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프랜차이즈 산업, 투자 규제 강화될 듯
- 투자진출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조주희
- 2012-02-28
- 출처 : KOTRA
-
인도네시아 프랜차이즈 산업, 투자 규제 강화될 듯
□ 인도네시아 프랜차이즈 산업, 2011년 15% 증가
ㅇ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급성장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산업 관련 규제를 강화할 것임을 시사. 국내무역 국장(Gunaryo)에 따르면 프랜차이즈 산업 성장에 비해 관련 규정 미비로 인해 시장 구조는 독점(직영점) 운영 및 단일 master franchisee 지정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아 공정 경쟁을 저해하고 있음
ㅇ 직영점 운영 형태는 단일자본, 동일 경영자가 설립한 다점포 체인으로 한 기업이 독자적으로 자기자본을 출자하여 확장하는 방식이며, 단일 master franchisee 는 해외에 본사가 있는 franchisor 가 목적국에 franchisee(가맹업자)를 하나만 지정, 가맹업자가 master 로서 목적국가에서 브랜드 가맹점 계약에 관한 독점권을 갖는 형태임
ㅇ 인도네시아 내 프랜차이즈 산업이 최근 2-3년간 타 산업 평균 성장률 12%를 상회하는 15%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유사 프랜차이즈의 형태이나 단일 기업의 시장 지배력 강화가 목적인 직영 운영에 대한 규제도 함께 강화될 예정
ㅇ 직영 운영 및 단일 master franchisee 에 대한 규제 강화의 의도는 성공한 프랜차이즈 기업들의 운영 기법과 매뉴얼을 공유, 대기업 독점 체제에서 벗어난 공정 경쟁 유도 및 중소 규모 사업자의 시장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상권을 보호하려는 것임
ㅇ 산업부는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운영권을 정식으로 취득했다는 공인 인증 마크를 개발하여 관련 요건을 준수하는 업체에 한해 배포할 예정이며, 동 인증마크는 현지 및 외국계 프랜차이즈에 공통 적용됨. 자격요건을 준수하지 않은 업체는 운영권 박탈 등의 제제를 가할 예정
□ 자카르타 주정부, SEVEN ELEVEN 조사 착수
ㅇ 자카르타 주정부 관광국은 급격한 점포 확장 추세에 있는 세븐 일레븐(Seven Eleven) 에 대한 조사에 착수. 57개 지점 중 15개 만이 정상적인 규정과 절차를 밟아 세운 미니마켓(minimarket) 이며 나머지는 인근주민동의, 공공질서법 및 건물사용 인허가 등에 있어 적법한 절차를 밟지 않고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 관광국 주장
ㅇ 자카르타 주지사령(Governor Instruction No.7/2012)에 따르면 미니마켓 설립은 주정부 규정 사항을 반드시 충족시켜야 하며, 주변 타 업종 및 상권을 침해해서는 안되고, 규모는 200 m2 이상 1,000 m2 이하, 재래 시장으로부터 최소1km 떨어진 곳에 위치해야 함
ㅇ 이에 대해 세븐 일레븐 측은 완조리 식음료의 제공 및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레스토랑으로 인허가 취득, 따라서 미니마켓 설립에 따른 자카르타 주지사령(Governor Instruction No.7/ 2012)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동 령에 대해 현재 검토중이며 필요할 경우 대응하겠다는 입장
ㅇ 자카르타 주정부는 세븐 일레븐의 점포 성격으로 볼 때 미니마켓 업종으로 규정짓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슷한 경우인 일본계 편의점 LAWSON 에 대해서도 적법성 조사에 착수할 계획임을 발표
□ 프랜차이즈 투자, 향후 전망은
ㅇ 인도네시아 프랜차이즈는 무역부와 산업부가 관여하고 있으며, 협회로는 무역부와 연계된 AFI와 산업부와 연계된 인니 상공회의소(KADIN) 산하의 WALI가 있음
- AFI(Asosiasi Franchise Indonesia : 협회장 Anang Sukandar) 는 무역부와 오랜기간 프랜차이즈 업종에 대한 인증제도 필요성에 대해 협의해 왔으며, KADIN 산하 중소 로컬 프랜차이즈 진흥에 역점을 두고 있는 WALI (Walalaba dan Lisensi Indonesia : 협회장 Amir Karamoy) 는 자국 프랜차이즈 경쟁력 강화에 역점을 두고 있음
ㅇ WALI 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프랜차이즈 개수는 약 1,114 개 이며 이중 외국계 프랜차이즈 개수는 약 400개로 전체 시장의 15% 가량을 차지하며 2012년에는 외국계 프랜차이즈 도입이 더 증가할 전망
ㅇ WALI 협회장 Amir Karamoy 는 급성장하는 중산층을 겨냥한 프랜차이즈가 증가할 전망이며, 약 200만명에 달하는 상류층들은 이미 외국계 프랜차이즈에 대해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주도하는 유망한 외국계 브랜드의 대거 진입이 예상된다고 언급
ㅇ 외국계 프랜차이즈의 경우 이미 성공이 입증되어 브랜드 유명세를 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프랜차이즈 보다 부유층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실제로 문의의 대부분은 외국계 프랜차이즈 도입 및 전망에 관한 상담이라고 WALI 는 밝힘
ㅇ 프랜차이즈 분야 인도네시아 진출을 고려하는 외국 기업들은 향후 master franchisee 의 복수 업체 지정 의무화에 대비할 필요가 있음
- AFI 에 따르면 외국계 프랜차이즈를 오픈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자금은 약 100억 ~ 150억 루피아(USD 113만 ~ 169만 달러) 정도이며, 외국계 프랜차이즈 기업은 반드시 본국 프랜차이즈 협회의 회원 증명, 진출 해당국가 대사관의 관련 서류에 대한 원본 인증 등이 요구됨
자료원 : The Jakarta Post, Bisnis Indonesia, 현지언론 및 인터넷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프랜차이즈 산업, 투자 규제 강화될 듯)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인도네시아에서 프랜차이즈 사업 잘 하기
인도네시아 2010.11.30
-
2
인도네시아, 프랜차이즈 사업 환경은 ?
인도네시아 2010.11.29
-
1
인도네시아에서 프랜차이즈 사업 잘 하기
인도네시아 2010-11-30
-
2
인도네시아 가전시장, 국가표준강화 움직임
인도네시아 2007-07-30
-
3
나이키 , 중국 베이징 법정에서 상표 “요구”
중국 2010-11-30
-
4
인도네시아, 프랜차이즈 사업 환경은 ?
인도네시아 2010-11-29
-
5
EU-베트남 FTA 발효, 원산지 증명서 제출 후에도 검증 대비해야
베트남 2020-10-06
-
6
EV FTA, 한국산 원단 교차누적 적용 절차
베트남 2021-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