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한국산 니트릴 고무 대상 반덤핑 조치 내용과 시장 동향
  • 통상·규제
  • 중국
  • 청두무역관
  • 2024-12-09
  • 출처 : KOTRA

- 중국 상무부, 2018년 한국산 니트릴 고무에 부과된12.0%~37.3% 반덤핑 관세조치 5년간 연장

- 한국산 수입 제품 점유율 하락세

조치 개요


2018년 11월 8일, 중국 상무부는 ‘2018년 제84호’ 공고를 통해 한국과 일본산 수입 니트릴 고무를 대상으로 반덤핑 판정을 결정한 바 있다. 상무부는 해당국가 니트릴 고무의 덤핑으로 인해 중국의 관련 산업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밝히며 반덤핑 관세의 부과 형식으로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공표했다. 이에 따라 2018년 11월 9일부터 중국에 니트릴 고무 수입 시 한국산은 12.0%~37.3%, 일본산은 16.0%~56.4% 관세가 부과가 적용되고 있었으며 시행기간은 5년이었다.

☞공고원문: https://trb.mofcom.gov.cn/myjjdc/art/2018/art_011159c9123a4200a9d4b845979b483f.html

 

2023년 11월 8일, 중국 상무부는 ‘2023년 제43호 공고”를 발표하여 한국과 일본에서 수입된 니트릴 고무에 적용되던 반덤핑 조치에 대한 일몰 재심 조사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일몰 재심을 위한 덤핑 조사기간은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6월30일이며, 산업피해 조사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였다. 조사내용은 반덤핑 조치가 종료될 경우 한국과 일본산 수입 니트릴 고무의 덤핑이 지속되거나 재발할 가능성과 중국 국내 산업에 대한 피해가 지속되거나 재발할 가능성이었다.

공고원문: https://trb.mofcom.gov.cn/myjjdc/art/2023/art_fd688cb71ab24976b178cd1a2944aa11.html


2024년 11월 8일, 중국 상무부는 ‘2024년 제48호 공고’를 통해 반덤핑 조치가 종료되면 한국과 일본산 수입 니트릴 고무의 중국 덤핑이 계속되거나 재발할 있으며 중국 니트릴 고무 산업에 대한 피해가 계속되거나 재발할 있다고 판단 2024년 11월 9일부터 원산지인 한국과 일본의 수입 니트릴 고무에 대해 반덤핑 관세 부과를 5년간 연장한다고 공표했다. 

공고원문: https://www.mofcom.gov.cn/zwgk/zcfb/art/2024/art_fe0ea3f004e24a259c987d00dab67805.html

 

<공고문 이미지>

 

 

[자료원: 중국 상무부]

 

 

상무부는 <반덤핑 조례>제50조의 규정에 따른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국무원 관세위원회(國務院關稅稅則委員會)에 반덤핑 조치를 계속 시행할 것을 제안하고 국무원 관세위원회는 상무부의 제의를 받아들여 상기 결정을 내렸다.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는 제품의 범위는 기존 반덤핑 조치가 적용되는 2018년 상무부 제84호 공고의 제품 범위와 일치하며 반덤핑 세율도 기존과 동일하다.



제품정보

 

<수입산 니트릴 고무 반덤핑 조사 대상 상품정보>

조사범위

한국, 일본

조사품목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NBR)

적용영역

O-링, 오일 씰, 호스, 고무 롤러, 신발 바닥, 컨베이어 벨트 및 보온 발포 튜브 등

HS code

* <중화인민공화국수출입세칙> 기준

40025910, 40025990

[자료원: 중국 상무부]

 

수입현황

 

중국은 이미 2018년부터 5년 간 한국과 일본산 니트릴 고무에 대해 반덤핑 조치를 시행한바 있다. 한국은 중국의 니트릴 고무 주요 수입국 중의 하나로서 반덤핑 관세 부과 후에도 중국 수입시장에서 점유율이 감소했지만 수입량은 여전히 선두를 달리고 있다. 

 

<2015-2023 중국 니트릴 고무 주요 수입국>

연도

1위

점유율

2위

점유율

3위

점유율

2015

한국

41%

러시아

20%

일본

16%

2016

한국

36%

일본

19%

러시아

18%

2017

한국

32%

러시아

24%

일본

16%

2018

한국

34%

러시아

24%

프랑스

16%

2019

한국

32%

러시아

29%

일본

14%

2020

한국

36%

러시아

25%

일본

13%

2021

한국

33%

러시아

26%

일본

10%

2022

러시아

34%

한국

29%

프랑스

10%

2023

러시아

47%

한국

24%

프랑스

9%

[자료원: KITA]

 

중국의 한국산 니트릴 고무의 수입 감소에는 크게 세가지 요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3년의 경우 의료용 고무장갑, 고무 호스 같은 중국 니트릴 고무 다운스트림 산업의 조업도가 감소해 수입 수요도 감소했다. 그리고 중국에서 자국산 니트릴 고무의 안정적인 생산에 힘입어 일부 시장수요를 충족시키며 수입 제품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추세이다. 그 외에 반덤핑 조치를 시행으로 가격 경쟁력에 떨어져 있어 수입량에 영향을 미치는 점이 있었다.

 

<2014~2024Q3중국 對한국 및 일본 니트릴 고무 수입 추이>

(단위: 천 불,Kg)

연도

한국

일본

수입액

증감률

수입량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량

증감률

2015

31,577

-13.5%

16,066,399

-

12,476

-19.3%

2,970,610

-

2016

24,092

-23.7%

14,558,691

-9.4%

12,368

-0.9%

3,168,812

6.7%

2017

28,430

18.0%

12,585,744

-13.6%

14,670

18.6%

3,275,810

3.4%

2018

26,491

-6.8%

10,753,598

-14.6%

12,160

-17.1%

2,833,162

-13.5%

2019

22,461

-15.2%

11,497,385

6.9%

10,152

-16.5%

2,525,344

-10.9%

2020

22,845

1.7%

14,656,019

27.5%

8,476

-16.5%

2,524,684

-

2021

35,359

54.8%

14,718,646

0.4%

10,275

21.2%

2,467,671

-2.3%

2022

32,184

-9.0%

13,204,873

-10.3%

10,103

-1.7%

2,750,547

11.5%

2023

20,762

-35.5%

11,445,975

-13.3%

5,174

-48.8%

1,248,237

-54.6%

2024Q3

12,764

-24.1%

6,588,934

-29.2%

3,755

1.6%

926,288

5.9%

* HS CODE: 40025910 기준, 2024Q3 증감률은 동기대비 수치

[자료원: KITA, 중국해관총서]

 

중국 내 시장동향

 

아시아 지역은 세계 니트릴 고무 생산 비중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생산 국가 상위 7개국 중 중국, 한국, 일본 등 아시아 3개국이 포함된다. 2023년 중국의 니트릴 고무 생산량은 328,000톤으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2023년 기준, 현재 중국에 대형 니트릴 고무 생산기업은 6개가 있으며 이들의 생산력이 점점 고도 집중되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니트릴 고무 생산량 추이>

 

[자료원: 관옌보고망]

 

중국의 니트릴 고무 생산량과 명목 수요량은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2023년에는 각각 248,000톤과 308,000톤으로 전년대비 각각 5.52% 및 5.84% 증가했다. 중국의 니트릴 고무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수요량보다 적기 때문에 부족분은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니트릴 고무에 대한 *수입의존도는 점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 니트릴 고무 수입의존도=니트릴고무 수입량÷(니트릴고무 수입량+니트릴고무 생산량)

 

<중국 니트릴 고무 생산량 및 명목 수요량 대비>

 

[자료원: 관옌보고망]

 

<중국 니트릴 고무 수입의존도 추이>

 

[자료원: 관옌보고망]


전체 수출입 측면에서 중국의 니트릴 고무 수입량은 최근 대략 80,000-95,000톤을 유지했으며 2023년에는 84,000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10.53% 증가한 반면 수입액은 12억9000만 위안으로 전년동기 대비 15.69% 감소했다.

 

<2017-2023 중국 니트릴 고무 수출량 및 수출액 추이>

2017-2023 중국 니트릴 고무 수출량 추이

2017-2023 중국 니트릴 고무 수출액 추이

 

 

[자료원: 관옌보고망]

 


시사점


현재 중국의 한국산 NBR의존도는 높은 편이지만 이번 조치로 관세부가가 지속되면서 한국 니트릴 고무 기업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장기적으로 중국 로컬 기업이나 타국가 경쟁사로 인해 대체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그간 중국 시장에서 오랫동안 확립된 시장 우위와 고객 자원의 상실로 이어지는 리스크가 될 우려가 있어 우리 기업의 대응이 필요하다.

 

현재 시장은 글로벌 니트릴 고무의 공급과잉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장갑 수요의 사이클과 천연고무 강세로 인한 니트릴 고무 대체효과 등을 감안하면 글로벌 수요는 점점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우리 기업은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주요 다운스트림 제품 생산국의 기회요인을 살펴 아세안 국가 수출 다변화를 가속화하고 해외 수출 전략에도 선택과 집중을 필요가 있다.



자료: 관옌보고망, 중국 상무부, KITA, 중국해관총서, 청두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한국산 니트릴 고무 대상 반덤핑 조치 내용과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