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베트남 수출입 동향
- 경제·무역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박지원
- 2025-02-17
- 출처 : KOTRA
-
2024년 베트남의 총 교역액은 7,862억 9,000만 달러
베트남은 한국의 3위 수출국, 7위 수입국, 3위 무역흑자국
베트남 수출입 동향
베트남의 2024년 총 교역액은 약 7862억9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1% 증가했다. 총수출액은 4055억3000만 달러(전년 대비 약 14.3% 증가), 총수입액은 3807억6000만 달러(전년 대비 약 16.7% 증가)를 기록했다.
<2021~2024년 베트남 수출입 및 무역수지 추이>
(단위: US$ 억,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수출
3,362.5
19
3,718.5
10.6
3,555
-4.4
4,055.3
14.3
수입
3,322.5
26.5
3,606.5
8.4
3,275
-8.9
3,807.6
16.7
무역수지
40
-79.9
112
180
280
150
247.7
-11.5
[자료: 베트남 통계청]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베트남 수출입은 2023년을 제외한 기간 동안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2023년에는 대외여건의 악화로 인해 중국, 미국 등 베트남 주요 수출 시장의 수요가 감소하였으나 하반기부터 글로벌 경기 침체가 완화되며 회복세를 보였다. 2024년의 수출과 수입액은 글로벌 경제 회복과 대외 주문 증가로 글로벌 경기침체 이전인 2022년보다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다. 베트남 상공회의소(VCCI)는 2024년 베트남의 총 수출입액이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다고 언급하며 앞으로도 새로운 FTA 체결 및 기존 협정 업그레이드를 통해 무역 투자 협력을 강화하여 지속 가능한 수출을 촉진할 것으로 밝혔다.
베트남 주요 품목별 수출입 동향
2024년 베트남의 모든 주요 수출 품목들의 수출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였다. 이는 글로벌경제 위기 이후 주요 수출국들의 수요 증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전자제품 및 부품’ 품목이 전년 동기 대비 26.6% 증가한 725억8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베트남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
(단위: US$ 백만, %)
품목명
2021
2022
2023
2024
전자제품 및 부품
50,828
55,536
57,336
72,584(+26.6)
각종 전화기 및 부품
57,537
57,994
52,379
53,891(+2.9)
기계장비 및 부품
38,344
45,751
43,128
52,191(+21.0)
섬유/직물제품
32,753
37,566
33,329
37,036(+11.2)
신발류
17,751
23,895
20,237
22,871(+13.0)
목재 및 목제품
14,809
16,011
13,467
16,282(+20.9)
운송수단 및 부품
10,616
11,988
14,157
15,066(+6.4)
수산물
8,886
10,923
8,971
10,040(+11.9)
철강으로 만든 제품
11,795
7,993
3,973
4,594(+15.7)
섬유원사(Yarn)
5,612
4,713
4,355
4,407(+1.2)
기타
87,379
98,934
103,339
116,569
합계
336,310
371,304
354,671
405,531
주1: 괄호 안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자료: 베트남 관세청]
2024년 베트남의 모든 주요 수입 품목들의 수입 실적 또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였다. ‘기타 비금속’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3% 증가한 95억54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주요 수입 품목 가운데 수입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기타 비금속’의 수입 증가율 증가는 베트남의 남북 고속철도, 롱탄 공항 건설과 같은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 진행으로 해당 품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결과로 분석된다. 주요 수입 품목 가운데 수입액이 가장 높은 품목은 ‘전자제품 및 부품’으로 2024년 수입액은 1070억5300만 달러에 달한다.
<베트남 주요 품목별 수입 실적>
(단위: US$ 백만, %)
품목명
2021
2022
2023
2024
전자제품 및 부품
75,440
81,884
87,965
107,053(+21.7)
기계장비 및 부품
46,296
45,192
41,579
48,887(+17.6)
원단
14,324
14,706
13,016
14,905(+14.5)
각종 철강
11,523
11,920
10,425
12,583(+20.6)
플라스틱 원료
11,685
12,387
9,755
11,780(+20.7)
각종 전화기 및 부품
21,434
21,126
8,749
10,403(+18.9)
기타 비금속
8,611
9,253
7,626
9,554(+25.3)
플라스틱 제품
7,959
8,119
7,508
8,853(+17.9)
화학물질
7,735
8,747
7,726
8,286(+7.3)
화학제품
7,627
9,144
7,605
7,735(+1.7)
기타
119,600
136,423
124,419
140,724
합계
332,234
358,901
326,373
380,763
주1: 괄호 안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자료: 베트남 관세청]
베트남 국가별 수출입 동향
2024년 베트남의 국가별 수출입 증감률을 분석한 결과, 수출 상위 10개국 모두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입 측면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일본을 제외한 상위 8개국에서 모두 증가를 기록했다. 이는 2024년 베트남의 대외무역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024년 베트남 상위 10대 수출국 및 수입국>
(단위: US$ 백만, %)
국가
수출
국가
수입
금액
증감률
비중
금액
증감률
비중
미국
119,501
23.17
29.47
중국
114,020
3.05
29.95
중국
61,211
0.01
15.09
한국
55,925
6.5
14.69
한국
25,619
9.03
6.32
대만
22,741
23.45
5.97
일본
24,608
5.55
6.07
일본
21,588
-0.23
5.67
네덜란드
12,993
26.87
3.20
미국
15,102
9.26
3.97
홍콩
12,423
28.99
3.06
태국
12,447
5.51
3.27
인도
9,064
6.66
2.24
인도네시아
10,527
20.61
2.76
독일
7,934
7.22
1.96
말레이시아
9,133
16.95
2.40
태국
7,782
8.2
1.92
오스트레일리아
7,592
-11.03
1.99
영국
7,543
18.88
1.86
인도
5,829
-0.6
1.53
기타
116,853
16.47
28.81
기타
105,859
58.93
27.80
합계
405,531
14.34
100
합계
380,763
16.66
100
[자료: 베트남 관세총국]
2024년 베트남의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23.17% 증가한 1195억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은 베트남의 최대 무역흑자국으로 2024년 약 1043억9900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하며 베트남 무역흑자를 견인했다. 특히 2024년 베트남의 對미국 주요 수출 품목 가운데 ‘컴퓨터·전자기기 및 부품’이 232억156만 달러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기계 장비 및 부품’이 220억5252만 달러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으며 3위는 ‘섬유·의류’ 품목으로 161억5179만 달러를 기록했다.
베트남의 최대 수입국은 중국으로 2024년 수입액은 전년동기대비 3.05% 증가한 1140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베트남의 對중국 2024년 무역 적자액은 528억900만 달러에 달한다. 2024년 베트남의 對중국 주요 수입 품목 중 '컴퓨터, 전자기기 및 부품'이 345억8759만 달러로 수입 품목 1위를 차지했으며, ‘기계 장비 및 부품’이 289억6198만 달러로 2위를, ‘섬유류’는 99억8092만 달러로 3위를 기록했다.
2024년 한-베 교역 동향
2024년 한국-베트남 교역액은 전년동기대비 9.1% 증가한 867억6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9.1% 증가한 583억21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수입액은 전년동기대비 9.6% 증가한 284억4000만 달러를 기록하여 298억8000만 달러의 무역흑자액을 기록했다. 2024년 베트남은 한국의 3위 수출국, 7위 수입국, 3위 무역흑자국이다. 2023년에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로 양국 간 교역 규모가 감소하였으나 2024년 경기가 회복됨에 따라 교역 규모도 증가하였다.
<2020~2024년 한국의 對베트남 수출입 실적>
(단위: US$ 백만, %)
구 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수 출
48,510 (+0.7)
56,729 (+16.9)
60,972 (+7.5)
53,479 (-12.3)
58,321 (+9.1)
수 입
20,579 (-2.3)
23,965 (+16.5)
26,726 (+11.5)
25,941 (-2.9)
28,440 (+9.6)
무역수지
27,931
32,763
34,246
27,550
29,880
[자료: KITA]
한국 對베트남 품목별 수출입 동향
2024년 한국의 對베트남 수출 상위 10개 품목 중 ‘기타기계류(-19.1%)’, ‘석유제품(-17.7%)’, ‘계측제어분석기(-17.0%)’;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9.1%)’, ‘가구부품(-4.8)’을 제외한 나머지 5가지 품목들은 모두 증가를 기록했다. ‘반도체’는 2024년 한국의 對베트남 수출 1위 품목이며 전년동기대비 41.7% 증가한 180억3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러한 수출 증가는 글로벌 경제 회복과 스마트 기기 수요 증가에 따라 베트남 내 한국 제조기지의 생산 및 수출이 확대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2022~2024년 한국의 對베트남 주요 수출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품목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반도체
16,240
+15.8
12,729
+21.6
18,039
+41.7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12,527
+4.0
12,350
-1.4
11,227
-9.1
석유제품
3,733
+222.3
3,327
-10.8
2,731
-17.7
무선통신기기
2,358
-29.2
2,166
-8.1
2,511
+15.9
합성수지
2,581
+6.9
2,001
-22.5
2,333
+16.8
가구부품
2,194
-8.8
1,861
-15.1
1,772
-4.8
플라스틱제품
1,067
-9.2
1,021
-4.2
1,055
+3.4
철강판
1,069
-15.6
887
-17.0
994
+12.0
계측제어분석기
793
-17.1
801
+1.0
664
-17.0
기타기계류
815
+13.6
734
-9.9
593
-19.1
기타
17,242
+1.2
15,612
-9.45
16,402
+5.06
합계
60,972
+7.5
53,489
-12.3
58,321
+9.1
[자료: KITA]
주: MTI 3단위 기준
2024년 한국의 對베트남 수입 상위 10개 품목을 살펴보면, 수입 1위 품목은 ‘무선통신기기’이며 전년동기대비 3.0% 증가한 46억7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는 ‘의류’품목이 전년 대비 1.4% 증가한 35억9300만 달러로 2위를 차지했다. 3위 품목은 ‘반도체’이며 전년 대비 45.0% 증가한 29억7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4년 對베트남 수입 상위 10개 품목 가운데 감소율을 보인 품목은 ‘신변잡화(-2.5%)’, ‘목재류(-5.7%)’, ‘가구부품(-14.6%)’,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9.1%)’가 있으며 나머지 6가지 품목은 전부 증가율을 보였다.
<2022~2024년 한국 對베트남 주요 수입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품목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무선통신기기
5,986
+7.3
4,543
-24.1
4,678
+3.0
의류
3,840
+13.2
3,542
-7.7
3,593
+1.4
반도체
787
+5.0
2,053
+160.9
2,976
+45.0
컴퓨터
1,948
+19.1
2,075
+6.6
2,383
+14.9
산업용 전기기기
970
+33.8
1,396
+44.0
1,699
+21.7
신변잡화
1,250
+27.2
1,252
+0.1
1,221
-2.5
목재류
942
+24.8
722
-23.3
681
-5.7
가구부품
654
+4.8
571
-12.7
654
-14.6
평판디스플레이 및센서
783
-10.5
657
-15.9
598
-9.1
기타섬유제품
441
+3.6
409
-7.2
414
+1.2
기타
9,103
+11.54
8,718
-4.23
9,543
+9.46
합계
26,726
+11.5
25,938
-2.9
28,440
+9.6
[자료: KITA]
주: MTI 3단위 기준
시사점
2024년 베트남의 수출입 동향은 글로벌 경기 회복에 힘입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주요 수출국들의 수요 증가와 베트남의 무역 투자 협력 강화에 기인하며 2025년 베트남 무역수지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한-베 교역액은 증가세를 기록하며 양국 간 무역협력이 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반도체와 같은 주요 품목들의 수출 증가가 두드러지며, 베트남이 한국의 3위 수출국을 차지하는 등 양국 경제의 상호 의존도가 심화되는 양상이다.
이와 같이 글로벌 경제 회복과 함께 베트남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한국은 수출 품목의 다각화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교역 확대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해 베트남 시장에 대한 분석과 베트남 경제 성장에 맞춰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양국 간 교역 활성화와 상호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료: 베트남 통계청, 베트남 관세총국, 베트남 관세청,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베트남 수출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베트남 경제 동향 및 2025년 전망
베트남 2025-01-10
-
2
말레이시아, 2024년 에너지 효율 및 보전법(EECA) 본격 시행… 기업·산업 전반에 큰 변화
말레이시아 2025-02-17
-
3
인도네시아 무료 영양식사 프로그램(MBG) 시행, 현황과 전망은?
인도네시아 2025-02-17
-
4
빠르게 성장하는 베트남 E 모빌리티 시장, 어디까지 왔나?
베트남 2025-02-18
-
5
트럼프 2.0 시대의 인도-미국 관계
인도 2025-02-17
-
6
에듀테크로 보는 베트남 교육의 미래
베트남 2025-02-17
-
1
2024년 베트남 전력 및 에너지 산업 정보
베트남 2024-12-10
-
2
2024 베트남 건설산업 정보
베트남 2024-11-06
-
3
2024년 베트남 커피 산업 정보
베트남 2024-10-02
-
4
2024년 베트남 스마트 농업 산업 정보
베트남 2024-06-17
-
5
2023년 베트남 금융산업 정보
베트남 2024-01-04
-
6
2023년 베트남 IT산업 정보
베트남 2024-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