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건강보조식품 시장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박지원
  • 2024-09-25
  • 출처 : KOTRA

2023년 기준 한국은 베트남의 건강보조식품 수입점유율 5위 기록

전체 유통의 86.9%가 오프라인 소매

상품명 및 HS Code


HS 코드

품명

2106

따로 분류되지 않은 조제 식료품

2106.90

기타;

*주: HS코드 2106은 따로 분류되지 않은 다양한 조제 식료품류가 하위 품목으로 포함되며, 1905.90을 건강보조식품으로 정의해 분석함.

 

시장동향


베트남의 의료 서비스 시장은 지속적으로 발전 중이나, 아직 대도시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양질의 의료 서비스에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베트남 보건부(MOH, Ministry of Health)는 일부 병원은 수용 가능 여력의 150%가 넘는 환자를 수용하고 있으며 병원의 주 고객은 베트남 진출 외국인 근로자와 베트남 현지 부유층에 한정돼 있다고 언급했다. 따라서, 낮은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으로 인해 병원에 직접 가기보다는 약국과 전통적 형태의 구멍가게에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이나 의약품의 소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건강보조식품에 포함되는 베트남의 비타민과 식이보조제 시장은 2019년 8억4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2023년에는 11억4810만 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시장 규모가 점진적으로 증가해 2028년에는 17억13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2019~2028년 베트남의 건강보조식품(비타민과 식이보조제)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external_image

[자료: Euromonitor,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베트남의 2023년 건강보조식품(HS Code 2106.90)의 수입액은 10억1887만 달러로 집계된다. 한국은 2021년 수입점유율 4.2%로 4위를 기록했으나, 2022년부터 2023년까지는 중국과 말레이시아의 수입점유율 비중이 증가하며 수입 점유율 5위를 기록했다.

 

<최근 3년간 베트남의 건강보조식품 수입동향(HS Code 2106.90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구분

수입액

비중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총계

919,097

1,145,219

1,018,871

100.00

100.00

100.00

1

미국

284,981

256,843

263,770

31.01

22.43

25.89

2

싱가포르

199,192

275,598

254,842

21.67

24.07

25.01

3

중국

36,739

68,800

77,737

4.00

6.01

7.63

4

말레이시아

48,897

67,760

53,633

5.32

5.92

5.26

5

한국

38,579

52,677

46,186

4.20

4.60

4.53

6

태국

29,046

41,896

37,949

3.16

3.66

3.72

7

일본

20,378

32,536

33,703

2.22

2.84

3.31

8

뉴질랜드

38,403

44,679

30,320

4.18

3.90

2.98

9

네덜란드

25,860

36,168

29,899

2.81

3.16

2.93

10

대만

28,148

28,884

26,951

3.06

2.52

2.65

기타

168,874

239,379

163,881

18.37

20.89

16.09

[자료: IHS Markit Connect Global Trade Atlas 2024.9.]

 

경쟁동향


베트남의 건강보조식품 시장에는 국내외 다양한 회사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이 중 미국의 허벌라이프 뉴트리션이 13.1%로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베트남 제약사인 트라파코가 5.7%로 시장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독일 기업 베로카는 4.6%로 시장점유율 3위를 기록했다.

 

<2023년 기준 기업별 베트남 건강보조식품 시장점유율 및 대표상품>

기업명

시장점유율

기업 로고

대표상품

허벌라이프

뉴트리션

(Herbalife

Nutrition)

13.1%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external_imageexternal_image

트라파

(Traphaco)

5.7%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external_image

베로카

(Berocca)

4.6%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external_image

뉴트리라이크

(Nutrilite)

4.5%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파마넥스

(Pharmanex)

3.3%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external_image

[자료: Euromonitor, 각 기업 홈페이지]

 

최근, 한국의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소개영상과 제품 비교 영상들도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한국 홍삼 이외에도 한국의 비타민C 제품과 유산균 제품이 주로 언급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베트남의 전자상거래 시장이 성장하며 틱톡과 같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한국의 건강보조식품을 판매하거나 홍보하는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틱톡 내 건강보조식품 리뷰 관련 베트남 인기 영상>

external_image

[자료: 틱톡,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유통구조


베트남의 건강보조식품은 주로 건강 및 뷰티 전문점과 같은 오프라인 소매 채널에서 판매되며 전체 유통의 86.9%를 차지한다.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건강보조식품의 온라인 유통 채널 점유율은 13.1%에 불과하다.

 

<2023년 기준 베트남 건강보조식품 시장 유통 채널 구조>

external_image

[자료: Euromonitor,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베트남의 건강보조식품은 현대적인 시설의 대형 마켓과 이커머스 소매 채널의 급속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건강 및 뷰티 전문점이 오프라인 유통 채널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건강보조식품의 경우 대부분의 소비자가 오프라인으로 직접 물품을 보고 직원의 자세한 설명과 자신의 몸 상태를 고려한 성분 추천을 듣고 선택하고 싶어 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2106류에 속하는 건강보조식품의 경우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수출 시, ‘한-아세안 FTA’ 또는 ‘한-베 FTA’를 통해 낮은 관세율의 혜택을 볼 수 있다.

 

<HS Code 2106.90류 베트남 수입 관세율>
(단위: %)

HS Code

품목명

Preferential

(특혜관세)

AK FTA

(한-아세안)

VK FTA

(한-베)

2106

따로 분류되지 않은 조제식료품

 

 

 

2106.90

기타;

 

 

 

2106.9011

건조 두부와 건조 두부 스틱

25

0

0

2106.9012

신선한 두부(생두부)

15

0

0

2106.9019

기타

15

0

0

2106.9020

분말 형태의 알코올

15

3

2.5

2106.9030

비유제품 크리머

20

0

0

2106.9041

분말 형태

15

0

0

2106.9049

기타

15

0

0

2106.9053

인삼 기반 제품

15

0

0

2106.9054

복합 농축물의 제조용 원료로 사용되는 기타 조제품

15

0

0

2106.9055

기타; 물과 간단하게 희석해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복합 농축물

15

0

0

2106.9059

기타

15

0

0

2106.9061

알코올성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액체 형태의 것

18

5

5

2106.9062

알코올성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기타 형태의 것

18

5

5

2106.9064

알코올성 음료 생산에 사용되는 액체 형태의 것

18

5

5

2106.9065

알코올성 음료 생산에 사용되는 기타 형태의 것

18

5

5

2106.9066

기타; 알코올성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액체 형태의 것

18

0

0

2106.9067

기타; 알코올성 음료 생산에 사용되는 기타 형태의 것

18

0

0

2106.9069

기타

18

0

0

2106.9071

인삼 기반 식품보충제

15

0

0

2106.9072

기타 식품보충제

15

0

0

2106.9073

미리 혼합한 영양 강화제

15

0

0

2106.9081

락타아제(lactase) 결핍 유아 또는 영유아를 위한 조제식료품

10

0

0

2106.9089

기타

10

0

0

2106.9091

기타; 식품 가공에 사용되는 종류의 식품 또는 영양가가 있는 기타 물질과 화학 물질의 혼합물

15

0

0

2106.9092

향료나 색이 있는 시럽

15

0

0

2106.9093

코코넛 밀크(분말 여부 불문)

15

0

0

2106.9095

카야잼(Seri kaya)

15

0

0

2106.9096

기타 의료용 식품

7

0

0

2106.9097

템페(Tempeh)

15

0

0

2106.9098

기타 향료 조제품

8

0

0

2106.9099

기타

15

0

0

[자료: 베트남 관세청, 관세율표]

 

베트남의 건강기능식품은 베트남 보건부 (MOH)에서 관할한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가공식품으로도 분류되기에 적합성 선언(AC)을 등록해야 한다. 베트남 보건부의 식품관리청에 적합성 선언 등록 시에는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인 HACCP, ISO 22000 또는 이와 동등한 성격의 인증서와 성적서가 필요하다.

 

<건강보조식품 인증 관련 주요 법률 규정>

ㅇ 주요 시행령 및 시행규칙

- 시행령 Decree 38/2012/ND-CP: 식품안전법(Law 55/2010/QH12)의 일부조항 시행 상세 안내

- 시행규칙 Circular 08/2004/TT-BYT: 기능성식품 관리에 관한 지침

 

ㅇ 식품 안전 관련 시행규칙

- 시행규칙 Circular 52/2015/TT-BYT: 수입식품에 대한 식품 안전 국가검사 규정, 수출식품에 대한 증명서 발급 시행규칙 안내

- 시행규칙 Circular 43/2014/TT-BYT: 기능성식품 관리에 관한 규정

- 시행규칙 Circular 19/2012/TT-BYT: 식품 안전 기준 적합성 선언에 관한 안내

- 시행규칙 Circular 28/2013/TT-BCT: 산업통상부 주관 수입식품의 식품안전에 관한 국가검사규정

[자료: 베트남 법률포털]

 

시사점


베트남의 비교적 낮은 수준의 의료체계와 인프라로 인해 도심 이외의 지역에서는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낮은 편이다. 이에 각종 건강보조식품의 시장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의 건강보조식품류(HS code 2106.90)는 2023년 베트남 수입 점유율 5위를 차지했다. 따라서, 수입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베트남 소비자들의 소비 성향이나 문화적 특성 및 트렌드를 파악하고 신제품 개발과 적절한 마케팅을 통해 베트남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다만, 베트남 건강보조식품류 시장은 이미 다양한 국내외 경쟁 업체들이 존재하며, 정부의 기능성식품 관리에 대한 규제와 절차가 복잡한 편이다.


따라서, 베트남 진출을 원하는 기업들은 천연성분을 선호하는 베트남 소비자들의 특성에 맞게 새로운 제품을 개발해 접근한다면 더 많은 기회가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자료: Euromonitor, IHS Markit Connect Global Trade Atlas, 틱톡, 베트남 법률포털, 한국 관세청, 베트남 관세청,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건강보조식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