지는 징진지 지역의 중요한 항구인 허베이성 탕산시 차오페이덴(曺妃甸)과 손잡고 국제물류시스템 구축에 착수

  - 이 물류 플랫폼은 징진지 지역의 5만여 업체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물운송차량은 100만 대, 일 교역량은 30만 건에 달함.

 

 ○ 물류시스템 구축 이외에도 징진지 지역의 농산품 공급 시스템 구축도 속도가 붙고 있음.

  - 2014년 56개 허베이의 야채생산기지가 베이징시에 직영매장을 설립해 베이징에 신선야채 직송 서비스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

  - 베이징의 신파디(新發地) 농산품 도매시장도 허베이성 주어저우(涿州), 딩싱(定興). 고베이덴(高碑店) 등 지역에 산지시장을 설립하고 농산품 생산-공급 시스템 구축에 주력

  - 반면, 베이징의 매장도 허베이 등 지역으로 매장을 확대하며 판로를 확대 중

 

베이징 신파디(新發地) 농산품 도매시장

자료원: 바이두

 

□ 전망 및 시사점

 

 ○ 징진지 협동발전책 추진과 더불어 역내 물류 등 네트워크 구축은 가속도가 붙을 것이며 각 산업의 자원재배치가 활발히 진행될 전망

  - 도로, 철도, 항구 등과 역내 물류단지의 협력이 더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예상

  - 베이징의 도시기능 분산 및 조정에 힘입어 관련 산업에 대한 조정도 동반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한국 기업은 중국 정부의 관련 정책 출시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음.

 

 ○ 중국 정부 시장규제와 동향을 항상 예의주시하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함.

  - 고속성장에서 중속성장시대로 접어든 현재, 중국 정부는 시장활성화 출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 중국 정부의 정책적 흐름을 잘 파악하고 시장진입 장벽 등을 면밀히 분석한 후 대응책을 강구해야 함.

 

 ○ 저조기에 놓여있는 중국 유통업은 계속해 경영방식 전환을 적극 시도할 것으로 전망

  - 우리 기업도 중국시장 진출 시 비용부담이 큰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매장으로 중국 소비자에게 다가가는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정할 필요가 있음.

  - 알리바바 그룹이 운영하는 온라인몰인 티몰(TMALL) 및 징둥닷컴(JD.COM) 등에도 추가 입점해 중국 내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을 확보하는 방식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

 

 ○ 한·중 FTA가 발효되면 한국 기업은 거대한 중국 내수시장을 직면하게 되므로 중국 소비시장의 트렌드를 면밀히 분석하고 접근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함.

  - 베이징은 중국에서 비교적 성숙된 시장이며 다양한 소비수요를 보여주므로 한국 기업이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는 시장이기도 함.

  - 한편, 글로벌 기업이 대거 진입해 치열한 시장경쟁을 펼치기도 하므로 진출 시 비용 등 문제를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베이징상보(北京商報), 베이징 시정부 홈페이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5년 베이징 4대 비즈니스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