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의 대러시아 투자 동향
  • 투자진출
  • 러시아연방
  • 블라디보스톡무역관
  • 2011-06-22
  • 출처 : KOTRA

중국의 대러시아 투자 동향

~ 2020년까지 양국 교역 미화 2,000억 달러규모 확대 예정~

     

 

 

□ 지표로 보는 중-러 관계

     

 ○ 양국관계는 1996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한 이래 경제적 교류를 급증시켰음.

  - 양국간 경제 협력은 지역적 인접성에 근거한 낮은 거래비용에 기인하여 이루어지고 있음

  * 2010년 대중국 교역 규모는 570억 달러로 러시아 교역국 중 최대 규모임.

     

러시아의 대중국 교역 현황

단위 : 미화 백만 달러

    

순위

수출품목

2,008

2,009

2,010

      

수입품목

2,008

2,009

2,010

-

총액

20,387

16,180

19,265

     

총액

34,659

21,959

37,786

1

광물성연료, 에너지

11,041

7,570

9,978

     

보일러, 기계류

8,037

5,055

8,647

2

목재,목탄

2,476

1,987

2,230

     

전기기기, TV, VTR

7,964

4,707

8,407

3

광, 슬랙

754

655

963

     

신발류

2,087

1,503

2,749

4

어패류

125

661

898

     

의류(편물제이외)

1,280

1,085

1,680

5

비료

1,536

565

821

     

의류(편물제)

910

777

1,280

6

보일러, 기계류

587

618

802

     

플라스틱류

1,315

810

1,259

7

유기화합물

704

498

758

     

완구, 운동기구

896

672

1,204

8

펄프

701

440

615

     

철강제품

1,243

674

1,182

9

플라스틱 제품

217

376

405

     

일반차량

1,788

448

879

10

고무제품

306

229

329

     

가구류, 조명기구

644

474

822

자료원 : 러시아 관세청

     

 ○ 러시아의 대중국 수입품은 전자기기, 의류 제품이 중심으로, 높은 가격 경쟁력에 근거하여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상태임.

  - 대 중국 수출 품목은 천연자원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무역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동 추세는 중국의 에너지

     확보 정책에 따라 지속될 전망임.

     

 ○ 2011년 3월 기준, 중국의 대러 투자액은 미화 267억 달러(러시아 전 투자규모의 8.7%)로 집계되었음.

     

중국의 대러시아 투자 규모

단위 : 미화 백만 달러

구분

투자 누계액 (2011년3월 기준)

2011년 1~3월  투자액

직접

포트폴리오

기타

중국

26,735

1,135

1

25,599

453

자료원 : 러시아 통계청

     

 ○ 2010년 중국과 극동러시아의 교역규모는 전년대비 12% 증가한 미화 69억 달러로 집계되었음.

  - 극동지역의 대중국 수출은 에너지 자원을 중심으로, 경제위기였던 2009년에도 수출량을 증대되는 등,

     안정적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음.

  * 특히 2010년 연해주-중국의 교역량은 미화 38억 4천만 달러로 연해주 전 교역량의 58%에 달했음.

     

극동지역 대중 교역 현황

단위 : 미화 백만 달러

  자료원 : 러시아 관세청

    

□ 중국 정부의 대러시아 투자 정책

     

 ○ 2010년 중국의 에너지 소비규모는 세계 2위의 소비규모인 23억 TOE임.

  - 동 소비규모는 빠른 경제 성장, 인구증가, 산업 현대화 정책 등에 따라 지속 증가할 전망임.

  - 이에 따라 중국은 가용 에너지원 발굴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경제성장 속도를 실질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는 자원은 석유, 가스, 석탄 등의 화석에너지 자원으로 잠정적으로 평가된 상태임.

     

 ○ 2020년 중국은 년간 석유 소비 6억 톤, 가스 소비 3,500억㎥ 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 중 30%만 자체

    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현재 중국의 주 에너지원은 석탄 및 원유로 가스를 활용한 발전비율이 전체의 4%에 불과하나, 향후

    에너지 수급 전략 및 활용성 면에서 가스 소모량을 증대시킬 예정임.

     

 ○ 중국은 러시아에 대해 아래와 같은 투자 전략 방침을 세워 접근중이며, 특히 에너지 안보 측면을 강조하여,

     우선적으로 투자를 시행하고 있음.

  - 중국의 에너지 안보 확보

  - 금융자산 외 부동산 등 실물자산 취득으로 향후 실물가격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

  - 투자국에 대한 정치, 경제적 학습을 위한 거점 마련

     

 ○ 중국은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12차 5개년 개발 계획을 설정하고, 서비스 및 자원절약형 친환경 사업

     대외거래의 질적 향상 정책 등으로 경제 구조를 재편하고자 노력중이며, 이 중 러시아와 인접한 동북 3성을 

    새로운 산업 개발 지구로 설정하여 정책을 시행중임.

  - 동북지역 개발은 동북항로 개척, 아태지역 접근력 향상, 자원 수급, 제조공업 육성등의 의미를 포괄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개발전략 수행을 위해 러시아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한 상황임.

     

□ 러시아 정부의 대중국 경제 협력 정책

     

  러시아의 대중국 경제 협력 정책은 에너지 부문을 중심으로, 지역경제 발전과 연계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요 골자는 아래와 같음.

  - 정체된 유럽시장 중심의 석유공급체제를 변경하여 아태지역시장으로의 수출시장 다변화

  - 기존 / 신 에너지 소비시장에 대한 직접적이고 다각적인 접근

  - 석유, 가스 장기공급계약 체결

  - 수입국내 수송, 배급망, 가공 등에 대한 참여

   - 러시아 에너지 인프라 개선에 대한 외국 투자 유도

     

  러시아는 ESPO 프로젝트로 이르쿠츠크 타이쉐트 지역에서 중국 다칭으로 향하는 송유관을 가동하여,

      2011년 1월 1일부터 중국으로 석유를 공급중임.

  - 동 석유라인을 통해 중국은 향후 20년간 년 1,500만 톤(일 30만 배럴)의 원유 공급을 약속 받았으나, 이를 위해

    Transneft, Rosneft에 미화 250억 달러의 차관과 러시아의 중국 내 정유소 건설 및 주유소 경영권 등을

    약속하였음.     

  * 2011년 러시아의 대중국 원유 수출량은 3,500~ 4,000톤에 달할 예정임.

     

□ 2011 상반기 러-중 경제 협력 프로젝트 추진 동향

     

 ○ 6월 16일 상트 페테르부르크 중-러 정상회담 결과, 양국은 2020년까지 교역규모를 현 3배 수준인 미화 2,000억

     달러로 확대시키기로 발표하였음.

  - 특히, 석유, 천연가스, 석탄, 전력 등 에너지 분야에서 전략적 장기 협력 관계를 강화시키기로 결정하였음.

  * 양국은 2015년까지 우선적으로 양국 교역규모를 미화 1,000억 달러로 확대시킬 예정임.

     

1. 에너지부문

     

 ○ 중국은 아무르지역 Erkovetkovo 석탄전, Ogodzhinskovo 석탄전에 자금을 투입하여 개발할 예정임.

  - 이에 따라 연산 600만 톤의 석탄 보급능력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됨.

  * 현재 러시아는 중국투자자들의 세금 인하 혜택 요구를 수용하여, 당 석탄전에 대한 SEZ 설립을 검토하고 있는

     상태임.

  * 2011년 러시아의 대중국 석탄 판매량은 1,200만 톤에 달할 것으로 판단됨.

     

 ○ 5월 31일 중-러 제 7차 에너지 회의에 따라, 향후30년간 년 680억 ㎥의 장기 가스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음.

  - 가스는 2015년 가동되는 알타이 건설관을 통해 300억㎥, 시베리아 극동 가스관을 통해 380억㎥가 공급될 예정임.

  - 현재 양국은 가스 공급가를 놓고 지속적으로 협상을 추진하고 있음.

  * 동 계약을 유럽 공급가인 1,000㎥당 미화 345달러로 환산할 경우 매년 러시아 GDP의 2%를 기여할

    것으로 평가됨.

   

2. 지역별 경제협력

     

 ○ 사할린 주정부는 3월, 베이징에서 투자 유치설명회를 개최하여 석탄 및 건설 산업을 중심으로 20개 이상의 투자

    협상을 진행하여 미화 2억 2,000만 달러규모의 중국 자본을 유치하기로 결정하였음.

     

 ○ 6월, 연해주 - 쑤이펀허 지역 실무자 면담을 통해 양국간 경제협력, 무역-투자를 증대시키기로 결정하였음.

  - 향후 블라디보스톡 - 하얼빈 지역을 연결하는 열차운송로 개발이 시행될 것으로 전망됨.

  - 소베스카야 가반 SEZ와 하바롭스크 주변 볼쇼이 우수리스크섬(중국명 헤이사츠)의 관광 프로젝트 개발 및

    현대화 프로젝트가 합동투자형태로 추진될 예정임.

* 볼쇼이 우수리스크(헤이사츠) 섬

 아무르강에 위치한 면적 350㎢ (홍콩 1/6)의 섬으로, 1929년 러시아에 의해 차지된 후, 영토분쟁이 지속되었음. 2004년 10월 러-중 합의로 양분하여 영유권을 가진 상태임. 반경 1,800km 안에 러시아 , 일본, 한반도, 몽골등이 포함되어 무역 교두보로서의 성장 가능성이 높음.

     

3. 러시아 신성장 동력 산업

     

 ○ 5월 중국투자공사(CIC)는 러시아 사모펀드 투자(기본금 미화 100억 달러 규모) 참여를 고려한다고

    발표하였으며, 이와 함께 러 공영기업의 민영화 계획에 적극 참여할 의사를 타진하였음.

  * 러 경제개발부에 따르면, 당 펀드는 15% 이상의 수익률을 보장하며 전략사업인 통신사업, 의약산업등 기술

    기반 산업 활성화에 집중 투자될 것으로 판단됨.

     

 ○ Sergei Simatko 러 에너지 장관은 러-중간 에너지협력 잠재성을 언급하며, 석유, 가스뿐 아니라, 전기,

    에너지 설비 투자, 석탄, 대체에너지 등을 활성화 시킬 의향을 발표하였음.

  - 현재 세계 1위인 중국의 풍력 및 태양력 발전 산업 역량과 러시아의 풍부한 대체 에너지 자원이 결합시

    시너지 효과를 가질 것으로 전망됨.

     

4. 금융 및 기타 협력

     

 ○ 중국은 4월 개최된 브릭스 회담의 싼야 선언을 통해 러시아의 WTO 가입을 지지하며, 동시에 자국화(위안화,

     루블화)를 통한 대외 결제 추진하기로 결정하였음.

  - 이에 따라, 중국 농협 등 공영 은행과 러시아 일부 은행의 무역 결제 통화가 위안화, 루블화의 단계적

    변환작업이 추진되고 있음.

     

□ 시사점

     

 ○ 중국은 북부 40km, 동북부 3,605km의 국경을 러시아 극동-시베리아 지역과 맞대고 있는 바, 지정학적으로

     러시아와 교역을 증대시킬 수밖에 없는 입장임.

  - 나호트카, 소베스카야 가반 항이 새로운 물류 중심지로 부상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이들 지역의 TSR을 활용한

    물류 운송 정책이 중국에 의해 크게 활성화 될 전망임.

  - 중국의 정책 및 동북3성 개발 계획과 러시아의 극동 지역 개발 계획의 전략적 이해관계 일치에 따라, 양국의 투자

     협력은 지속 증가할 것으로 판단됨.

     

 ○ 연내 성사될 것으로 예상되는 러시아의 WTO 가입은 중국의 대러시아 투자를 급증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를

     고려한 한국 기업 및 정부의 긴밀한 대응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자료원 : 러시아 통계청, 러시아 관세청, 극동지역 관세청, Ria novosti, Ria Priamamedia, 신화통신,

           러시아 경제개발부, 중국 투자공사, 중국 통계위원회, 러 에너지 관리청, 중국 동북 3성 행정처, Moscow

           times  외 KOTRA 블라디보스토크 KBC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의 대러시아 투자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