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중국산 이소프로필 알코올(IPA)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예정
- 통상·규제
- 인도
- 뭄바이무역관 이준호
- 2024-10-08
- 출처 : KOTRA
-
1년간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조치 시행 후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 반덤핑 조사 진행 중
우리 기업에게 더욱 많은 수출길 열릴 수 있어 면밀히 주시 필요
인도 이소프로필 알코올 시장의 성장
이소프로판올 또는 2-프로판올이라고도 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IPA)’은 독특한 냄새가 나는 휘발성의 무색 액체이다. IPA는 소독제, 용제 및 세척제로 널리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손 소독제, 소독용 알코올 스왑 등에 포함된다. 이후 내용에서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IPA로 약칭하도록 하겠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산업 응용 분야에 걸쳐 IPA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의 발병 이후 살균제, 소독제 및 청소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급증하였고, 때문에 IPA에 대한 수요 역시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의료 분야에서도 IPA는 멸균처리를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원료이며, 전자 및 자동차 부문에서 또한 세척 및 탈지를 위한 용매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시아 태평양, 특히 중국과 인도에서는 산업화와 의료 인프라 확장으로 인해 IPA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세척제의 사용을 촉진하는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IPA에 대한 수요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인도의 IPA 시장은 의료, 제약 및 퍼스널 케어와 같은 여러 부문에 걸친 수요 증가에 힘입어 강력한 성장을 겪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살균제와 소독제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인도 내에서도 IPA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또한 의약품의 제조와 멸균을 위해 IPA에 크게 의존하는 제약 산업의 성장 또한 인도 IPA 시장 확장을 더욱 촉진하는 요인이 되었고, 전자 및 자동차 산업의 성장도 세척 및 탈지를 위해 사용되는 IPA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인도의 IPA에 대한 수입규제 조치 배경
지난 2017 회계연도 기준 인도로 수입된 중국산 IPA가 차지한 비중은 전체 수입액의 약 8% 수준이었다. 그러나, 2020 회계연도에는 중국산 IPA가 차지하는 비중이 57%까지 증가했다. 그러던 2020년, 코로나19가 지속 확산되면서 인도에서는 제약 및 살균제 부문의 핵심 화학물질인 IPA에 대한 수요 급증으로 물량 공급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당시 인도의 주요 공급원 중 하나였던 중국은 국내 수요를 보호하는 전략을 따랐고, 인도에 공급을 일부 중단하였다. 때문에 인도는 IPA를 제 때 공급받지 못해 곤혹을 치른 바 있었다.
코로나19가 어느 정도 완화된 시기인 2023년, 인도에서 중국산 IPA가 차지한 비중은 64%로 오히려 팬데믹 이전 수준보다도 높았다. 이에 따라 인도 정부는 IPA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치(수입수량 제한)를 발표했다. 참고로 2012년에 인도 정부가 제정한 세이프가드 조치 규칙은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에 따라 세이프가드를 이행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규정은 잠재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수입 급증 품목으로부터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인도의 이소프로필 알코올 수입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치
2019년 인도의 최대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제조업체인 Deepak Fertilisers and Petrochemicals Corporation Ltd.는 인도 무역구제총국(DGTR)에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것을 발단으로 2019년 11월 4일에 수입 IPA에 대해 인도 최초의 세이프가드(수량 제한) 조사가 시작되었다. 동 조사에는 인도의 생산자, 수출업자, 수출업자 협회, 수입업자 및 IPA 사용자의 의견이 반영되었다. 인도 무역구제총국은 종합적인 검토를 거쳤고, 2021년 9월 30일 IPA 수입에 대한 양적 제한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도 대외무역청(DGFT)에서는 2023년 3월 31일 IPA에 대한 수입 정책을 수정하라는 통지를 발표했다. 정책은 IPA의 수입에 수량 제한을 부과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수량 제한은 2023년 4월 1일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 1년 간 유효했으며, 당국은 필요에 따라 정책을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었다.
<원산지별 IPA수입량 제한(단위: 미터 톤)>
[자료: 인도 대외무역청]
한편, 대외무역청에서는 예외를 두기도 했는데, 경제특구(SEZ)에서의 IPA 수입에 대해서는 특정 조건에 따라 수입량 제한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수입 규제 정책이 IPA의 수입에 미친 영향
인도의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수입 동향은 글로벌 공급망과 국내 정책 변화의 영향을 받는다. 2022년과 2023년 사이 인도의 IPA 총 수입액은 1억 2,238만 달러에서 8,925만 달러로 27.07% 감소했다. 가장 큰 감소세를 보인 수입원은 중국으로, 수입액 측면에서 55.93% 감소를 보였다. 반면 한국과 대만으로부터의 IPA 수입은 오히려 증가했으며, 한국으로부터의 IPA 수입금액이 전년 대비 32.86% 증가했다.
<인도의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수입 동향, 2022-2023년>
연번
국가
수입액(단위: 백만 달러)
증감률(%)
2022년
2023년
세계
122.38
89.25
-27.07
1
중국
77.69
34.24
-55.93
2
대한민국
15.11
20.08
32.86
3
대만
14.07
18.48
31.32
4
미국
8.58
5.78
-32.6
5
네덜란드
4.58
5.74
25.36
[자료: 인도 상무부]
IPA에 대한 인도의 수입규제 조치 중단
2024년 4월 18일, 인도 대외무역청(DGFT)은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수입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치의 중단을 공식 발표했다. 무역 고시를 통해 전달된 이 결정을 통해 IPA 수입에 대해 국가별로 수량 제한을 두었던 조치를 중단했다. 2024년 4월 1일부터 IPA(HS 코드 29051220)에 대한 수입량 제한 조치가 해제되었으며, 현재 IPA 수입에는 제한을 두고 있지 않다. 이러한 변화는 제약, 화장품, 위생 등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인 IPA의 수입 및 유통과 관련된 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외무역청의 IPA 수입규제 중단 관련 무역 고시>
[자료: 인도 대외무역청]
인도의 이소프로필 알코올(IPA)에 대한 수입 동향은 수입량 제한 조치가 해제된 후 상당한 변동을 겪었다. 제한 철폐 후 3개월 만인 2024년 4월부터 6월 사이 IPA 수입액은 3,675만 달러로 급증하면서 해외 소싱이 급격히 증가했음을 시사했다. 수입량 제한이 해제됨에 따라 시장에서는 더 많은 IPA를 수입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중국은 여전히 최대 공급국으로 남아 수입 제한이 해제된 후 첫 3개월 동안 2,501만 달러 상당의 IPA를 공급했다. 한국, 대만, 미국으로부터의 수입도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같은 기간 한국은 749만 달러, 대만은 264만 달러를 인도로 수출했다.
<수입제한 폐지 이후 IPA 수입 동향>
연번
국가
수입액(단위: 백만 달러)
기간: 2024년 4월- 2024년 6월
세계
36.75
1
중국
25.01
2
대한민국
7.49
3
대만
2.64
4
미국
0.55
5
네덜란드
0.45
[자료: 인도 상무부]
중국산 IPA에 대한 반덤핑 조사
지난 2023년 9월 29일, 중국산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수입에 대한 반덤핑 조사가 시작된 바 있었다. 이는 중국산 IPA가 인도 시장에 덤핑되어 국내 생산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그리고 2024년 8월, 조사 기관은 중국 IPA 수입에 대한 반덤핑 관세(ADD) 부과를 재무부에 권고했다. 제안된 반덤핑 관세는 미터톤 당 217달러이며, 아직 인도 재무부에서는 중국산 수입 IPA에 대해 반덤핑 관세 부과 고시를 확정하지는 않은 상황이어서 예의주시 할 필요가 있다.
<중국산 수입IPA에 대해 제안된 반덤핑 관세>
[자료: 인도 대외무역청]
시사점
최근 인도의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수입 환경의 변화는 한국 수출업체에게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시하고 있다. 인도가 IPA 수입에 대한 수량 제한을 포함한 세이프가드 조치를 중단하기로 결정하면서 시장이 개방되었고 해외로부터의 IPA 수입이 급격히 증가했다. 제한 조치가 해제된 지 불과 3개월 만에 IPA 수입이 크게 증가했으며, 중국이 공급망을 주도하고 한국과 대만이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시장 변화는 한국 IPA 수출업체에게 인도로의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2024년 4월부터 6월까지 한국의 대인도 IPA 수출액은 749만 달러 증가했는데, 이는 무역 장벽이 제거됨에 따라 추가 확대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만약 중국산 IPA에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면 인도 시장에서 한국산 IPA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 기업들은 수입업체와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고 인도 정부의 반덤핑 조사 결과를 면밀히 주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제약 및 위생과 같은 부문에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하고 공급 일관성을 보장함으로써 인도 내에서 시장 입지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자료: 인도 대외무역청, 인도 상무부, 인도 무역구제총국, KOTRA 데이터베이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중국산 이소프로필 알코올(IPA)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예정)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말레이시아 국제 할랄 전시회(MIHAS) 2024 참관기
말레이시아 2024-10-08
-
2
현장을 통해 알아보는 한-러 외화 송금 현황
러시아연방 2024-10-08
-
3
제조업 중심 탈피, ‘룰 메이킹’으로 신시장 개척하는 일본
일본 2024-10-08
-
4
2021년 중국 의료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5
인도네시아는 녹색경제로 전환 중, 제1회 인도네시아 그린산업 서밋 참관기
인도네시아 2024-10-08
-
6
인도, 주요 원재료 · 중간재 수입관세 인하
인도 2024-09-24
-
1
2025 인도 반도체 산업 정보
인도 2025-07-07
-
2
2024년 인도 철강산업 정보
인도 2025-01-03
-
3
2024 인도 섬유 산업 정보
인도 2024-11-29
-
4
2024년 인도 화학산업 정보
인도 2024-11-25
-
5
2024년 인도 문구 및 미술 용품 산업 정보
인도 2024-10-16
-
6
2024년 인도 해양 산업 정보
인도 202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