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브라질 2014년 경제성장 예상(2)
  • 투자진출
  • 브라질
  • 상파울루무역관 박숭언
  • 2013-12-28
  • 출처 : KOTRA

브라질 불안정한 2014년 경제 성장률

-경제 전문가들의 의견과 정부 견해의 큰 차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불안정한 시장으로 인식-

 

 

 

□ 개요

 

 ○ 2014년 브라질 경제성장의 바탕이 매우 불안정한 상황임.

  - 브라질의 물가와 인플레이션 상승률에 매우 큰 영향을 받을것으로 전망됨.

 

□ 세부내용

 

 ○ 경제성장을 위한 기본 바탕의 약화

  - 브라질 경제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높은 물가는 지난 1990년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통해 연평균 물가상승률(소비자물가지수) 4000%를 넘기며 브라질 내수 경제기반의 취약점을 적나라하게 보여줌.

  - 올 초 브라질의 기준금리는1986년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정하기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7.25%였으나 브라질 중앙은행은 지난 4월 0.25%포인트 인상을 시작으로 5월과 이달 10일 각각 0.50%포인트 씩 기준금리를 올렸으며 세 차례에 걸친 금리 인상을 통해 현재 브라질의 기준금리는 8.50%로 높아졌음.

 

 ○ 브라질 중앙은행이 경제학 전문가 1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주간 설문조사의 결과

  -브라질 중앙은행이 지난 12일 설문조사한 100명의 전문가는 기준금리가 연말에는 9.25%, 내년에는 9.50%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으며 물가상승률이 중앙은행이 정한 목표치(4.5%)와 목표 범위(2.5~6.5%) 상한선을 넘은 상황에서 당연한 수순이란 견해가 정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6.70%로 2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함.

 

 ○ 물가상승으로 인한 소비주도 경제 성장의 위기

  - 최근 브라질의 '신흥중산층'들이 주요 소비자층으로 성장함에 따라 내수시장 성장의 기반이되었으나 높은 물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 시장이 위축될 경우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됨.

 

 ○ 브라질 정부는 2014년 최저임금을 722.90헤알로 조정함.

  - 2013년 최저 임금인 678헤알(약 366달러)에서 인상 되었으나 전문가들의 예상보다 낮음.

  - 최저 임금의 계산은 근 2년 GDP 성장률(%) + 전년도(2013) 인플레이션 수치(전국 소비자 물가지수, INPC)로 계산함.

 

 

□ 시사점

 

 ○ 불안정한 경제기반: 소비자 시장 위축 예상

  -  브라질에 정착한 한국기업들은 2차 산업에 집중되어 있으나 경제 성장둔화의 여파가 심각할 것으로 전망됨.

  - 전문가들은 '브라질 식' 소비중심 성장모델의 한계를 예상하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어 향후 경제 성장둔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함.

 

 

자료원: 일간지 Estado de Sao Paulo, 월스트리트 저널, 브라질 지리 통계청 IBGE자료,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브라질 2014년 경제성장 예상(2)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