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식품 유해물질 기준 강화로 식품안전 분석기 수요 늘어
  • 트렌드
  • 중국
  • 우한무역관
  • 2013-09-27
  • 출처 : KOTRA
Keyword #분석기

 

중국, 식품 유해물질 기준 강화로 식품안전분석기 수요 늘어나

- 식품안전분석기 시장규모 2012년 100억 위안 돌파 -

- 단순제품 판매보다 솔루션 서비스 결합한 판매전략 필요 -

 

 

 

자료원: 바이두(百度)

 

□ 중국 식품안전분석기 시장 현황 및 전망

 

 ○ 중국 식품안전분석기 시장 현황

  - 최근 중국은 식품에서 플라스티사이저, 멜라민, 프탈산 등 유해물질 검출이 각종 매체들을 통한 보도가 잇따르면서 중국 소비자들의 식품안전 의식이 제고됨.

  - 중국 ‘국가식품안전관리감독체계 12.5규획(家食品安全管体系“十二五”规划)’에 따르면, 향후 식품 안전 관리감독기관을 중국 현()급 행정구역으로 확대했으며, 감시망을 2010년 344개에서 2012년 800여 곳으로 확대함.

  - 2012년부터 중국 정부는 유제품 기업은 반드시 멜라민 검사 능력을 갖춰야 하며, 육류제품 기업도 반드시 돼지 성장촉진제인 클레부테롤을 검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것을 규정함.

  - 연매출이 500만 위안 이상인 중국 식품기업은 3만4000여 곳으로, 중국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을 만족시키기 위해 식품안전분석기 수요가 늘어남. 식품안전분석기 시장 규모는 2012년 76억 위안에서 2012년에는 100억 위안으로 증가했으며, 매년 14%가 넘는 고속 성장을 지속함.

 

2010~2015 중국식품안전측정기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억 위안)

자료원: 신화망(新)

 

 ○ 중국 식품안전측정기 시장 전망

  - 중국 식품을 수입하는 국가들이 일부 식품의 유해물질 측정 기준치를 기존 ㎎/㎏ 단위에서 ㎍/㎏으로 강화함에 따라 중국 식품 기업들은 수출을 위해 식품안전분석기에 정밀도를 요구할 전망임.

  - 중국 정부는 12.5규획을 통해 식품 안전에 대한 기준을 강화했으며, 향후 식품생산 허가기간이 만료된 기업에 대해 재허가를 신청할 경우 식품안전검사 능력을 구비해야 함.

  - 중국 식품안전검사에 있어 잔류 농약, 식품첨가제 등의 수치를 가장 많이 검사하고 있어 이에 사용되는 질량분석기, 색층분석기, 분광광도계 등 고성능 식품안전분석기의 수요가 증가할 전망임.

 

□ 시장 경쟁 동향

 

 ○ 중국 식품안전측정기 시장 동향

  - 현재 중국의 식품안전측정기 생산기업은 300여 곳이며, 중저가의 중국제품이 시장을 주도하지만, 외국 고가제품의 시장점유율도 점차 상승하는 추세임.

  - 현재 30여 개 외국 브랜드가 중국 식품안전측정기 시장에 진출함. 중국은 매년 1만 대 이상의 액체 색층분석기와 질량분석기를 수입하고 있으며, 고성능 제품의 경우 외국 제품 의존도가 높음.

  - 중국산업전망연구원(中前瞻产业究院)은 식품안전분석기 생산 기업의 품질 및 시장 점유율을 바탕으로 2012년 중국 10대 식품안전분석기 브랜드를 발표함.

 

2012 중국식품안전 측정기 10대 브랜드

순위

회사명

국가

홈페이지

1

베이징푸시통용이치유한책임회사

(北京普析通用器有限任公司)

중국

www.pgeneral.com

2

쥐광커지구펀유한회사

(聚光科技股有限公司)

중국

http://www.fpi-inc.com

3

베이징펀루이리펀시이지유한책임회사

(北京北分瑞利分析器有限任公司)

중국

http://www.bfrl.com.cn

4

써모피숴싸이언티픽

(世尔科技有限公司)

미국

http://www.thermo.com.cn

5

워터스테크놀러지

(沃特世科技有限公司)

미국

http://www.waters.com

6

애질런트 테크놀러지

(安捷科技有限公司)

미국

www.agilent.com.cn

7

동일시마즈

(器(州)有限公司)

일본

http://www.shimadzu.com.cn

8

상하이징미커쉬에이치유한회사

(上海精密科器有限公司)

중국

http://www.sh-fx.info

9

베이징둥시펀시이치유한회사

(北京西分析器有限公司)

중국

http://www.ewaii.com

10

쟝수톈루이이치구펀유한회사

(江天瑞器股有限公司)

중국

http://www.skyray-instrument.com

자료원: 중국산업전망연구원(中前瞻产业究院)

 

 ○ 중국 기업 동향

  - 중국 기업의 가스 색층분석기, 고성능 액체 색층분석기, 가시광선 분광광도계, 원자흡수분광계 등은 성능 대비 낮은 가격으로 경쟁력을 보유함.

  - 베이징푸시(北京普析)는 중국 내 128개 자사 점포를 통한 판매 및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럽, 미국, 아시아 지역으로 제품을 수출함.

  - 중국 국내 환경측정기기 시장점유율 1위 기업인 쥐광커지(聚光科技)는 기존의 판매 서비스망을 활용해 제품을 판매하며, 중국 식품안전분석기 시장에서도 인지도가 높음.

 

중국 주요 기업 제품

             (단위: 위안)

브랜드

제품 종류

이미지

기능

가격

베이징푸시

(北京普析)

가시분광광도계

잔류 농약 검사

1만8000

항저우취광

(杭州聚光)

가스 색층 분석기

잔류 농약, 식품 첨가제,

EPA DHA등 검사

5만5000

샤먼카이뤄

(厦门凯诺)

중금속 측정기

납, 크롬, 카드뮴, 비소 등

 중금속 검사

5만

수어중톈루이

(州天瑞)

가스 색층

질량 분석기

잔류 농약, 인, 유기염소,

식품첨가제, 클레부테롤 등 검사

16만5000

자료원: 아리바바(阿里巴巴)

 

 ○ 외국기업 동향

  - 고가제품의 경우 미국의 Thermo Fisher Scientific Inc.와 Agilent, 일본의 Shimadzu 등이 대표 브랜드

  - 글로벌 측정기업인 Thermo Fisher Scientific Inc.는 1982년 중국에 진출했으며, 상하이를 본부로 9개 도시에 해외지사를 설립함. 효과적인 중국 진출을 위해 상하이, 베이징, 수저우에 총 5개의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중국 전역에 수리 서비스망을 구축함.

  - 일본의 시마즈는 현재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13개 지역에 해외지사, 5개의 연구센터와 60여 개의 분석기 수리점을 보유함. 중국에서의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2년 중국의 매출이 시마즈 전체 매출의 12.7%를 차지함.

 

외국 주요기업 제품

                      (단위: 위안)

브랜드

국가

제품 종류

이미지

기능

가격

시마즈

(shimadzu)

일본

가스 색층 분석기

잔류 농약, 식품 첨가제

 검사

16만

메슈트로닉

(Mesutronic)

독일

고정밀 자동

금속측정기

식품 중금속함량 검사

6만5000

애질런트

(Agilent)

미국

액체 색층분석기

식품 화합물, 호르몬,

방부제, 위험약물 등 검사

30만

메시카스

한국

분광 광도계

농약, 이산화유황, 메탄알,

포름알데히드 등의 함량

검사

6만6000

자료원: 아리바바(阿里巴巴)

 

 ○ 한국 기업 동향

  - 중국 시장에 활발히 활동하는 한국 식품안전분석기 브랜드는 신코(Scinco), ㈜영린기기 등 6개가 있음.

  - 메카시스(Mecasys)는 2002년 베이징에 대표처를 설립해 분광분석기와 수질분석기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MINI-MK 잔류 농약 측정기는 조작이 간편하고 기능이 다양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음.

  - 산업용 X-ray 전문회사인 자비스(Xavis)는 베이징, 션젼, 칭다오 등에 해외 대표처가 있으며 10여 개의 판매 대리점을 통해 식품 이물질 자동검출기인 Fscan 시리즈를 주로 판매함.

 

□ 시장진출 방안

 

 ○ 제품과 서비스 패키지 판매

  - 중국의 대다수 기업은 제품 설계, 생산과 판매 위주로 경영을 하지만 Thermo Fisher Scientific Inc.와 Agilent의 경우 매출 이익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거의 20%에 달함.

  - 제품 판매와 동시에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식품 이물질 혹은 잔류 물질에 관한 분석 기술 서비스와 유지보수 서비스를 패키지로 제공하는 전략이 필요함.

 

 ○ 전시회와 각종 세미나를 통한 시장 인지도 확보

  - 매년 규모가 확대되고 많은 국내외 식품기업들이 참가하는 중국 식품안전 제어 및 계측장비 전시회에 참가해 한국 기업의 제품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음.

  - 제품 사용자를 위한 기술 교육 세미나 및 지속적인 AS 서비스를 제공해 기존 고객을 유지하고 신제품 발표 및 데모 행사 등을 통해 신규 고객 발굴도 확대해야 함.

 

중국 식품안전측정기 대표 전시회

전시회명

전시 기간

개최지

주요 출품내용

비고

2013 제7회 중국식품안전 제어 및 계측 장비 전시회

(2013第七食品安全控制及检测仪设备)

2013년

11월 29일~

12월 1일

상하이

식품 첨가제 및 성분 분석기

샘플 처리 및 분석 장비

식품 테스트 장비 액세서리

안전 테스트 장비

식품 안전 솔루션 등

제6회 개최 결과:

면적: 1만 ㎡

참가업체: 200여 개

참관객: 3만 명

중국광저우

식품안전계측장비 전시회

(中广州食品安全监测仪器展)

2014년

개최 예정

광저우

식품안전분석기,

식품 안전 솔루션,

안전 기술 등

제9회 개최 결과:

면적: 2만 ㎡

참가업체: 150여 개

참관객: 8만 명

자료원: 전시회 홈페이지

 

 ○ 기업에 맞는 유통경로를 선택

  - 제품 판매를 위한 경로는 제조회사의 직접판매방식과 판매 대리상을 통한 방식과 두 가지를 병행하는 방법 등이 있음.

  - Thermo Fisher Scientific Inc.의 경우 중국 진출 초기에 판매 대리상을 통해 중국에 진출하고 이후 중국 공장을 운영해 중국에서 생산되는 제품과 수출제품을 직접 판매와 판매 대리상 활용을 병행해 판매함.

  - 중국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한국 기업이 지사를 설립하고 제품을 직접 판매하는 것보다는 판매 대리상을 활용하거나 직접 판매와 판매 대리상 활용을 병행하는 것이 효율적임.

 

 

자료원: 중국식품기계설비사이트(中食品机械设备), 아리바바(阿里巴巴), 바이두(百度), 신화망(新), 화공쯔쉰(化工资讯)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식품 유해물질 기준 강화로 식품안전 분석기 수요 늘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