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4년 대(對) 캄보디아 투자 동향 및 2015년 전망
  • 투자진출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전홍
  • 2015-02-26
  • 출처 : KOTRA

 

2014년 대(對) 캄보디아 투자 동향 및 2015년 전망

- 내국인 투자 급감, FDI 전년대비 16.8% 감소, 한국 투자 20.7% 감소 -

- 최저임금 상승, 관세 및 국세 징수 강화 등으로 투자 환경 악화 -

     

     

 

□ 대(對)캄보디아 투자 동향(캄보디아 측 자료)

     

 ○ 2014년 한국의 캄보디아 투자액은 전년 대비 20.7% 감소한 6500만 달러를 기록하여 대(對)캄보디아 투자국 순위에서 5위를 차지함. 내국인 투자는 약 5억8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82.2% 감소했으나 FDI는 전년 대비 16.8% 감소하는데 그침.

     

 ○ 한국의 대(對)캄보디아 투자 총 누적 금액은 약 44억 달러로 약 96억 달러의 중국에 이어 2위를 기록함. 이밖에 누적 투자 금액 3위는 말레이시아(약 26억 달러), 4위는 영국(약 25억 달러), 5위는 베트남(약 15억 달러), 6위는 미국(약 12억 달러), 7위는 대만(약 10억 달러), 8위는 태국(약 9억 달러), 일본은 12위로 약 4억 달러임.

     

캄보디아에 대한 한국 기업 투자 추이

                                                                                                            (단위:100만 달러, %)

연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전체

4,414

2,667

10,889

5,859

2,697

7,010

2,275

4,496

1,604

캄보디아

2,081

1,323

3,932

3,753

396

1,930

907

3,267

582

FDI

2,333

1,344

6,957

2,106

2,301

5,080

1,368

1,229

1,022

한국

1,009

148

1,237

120

1,027

144

272

82

65

FDI 대비 비중

43.2

11.0

17.8

5.7

44.6

2.8

19.9

6.7

6.4

주: 캄보디아 개발위원회(CDC) QIP 승인을 받은 투자금액

자료원: CDC

     

 ○ 2014년 국가별 투자액으로는 중국이 약 5억3000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며 (전년 대비 +18.5%) 1위를 기록함. 홍콩이 약 1억 달러로 소폭 감소해 (전년 대비 -8.1%) 2위를 차지했으나 중국과 홍콩을 합하면 약 6억3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3.3% 증가했으며 전체 투자액의 39.4%를 차지함. 영국이 8700만 달러로 3위(전년 대비 -2.5%), 사모아가 약 3900만 달러로 5위(전년 대비 +111.7%), 싱가포르가 약 3600만 달러로 6위(전년 대비 -32.9%), 약 3400만 달러를 투자한 대만(전년 대비 -59.8%)은 근소한 차이로 7위를 기록함.

     

 ○ 2013년 7월 선거 이후 정국 불안과 2014년 초 대규모 파업 사태로 인해 외국인 투자가 위축됐으나, 중국의 봉제 및 관련 산업 투자로 인해 중국의 투자는 오히려 증가함.

     

 ○ 2014년 대(對)캄보디아 투자 3위를 차지한 영국은 5건의 투자 승인을 받았으며 약 3900만 달러의 니트 생산 및 프린팅 프로젝트가 1건, 500만 달러 이상의 가방 및 신발 생산 프로젝트가 3건, 약 3120만 달러의 통신 프로젝트가 1건이 있음.

     

캄보디아에 대한 국가별 연도별 투자

(단위: 100만 달러)

연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중국

892

694

1,192

264

449

532

홍콩

6

27

331

114

110

101

영국

0

8

2,222

25

89

87

한국

120

1,027

145

272

82

65

사모아

0

0

4

41

19

39

싱가포르

272

37

14

83

55

37

대만

27

91

82

96

85

34

말레이시아

7

171

235

0

6

24

주: 캄보디아 개발위원회(CDC)의 QIP 승인을 받은 투자금액

자료원: CDC

     

 ○ 2011년에는 27건, 2012년에는 28건으로 역대 가장 많은 투자 프로젝트 승인이 있었지만, 2013년에는 선거로 인한 정국 불안으로 17건으로 감소했고 2014년에는 대규모 파업사태로 8건으로 절반으로 감소함.

     

 ○ 2013년에는 봉제기업이 11건의 투자 승인을 받았던 반면 2014년에는 5건으로 대폭 줄었는데, 이는 2013년도의 선거로 인한 정국 불안과 임금 인상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과  2014년도 초의 파업사태로 인한 인력 관리의 어려움이 주 원인으로 해석됨.

     

 ○ 부영의 약 4100만 달러 규모의 주택단지 건설 프로젝트 1건을 제외한 봉제 및 라벨링 6건, 농산업 1건의 투자승인금액 합은 불과 약 2300만 달러로 전년도 임가공 및 제조업의 투자액인 약 7900만 달러에 비하면 70.4% 감소한 수치로 제조업 및 임가공 산업의 투자환경 악화를 반증함.

     

□ 한국의 대(對)캄보디아 투자 동향

     

 ○ 2014년 한국 기업의 대(對)캄보디아 투자 신고액은 약 89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6.1% 감소했으나, 투자금액은 약 6300만 달러로 약 22.1% 감소했음. 실제 투자금액은 2007년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2008년 말 금융위기 이후로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임. 투자금액이 캄보디아 측 자료보다 다소 낮게 나오는 이유는 신고의 목적 차이로 분석됨. 한국 기업의 경우, 캄보디아 개발위원회에 투자 승인 신청 시 제공되는 면제 혜택을 받기 위해 예상되는 모든 수입설비 및 원부자제에 대한 금액을 최대한도로 신청해 승인을 받음.

     

한국의 캄보디아 투자 동향

(단위: 건, 1000달러)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 수

신고금액

송금횟수

투자금액

1992~1999

82

31

43,869

115

22,766

2000

16

7

9,627

32

3,576

2001

24

5

8,265

44

5,567

2002

16

10

15,510

34

8,106

2003

15

9

33,087

38

11,669

2004

22

8

7,765

44

13,637

2005

83

31

110,690

136

32,395

2006

123

53

172,625

295

126,255

2007

376

149

828,401

641

629,223

2008

486

174

1,253,314

817

524,783

2009

199

39

269,170

415

191,538

2010

101

28

87,875

257

76,271

2011

247

48

1,179,193

451

104,772

2012

236

52

139,926

510

94,111

2013

197

35

138,605

409

81,278

2014

155

39

88,557

307

63,342

합계

2,498

763

4,441,278

4,724

2,032,318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 2015년 투자 전망

     

 ○ 2013년과 2014년에 연이은 최저임금 상승과 2013년 선거 후 관세 개혁으로 인한 수출입 비용 증가 등의 악재로 인해 저임금, 노동집약적 산업인 봉제기업의 투자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 최근 캄보디아 정부의 세수 확보 노력의 일환인 국세 및 관세 징수 강화정책도 해외투자기업에 악재로 작용함.

     

 ○ 노동집약적 산업에 대한 투자 환경 악화로 관련 기업들의 제3 국 진출이나 캄보디아 철수가 예상됨.

     

 ○ 최저임금과 GDP 상승에 의한 국민 소득 증가로 내수 시장을 타깃으로 한 투자 진출 증가가 예상됨.

     

 ○ 일반 니트류 봉제기업보다는 부가가치가 높은 신발, 전기, 전자 임가공 기업의 투자 증가가 예상되나 부족한 숙련공과 열악한 인프라가 해결 과제임.

     

 ○ 최근 불법체류 방지 목적으로 시행된 캄보디아의 노동허가(Work Permit)로 인해 향후 캄보디아의 투자 환경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됨.

  - 캄보디아 내 근무하려는 외국인들은 노동허가(Work Permit)를 신청하기 위해 캄보디아 입국 후 15일 이내 노동부에 방문해야 함.

  - 이와 관련하여 Work Permit 관련 보고서를 참조하여 투자 진출 시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캄보디아,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노동허가 취득 및 일반 비자(E-Type) 연장"     

 

 

자료원: 캄보디아 개발위원회(CDC), 한국수출입은행,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체 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4년 대(對) 캄보디아 투자 동향 및 2015년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