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스라엘에 온라인 쇼핑 붐이 일어날까?
  • 트렌드
  • 이스라엘
  • 텔아비브무역관 윤주혜
  • 2013-11-20
  • 출처 : KOTRA

 

이스라엘에 온라인 쇼핑 붐이 일어날까?

- 온라인 쇼핑시장 아직 초기단계 -

 

 

 

□ 이스라엘 온라인 쇼핑 현황

 

 ○ 2013년 기준, 이스라엘 소비자의 80%가 온라인 구매를 한 것으로 집계됨. 아이폰 케이블 및 주차요금 휴대폰 결제부터 의류 쇼핑까지 온라인 구매가 이뤄짐.

  - 그럼에도 이스라엘의 온라인 쇼핑시장은 아직 활성화돼 있지 않음. 온라인 쇼핑 중 60%가 해외 사이트를 통해 구매한 것으로 알려짐.

  - 이스라엘 소비자들이 해외 온라인 사이트 이용하는 이유는 현지 유통업체들이 전반적으로 온라인 사이트 판매를 선호하지 않고 오프라인시장을 선호하기 때문임. 이에 따라 온라인 쇼핑 사이트 운영 및 관리에 투자를 소홀히 하기 때문임.

 

 ○ 한 현지 의류업체에서 시행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이스라엘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 중 70%가 히브리어 사이트로 구매할 수 있다면 가격이 평균보다 5% 이상 높다 해도 구매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스라엘 소비자들이 왜 해외 온라인 쇼핑을 선호하는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81%가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이라 답함. 해외 온라인 쇼핑 사이트를 통해 구매하면 가격이 저렴하지만, 이스라엘의 온라인 쇼핑몰의 가격은 매장 가격에 비해 비싸거나 똑같음.

  - 이스라엘에 없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자가 69%, 이스라엘 사이트보다 안전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은 20%로 나타남.

  - 응답자의 16%는 신상정보 유출 위험이 덜하기 때문에, 15%는 반품이 더 쉽기 때문에, 11%는 이스라엘 사이트는 믿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응답함.

 

□ 온라인 쇼핑이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

 

 ○ 이스라엘 주요 유통업체들은 온라인 판매보다는 오프라인 판매를 선호함. 식품 및 서점의 경우 온라인 판매 사이트가 있지만 운영을 소홀히 하기 때문에 활성화돼 있지 않으며 의류 및 가구 시장의 경우 온라인 사이트가 존재하지만, 직접 구매는 할 수 없고 아이쇼핑 수준으로 제품 소개 사이트로 운영됨.

  - 의류업체의 경우 의류와 함께 진열되는 액세서리 및 가방 등의 충동구매를 유발할 수 있는 매장 판매를 선호하기 때문에 온라인 쇼핑몰에 크게 중점을 두지 않고 있음.

  - 이스라엘의 식품 유통업체인 Mega 및 Super Sal의 온라인 구매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가격이 오히려 매장가격보다 15%나 높음.

  - 온라인 판매 특성상 운영비용 절감으로 가격이 내려가기 마련임. 또한, 온라인 거래는 업체들의 서비스가 한눈에 비교할 수 있으므로 가격 경쟁을 촉진할 수 있음. 그러나 업체들은 이러한 가격 경쟁에 크게 관심이 없으며 따라서 온라인 판매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지 않아 사이트 이용이 불편함.

 

 ○ 배달 시스템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은 이스라엘 온라인 사이트는 제품을 구매할 경우 일반적으로 배달료가 포함되지 않음. 온라인 쇼핑사이트의 가격은 일반 매장 가격보다 높거나 같음. 또한, 운송비까지 추가되기 때문에 소비자들 측면에서 온라인 쇼핑은 효용성이 떨어짐.

  - 식료품 구매에서는 배달이 하루 이틀 늦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에 제품의 신선도가 떨어짐.

 

□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매 주요 품목

 

 ○ 이스라엘 소비자들의 인터넷 구매 주요 품목은 크게 변하지 않음. 48%가 영화 및 쇼 티켓 구매, 35%가 CD, 스포츠용품 및 장난감, 32%가 관광 상품인 항공권 구매, 자동차 렌트 등임.

  - 식품시장은 인터넷 구매의 13%를 차지하고 최근 들어 상승세를 보임. 이스라엘의 Super Sal과 Blue Square israel같은 대기업들은 식료품 인터넷 쇼핑 사이트를 구축했으며 아직 활성화되지는 않았으나 나머지 식료품 업체도 인터넷 쇼핑사이트를 구축하는 추세임.

  - Eden, Mega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하는 Blue Square의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판매 매출이 총매출의 3% 수준

 

 ○ 의류시장의 인터넷 구매는 현지 의류업체인 카스트로가 온라인 쇼핑사이트를 오픈하면서 기대됐으나 오픈 이후 6개월 지난 후에도 온라인시장은 상승세를 보이지 못함.

  - 2012년 기준 선진국의 온라인 의류 판매 매출은 연간 2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이스라엘의 온라인 의류 판매 매출은 연간 1000만 달러를 기록함.

  - 이스라엘 의류업체는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매장을 찾아 매장에서 의류 외에 함께 진열된 액세서리 및 기타 품목을 구매하길 희망하기 때문에 인터넷 쇼핑보다는 매장에 찾아오는 것을 선호함. 따라서 온라인 쇼핑 가격이 오프라인 가격보다 낮지 않으며 또한 온라인 판매보다 매장 판매에 투자를 더 많이 하는 편이라 사이트 관리 및 운영에 소홀함.

 

이스라엘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매 주요 품목

자료원: 이스라엘 경제지 The Marker

 

□ 이스라엘의 주요 온라인 쇼핑 사이트

 

 ○ Wallashops: 전자제품, 컴퓨터, 노트북, 핸드폰, 가정용품 의류 및 신발류 등을 판매하는 사이트로 연평균 2억7000만 신 셰켈(7000만 달러)로 이스라엘 온라인쇼핑 판매점유율 60%로 가장 많이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

  - 홈페이지 주소: www.wallashops.co.il/

 

 ○ Olsale: 전자제품, 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자동차 부품, 전화기, 가구 등을 판매하는 사이트로 연평균 매출이 8100만 신 셰겔(2200만 달러)로 이스라엘 온라인쇼핑 판매점유율 18%

  - 홈페이지 주소: www.olsale.co.il

 

 ○ P1000-전자제품, 의류,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 사이트로 연평균 매출 5400만 신 셰켈(1500만 달러)로 이스라엘 온라인쇼핑 판매점유율 12%

 

 ○ GetIt: 전자제품 및 컴퓨터, 가구, 가정용품 등의 제품들을 판매하며 연매출 2700만 신 셰켈(700만달러)로 이스라엘 온라인쇼핑 판매점유율 6%

  - 홈페이지 주소: www.getit.co.il/

 

□ 시사점

 

 ○ 이스라엘의 온라인 쇼핑시장은 아직 시작단계이지만, 소비자들이 해외 온라인 쇼핑의 편리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어 앞으로 온라인시장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됨.

 

 ○ 온라인 사이트 운영업체들이 소비자의 구매행태 변화를 인식해 온라인 사이트 활성화에 관심을 갖고 투자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온라인 유통시장이 점차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됨.

 

 ○ 이스라엘 온라인시장에 관심 있는 우리 기업은 향후 온라인시장의 확대에 대비해 온라인 유통에 적합한 상품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지 유통기업과의 전략적 협력 등 시장 선점을 위한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이스라엘 경제지 The Marker, 이스라엘 경제지 calcalist, 이스라엘 경제지 Globes, 텔아비브 텔아비브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스라엘에 온라인 쇼핑 붐이 일어날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