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24-07-02
- 출처 : KOTRA
-
색조 화장품 시장 최근 3년간 연 평균 13% 증가
한국, 중국 색조화장품 수입국 중 4위 차지
상품명 및 HS Code
색조화장품은 품목별로 크게 얼굴피부화장용, 눈화장용, 입술화장용, 손톱화장용으로 분류된다
상품명
HS코드
(한글)색조화장품
(중문)彩妆
330491, 330420, 330410, 330430
시장 동향
티몰 신제품혁신센터(TMIC, 天猫新品创新中心)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585억 위안(약 11조1596억 원)으로 2015년부터 연평균 1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은 2025년 703억 위안(약 13조4107억 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시장 규모는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나, 중국의 1인당 색조화장품 소비량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2022년 중국의 1인당 색조화장품 소비액은 39.33위안(약 7503원)에 불과하다. 이는 일본의 1인당 색조화장품 소비량의 5분의1 수준이다.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
[자료: 티몰 신제품혁신센터(TMIC, 天猫新品创新中心)]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유로모니터에 조사에 따르면 중국 색조화장품 중 베이스용 화장품이 50.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입술용 제품 비중이 32%이다. 이어서 눈용 제품이 15.1%, 기타 제품이 2%, 손톱용 제품이 1%를 차지한다.
<2022년 중국 색조화장품 품목별 비중>
(단위: %)
[자료: Euromonitor]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 색조화장품 수입액은 전년 대비 8% 감소한 12억1638만 달러이다. 그 중 입술용 색조화장품 수입액이 가장 많다. 2023년 기준 수입액은 6억3237만 달러로 전년 대비 3.3% 감소했다. 이어서 얼굴 피부용(3억7656만 달러), 눈용(2억273만 달러), 손톱용(471만 달러)로 나타났다.
<중국 색조 화장품 수입 규모>
(단위: US$ 천, %)
구분(HS Code)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입술용(330410)
931,658
825,061
916,421
654,035
632,372
베이스용(330491)
222,040
301,030
468,697
403,316
376,568
눈용(330420)
279,053
287,914
305,413
258,466
202,730
손톱용(330430)
5,368
5,188
6,536
5,986
4,705
합계
1,438,119
1,419,193
1,697,067
1,321,803
1,216,375
[자료: 한국무역협회]
중국 색조화장품 주요 수입 지역은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한국, 미국, 캐나다, 벨기에, 독일, 중국, 룩셈부르크 순이다. 상위 10대 수입국으로부터 수입 금액이 전체의 98%를 차지했다. 2023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12.3% 감소한 1억 2124만 달러(약 1685억 원)로 국가별 수입액 4위를 차지했다.
<중국 색조화장품 수입국별 수입 규모>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수입액
2023년/2022년 증감률
2021년
2022년
2023년
총계
1,697,067
1,321,803
1,216,375
-8.0%
1
프랑스
672,306
505,530
499,832
-1.1%
2
이탈리아
351,957
274,146
292,568
6.7%
3
일본
229,969
202,830
142,198
-29.9%
4
한국
161,433
138,291
121,248
-12.3%
5
미국
91,834
68,002
48,758
-28.3%
6
캐나다
48,819
39,310
42,111
7.1%
7
벨기에
67,924
43,546
25,514
-41.4%
8
독일
11,984
8,745
8,582
-1.9%
9
중국
24,600
12,383
8,738
-29.4%
10
룩셈부르크
546
1,556
6,878
342.0%
*주1: 상기 수치는 HS Code 330410, 330491, 330420, 330430 합산된 값
*주2: 수입대상국에 중국이 포함된 것은 중국 보세구 내 교역이 대외수입으로 집계되기 때문임.
[자료: 한국무역협회]
경쟁동향
기업 검색 사이트 치차차(企查查)에 따르면 중국의 색조 화장품 기업은 주로 광둥성(3905개), 저장성(1375개), 산둥성(977개), 허난성(659개), 상하이(385개) 지역에 주로 분포돼 있다. 그 중 상장기업 상하이쟈화(上海家化)의 매출액이 2022년 기준 19억7500만 위안(약 3753억 원) 색조 화장품 기업 중 매출액 1위를 차지했다.
중국 색조화장품 브랜드 시장 점유율은 2022년 기준 YvesSaintLaurent(圣罗兰)이 5.7%로 1위, Dior(迪奥)가 5.6%, 화시즈(花西子) 5.4%로 각각 2위, 3위에 올랐다. 최근 몇 년간 중국 색조화장품 브랜드가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는데 이들은 새로운 미디어 마케팅 툴을 적극 활용해 제품의 차별성을 강조하면서 폭발적인 매출 성장을 이루었다. iiMedia Research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 78.6%가 색조화장품 중국 브랜드에 관심을 보였고 그중 49.6%의 소비자는 중국 화장품 브랜드가 신선하기 때문에 구매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중국 색조화장품 브랜드 점유율 순위>
(단위: %)
순위
2020년
2021년
2022년
브랜드명
점유율
브랜드명
점유율
브랜드명
점유율
1
Perfect Diary
6.7
Florasis
6.5
YSL
5.7
2
Dior
6.0
Perfect Diary
6.3
Dior
5.6
3
Florasis
5.1
Dior
6.1
Florasis
5.4
4
Lancôme
5.0
Lancôme
5.1
Lancôme
5.4
5
Maybelline
4.0
YSL
4.3
Armani
3.3
6
YSL
3.8
Armani
3.4
Perfect Diary
3.1
7
MAC
3.4
Maybelline
3
3CE
2.9
8
Armani
3.1
MAC
2.9
Chanel
2.8
9
Estée Lauder
2.6
Chanel
2.8
Carslan
2.8
10
Chanel
2.5
Estée Lauder
2.7
MAC
2.7
11
Carslan
2.5
Carslan
2.6
NARS
2.6
12
L'Oréal
2.3
Collage
2.5
Estée Lauder
2.6
13
Givenchy
2.3
L'Oréal
2.3
Maybelline
2.6
* 중국 브랜드 굵은 표시
[자료: Euromonilor]
유통구조
중국 색조 화장품 유통은 크게 전자상거래 유통망과 오프라인 매장으로 나뉜다. 그 중 전자상거래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2022년 기준 54%을 차지하고 있으며, 온라인 구매 소비자수는 2억3600만 명에 달했다. 전자상거래 유통망은 다시 일반 전자상거래 플랫폼, SNS형 플랫폼, 콘텐츠 커머스 플랫폼으로 나뉜다. 전자상거래 플랫폼에는 타오바오(淘宝), 징둥(京东), 핀둬둬(拼多多) 등이 있고, SNS형 플랫폼은 위챗(微信), yunji(云集)등이 있다. 콘텐츠 커머스 플랫폼은 샤오홍수(小红书), 더우인(抖音) 등이 있다. 오프라인 매장 채널은 세포라(SEPHORA), 왓슨스(Watsons), 대형마트, 백화점 등이 있다.
이 중 샤오홍수(小红书)와 더우인(抖音)은 젊은이들이 가장 즐겨 이용하는 플랫폼으로, 최신 소비 트렌드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많은 기업이 제품 홍보와 판매에 최우선적으로 활용하는 플랫폼이다. 샤오홍수(小红书)의 경우 인플루언서나 일반 소비자의 사용후기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마케팅을 진행하고, 더우인(抖音)은 주로 라이브 커머스와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을 진행한다.
<중국 색조화장품 유통구조>
[자료: KOTRA 항저우 무역관 정리]
관세율
중국 색조화장품 관세율은 일반세율이 150%이고, 최혜국 세율은 5%이다. 관세율이 가장 낮은 최혜국 세율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2024년 중국 색조화장품 관세율>
HS Code
관세율
일반세율
MFN(최혜국 세율)
증치세율
330410, 330491, 330420, 330430
150%
5%
13%
[자료: 중국 자유무역구 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인증제도
화장품은 크게 특수 화장품과 비특수화장품으로 구분된다. 특수 화장품에는 육모(育发), 염색(染发), 펌(烫发), 제모(脱毛), 미유(美乳), 보건미용(健美), 탈취(除臭), 기미제거(祛斑), 자외선차단(防晒) 등 9종류가 있다. 이 9종류를 제외한 모든 제품은 비특수 화장품으로 분류된다. 중국 정부는 2018년 11월 10일부터 비특수 수입 화장품에 대해 '허가제' 대신 '등록(备案)제'를 실시해 화장품 통관절차를 간소화했다. 등록제의 기본적인 제출서류 및 심사기준은 심사허가제와 동일하지만 온라인으로 등록을 진행하고 기술심사를 사후에 보완할 수 있어 등록기간이 크게 단축됐다. 등록기간은 단축됐으나 심사수준은 기존 심사허가제와 동일하며, 사후 기술심사 불합격 시 수입과 판매가 중단될 수 있다.
<비특수 화장품 등록 절차>
[자료: 저장 저우산군도 해양산업 집결구 관리위원회]
시사점
중국은 색조화장품 소비 대국으로,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은 최근 3년간 연 평균 13% 증가했다.이러한 추세는 향후 몇 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고 소비자 수요가 다양화됨에 따라 색조 화장품 산업은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 내 한국 제품 SWOT 분석>
S(strength)
W(weakness)
- 신제품 출시가 빠르고 혁신적인 제품이 많아 신선함을 추구하는 소비자에게 인기가 있음
- 한류의 인기로 한국 색조화장품 브랜드의 소비자 인지도가 높음
- 중국 전자상거래 운영 경험과 디지털 마케팅 역량이 부족함
-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중국 브랜드만큼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움
O(opportunity)
T(threats)
- 고품질 색조화장품 수요 증가는 한국 브랜드에 새로운 성장 기회로 작용함
- 디지털 마케팅과 다양한 채널의 발전으로 새로운 판로 개척 가능성이 있음
- 화장품 인증 관련 중국의 정책 및 시장 환경의 변화
- 중국 브랜드의 성장과 해외 브랜드의 중국 진출 확대로 경쟁 심화
[자료: KOTRA 항저우 무역관 자체 조사]
최근 몇 년간 한국 브랜드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 경쟁이 심화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 브랜드가 빠르게 성장하며 품질이 향상됐고, 해외 브랜드도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어 한국 브랜드의 중국시장 점유율에 영향을 주고 있다. 중국 브랜드가 현지 브랜드라는 장점을 앞세워 적극적으로 전자상거래 채널을 개척하고 소비자 트렌드에 맞는 디지털 마케팅도 활발하게 추진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우리 기업은 소비자의 트렌드에 맞춘 디지털 마케팅을 강화해 브랜드 제품의 강점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한국 화장품 브랜드가 공략해 볼 만한 중국 소비 트렌드 중 하나는 ‘기분전환용 소비’의 확산이다. 데이터 연구 미디어 DT상업관찰 (DT商业观察)에서 발표한 '2023년 청년소비연구 (2023年青年消费调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젊은 세대들은 ‘기분전환’을 위한 소비를 중시하며 사용 후 자신의 경험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제품이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면 소비하겠다고 답변한 소비자가 70.3%에 달했다. 더 나은 경험에는 정서적 가치, 디자인, 브랜드의 문화 등이 포함된다.
한국 색조화장품 브랜드는 한류의 영향으로 중국 내 인지도가 높고, 가격 대비 품질이 좋은 제품이 많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강점을 살린 마케팅을 통해 제품이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안겨줄 수 있다는 인식을 안겨주어 소비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제품 상세 설명과 사용자 후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등의 전략이 중요할 것이다. 아울러 중국 시장에서 원활한 판매를 위해 중국 정부의 화장품 관련 정책이나 인증제도에도 관심을 갖고 대응해야 한다.
자료: TMIC(티몰신제품혁신센터), Euromonitor,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한국무역협회,중국자유무역구 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DT상업관찰(DT商业观察), KOTRA 항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오프라인 채널 분석으로 본 일본 화장품 유통 동향
일본 2024-07-02
-
2
2024년 태국 화장품 시장동향
태국 2024-07-01
-
3
미국 색조 화장품 시장동향
미국 2024-07-14
-
4
중국 선케어 제품 시장 동향
중국 2024-06-27
-
5
AI4BELGIUM 전략에 따라 발전하고 있는 벨기에 AI 생태계
벨기에 2024-09-04
-
6
2024년 하반기 중국 소비 트렌드 세 가지
중국 2024-09-25
-
1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2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3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4
2021년 중국 의료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5
2021년 중국 신에너지차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6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ICV) 산업 동향
중국 2022-01-1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