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우유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다롄무역관
- 2020-10-21
- 출처 : KOTRA
-
- 식품 안전과 프리미엄 이미지 때문에 해외 유명 브랜드 우유 인기 -
-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에 맞춘 프리미엄 우유 출시 및 포장 용기 다변화 등 마케팅 전략 고도화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지방분이 중량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감미료 첨가 여부에 따라 HS Code 분류
- HS Code 제4류는 낙농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 포함되는 우유는 전유(全乳)나 탈지(脫脂)유를 일컬음.
- 세부적으로 설탕 등 감미료 첨가 여부에 따라 우유 제품을 HS 제0401호와 제HS 0402호로 나눌 수 있음.
- 현재 중국으로 수출되는 한국산 우유는 HS Code 0401.20 또는 0401.10이 주종을 이루며 지방분이 중량에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HS Code 분류를 달리함.
품목 분류
구분
HS Code
생우유(밀크와 크림)
* 농축하지 않은 것으로서 설탕이나 기타 감미료 첨가하지 않은 것
0401
지방분이 전 중량의 100분의 1 이하인 것
0401.10
지방분이 전 중량의 100분의 1 초과 100분의 6 이하인 것
0401.20
지방분이 전 중량의 100분의 6 초과 100분의 10 이하인 것
0401.40
지방분이 전 중량의 100분의 10을 초과하는 것
0401.50
가공우유(밀크와 크림)
* 농축하였거나 설탕이나 기타 감미료를 첨가한 것
0402
가공우유(밀크와 크림 기타)
0402.99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 시장동향
ㅇ 중국 우유 생산량 4년 연속 성장
-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과 식품공업협회(食品工业协会)에 따르면 2020년 1분기 중국 전역 우유 생산량은 654만 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4.6% 증가했으며 2020년 2분기 생산량은 777만 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9.7% 증가함.
- 2020년 상반기 중국 내 우유 생산량은 1431만 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7.9% 늘었으며 4년 연속 성장세를 기록함.
- 농업농촌부(农业农村部)에서 2020년 6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전역 우유 및 유제품 생산은 2019년 9월 이후 연속 9개월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중국 우유 생산량
(단위: 만 톤)
자료: 국가통계국
ㅇ 중국 지역별 우유 생산 현황
-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 내 우유를 생산하는 목장은 주로 네이멍구(内蒙古), 헤이룽장(黑龙江), 허베이(河北) 등지에 분포되어 있으며 네이멍구, 헤이룽장, 허베이 지역의 우유 생산량은 중국 전체 우유 생산량에서 각각 18%, 15%, 13%를 차지하고 있음.
- 중국 내 주요 기업으로 네이멍구 소재 중국 최대 우유·유제품 제조사 이리(伊利), 광밍유업(光明乳业), 싼위안식품(三元食品), 신유업(新乳业), 톈룬유업(天润乳业) 등이 있으며 지역별로 유통되는 제품은 상이함.
중국 지역별 우유 생산 비중
(단위: %)
자료: 쳰잔산업연구원
중국 주요 우유 제조·유통사
제조사
이미지
㈜이리(伊利股份)
광밍유업(光明乳业)
싼위안식품(三元食品)
신유업(新乳业)
톈룬유업(天润乳业)
황스그룹(皇氏集团)
자료: 루이눙유업(睿农乳业)
ㅇ 최근 우유 소비 트렌드
- 올해 초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국가위생건강위원회(国家卫生健康委员会)는 ʻ코로나19감염 예방을 위한 영양 섭취 지도 의견(新型冠状病毒感染的肺炎防治营养膳食指导)ʼ을 통해 매일 우유 300㎖ 또는 유제품 300g 이상 섭취할 것을 권고한 이후 중국 내 우유 수요가 증가함.
- 식품안전 관련 중국 정부 정책 강화 및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의 보건 관심 증대로 인하여 최근 학부모들 중심으로 프리미엄 우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중국 내 우유 판매 및 제조사는 별도의 프리미엄 브랜드를 출시하고 있음.
ㅇ 주요 프리미엄 우유 브랜드 : 1. 이리 진뎬우유(伊利金典牛奶)
- 중국 최대 유제품 기업 이리(伊利)는 품질이 가장 우수한 우유를 멸균·가공해 프리미엄 브랜드 진뎬우유(金典牛奶)를 출시함.
- 고급스러운 제품 포장 때문에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소비자 사이에서는 고칼슘 우유로 인식되어 있음.
자료: 링스핑자왕(零食评价网)
ㅇ 주요 프리미엄 우유 브랜드 : 2. 런양이터우뉴(认养一头牛)
- 2016년 출시된 런양이터우뉴(认养一头牛)는 100% 생우유라는 점을 적극 홍보하고 있음.
- 본사는 항저우에 있으며 유럽 기준에 맞춰 우유를 생산·판매하고 있어,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고급 브랜드라는 이미지가 강함.
자료: 링스핑자왕(零食评价网)
ㅇ 주요 프리미엄 우유 브랜드 : 3. 멍뉴 터룬쑤우유(蒙牛特仑苏纯牛奶)
- 중국에서는 내몽고 지역에서 생산되는 우유의 품질이 대체로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멍뉴 터룬쑤우유는 내몽고 지역에서 생산되는 프리미엄 우유로 국가 표준 권장량보다 단백질 함유량이 높음.
- 고급 고칼슘 우유라는 브랜드 이미지로 광고 중이며, 터룬쑤(特仑苏)는 내몽고 지역에서 프리미엄 우유(金牌牛奶)라는 이미지를 지니고 있음.
자료: 링스핑자왕(零食评价网)
□ 수입동향 및 관세율
ㅇ 수입 상위 3개국이 전체 수입의 98.4% 차지
- 중국 해관총서(海关总署)에 따르면 2020년 7월 기준 중국의 가공 우유 수입규모는 51만4800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3% 증가함.
- EU는 2020년 1월~7월 기간 29만8,600만 톤의 우유를 수출하면서 전체의 58%를 차지했으며 뒤를 이어 뉴질랜드가 16만200톤으로 전체 31.1%를 차지함.
- 호주는 동기간 4만7700톤을 수출해 중국 총 수입의 9.3%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입 상위 3개국이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8.4%를 기록함.
- 해관총서는 우유 생산 후 멸균처리한 생우유와 첨가제를 함유한 가공우유에 대해 별도 구분을 하지 않았음.
중국의 우유 수입 현황
(단위: 만 톤)
순위
국가명
2020년 7월
2020년 1월~7월
전체
9.13
51.48
1
EU
5.45
29.86
2
뉴질랜드
2.59
16.02
3
호주
0.96
4.77
4
한국
0.09
0.58
5
벨라루스
0.02
0.07
자료: 해관총서
ㅇ EU 국가 중 독일, 폴란드, 프랑스 순으로 큰 비중 차지
- 2020년 1월∼7월 EU 국가들이 중국에 수출한 전체 우유 5만4,500톤 중 독일은 2만7천톤을 수출해 전체 29.5%를 차지함.
- 폴란드, 프랑스, 오스트리아, 벨기에 순으로 중국에 우유를 수출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EU 국가로부터 우유 수입 현황
(단위: 만 톤)
순위
국가명
2020년 7월
2020년 1월~7월
EU 전체
5.45
29.86
1
독일
2.70
16.06
2
폴란드
0.86
5.19
3
프랑스
0.79
3.33
4
오스트리아
0.26
1.41
5
벨기에
0.10
0.89
자료: 해관총서
ㅇ 중국의 한국산 우유 수입
- 2020년 1월~7월 기간 중국은 한국산 우유 5,800톤을 수입했으며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인 것으로 나타남.
- 현재 한국 기업 중에는 A사, B사, C사, D사 등에서 중국으로 수출을 하고 있으며 이 중 A사가 2019년 기준 약 1200만 달러 이상 수출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B사는 매년 약 500만 달러 규모로 중국에 수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수입 관세율
- HS Code 0401.10~50의 수입 관세율은 MFN 15%이며 APTA와 한중FTA 협정세율 적용대상이 아님.
- 한국에서 중국으로 수출하는 냉장 우유는 HS Code 0401.20에 해당하는 MFN세율 15%를 적용받고 있음.
- HS Code 0402.99 제품은 MFN 세율 10%를 적용받으며 APTA와 한중FTA 협정세율 적용대상이 아님.
HS Code 별 수입 관세율
HS Code
MFN
APTA
한중FTA
0401.10
15%
N/A
N/A
0401.20
0401.40
0401.50
0402.99
10%
-
-
자료: 중국해관통관실용책자(中国海关报关实用手册)
□ 경쟁동향
ㅇ 독일, 뉴질랜드, 호주 등 브랜드가 주로 유통
- 독일 Oldenburger(欧德堡), 뉴질랜드 Anchor(安佳), 호주 Devondale(德运) 등이 유통매장에서 판매되고 있음.
- 해외에서 수입되는 우유는 대체로 보존기간이 비교적 긴 가공우유 형태로 포장 방법 등에 따라 제품별 1ℓ 당 가격이 상이하며 최저 RMB 5.75에서 최고 RMB 41.58로 나타남.
중국 내 유통되는 수입 우유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생산국
규격
1ℓ 당 최저가격(RMB)
1ℓ 당 최고가격(RMB)
Oldenburger
(欧德堡)
독일
200㎖
1000㎖
7.42
11.90
Anchor
(安佳)
뉴질랜드
190㎖
250㎖
1000㎖
8.25
19.90
Devondale
(德运)
호주
200㎖
1000㎖
9.50
41.58
Weidendorf
(德亚)
독일
200㎖
250㎖
1000㎖
6.90
29.50
Meadow Fresh
(纽麦福)
뉴질랜드
250㎖
1000㎖
8.80
13.00
SUKI
(多美鲜)
독일
200㎖
1000㎖
5.75
16.90
자료: 쳰잔산업연구원
ㅇ 주요 프리미엄 수입 우유 브랜드 : 1. 호주 Australia’s OWN(澳牧儿童成长牛奶)
- 호주 Australia’s OWN(澳牧儿童成长牛奶)는 어린이용 우유를 별도로 출시해 판매하고 있으며 자연 친화적인 우유 생산 환경을 적극 홍보해 어린이 부모 사이에서 어린이 성장에 도움을 주는 프리미엄 우유로 알려져 있음.
자료: 링스핑자왕(零食评价网)
d 주요 프리미엄 수입 우유 브랜드 : 2. 뉴질랜드 Theland
- 뉴질랜드 Theland는 유기농 저지방 우유로 중국 내 프리미엄 이미지를 이어가고 있으며 뉴질랜드 정부의 식품안전 인증을 받아 공신력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소비자 사이에서는 뉴질랜드 대표 우유로 알려져 있음.
자료: 링스핑자왕(零食评价网)
d 주요 프리미엄 수입 우유 브랜드 : 3. 뉴질랜드 Anchor(安佳)
- Anchor(安佳)는 저지방 다이어트 우유로 성인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으며 운동 후 함께 마시는 우유, 대체 식사로 마시는 우유 등으로 홍보를 하고 있어 건강식품이라는 이미지가 강함.
자료: 링스핑자왕(零食评价网)□ 중국 내 유통되는 한국 우유
ㅇ 한국산 생우유
- 한국 우유는 중국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1ℓ 당 약 RMB 30∼40 가격에 판매되고 있으며 제품에 따라 할인 이벤트를 실시하고 있음.
- 중국 내 유제품 등 식품을 유통하고 있는 다롄 소재 기업 L사에 따르면 한국에서 생산·가공된 우유가 중국 내 매장으로 유통되기까지는 2일~4일 소요되며 평균 3일 내 매장 진열대에 놓여 소비자에게 판매되기 시작함.
- 유통기한이 짧은 생우유는 대량으로 한 차례에 몰아서 수입통관 및 유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소량으로 수출되고 있음.
- 한국에서 우유를 수입하는 중국 바이어는 최대한 빠른 시간 내 중국 전역에 유통해야 매출을 올릴 수 있고 유통기한이 지나면 폐기하기 때문에 다른 제품에 비해 신속하게 유통·배달하고 있다고 밝힘.
대형 유통매장에 판매 중인 한국산 생우유
자료: KOTRA 다롄무역관
ㅇ 한국산 가공우유
- 멸균처리 후 바로 유통되는 생우유 보다 유통기한이 긴 가공우유는 200㎖ 이하 규격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가격은 약 RMB 6~20 사이로 형성됨.
- 유통기한은 2주∼4주 이상이며 바나나, 초코, 딸기, 메론 등 첨가제를 사용해 유가공품으로 분류해 수출되고 있음.
- 한국 생우유 수출 시작 이전부터 중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우유, 두유 등 다양한 제품이 시중에 유통 중임.
대형 유통매장에 판매 중인 한국산 가공우유
자료: KOTRA 다롄무역관
□ 중국내 우유(원유) 가격
ㅇ 중국 상무부(商务部) 자료를 바탕으로 쳰잔산업연구원에서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2019년 9월 우유의 1ℓ당 평균 가격은 12.27 RMB를 기록하며 고점을 찍고 점차 안정세를 찾아가며 2020년 7월 1ℓ당 12.16 위안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남.
2019년 8월∼2020년 7월 중국 내 유통되는 우유(원유) 가격
(단위: RMB/ℓ)
자료: 상무부
□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 전역 우유 수요 지속 증가
- 중국유제품공업협회(中国乳制品工业协会)는 중국인의 우유 소비량은 전 세계 우유 소비량의 30% 가량을 차지하며 아시아 전체 소비량의 약 50%가 되는 것으로 파악했음.
- 한국 N사로부터 우유를 수입 및 유통하는 바이어 T사와 Y사는 기존 1선·2선 도시를 중심으로 유통·판매되던 수입 우유도 현재는 3선·4선 도시에서도 판매가 늘고 있다고 밝히며 한국산 생우유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 한국산 우유 뿐만 아니라 중국 내 우유 수요의 전반적인 증가세에 맞춰 중국산 우유와 해외 수입 우유 수요가 같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ㅇ 해외 프리미엄 우유 등 시장 내 경쟁 가속화
- 우유 유통단가를 놓고 유통시장 내 경쟁이 치열하며 브랜드 별로 판촉행사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
- 최근에는 200㎖, 250㎖, 1ℓ 등 우유 용량과 용기를 다변화하는 방식으로 소비자를 겨냥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음.
-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생방송 판매도 크게 늘고 있으며 일찍이 중국 시장에 진출한 해외 프리미엄 우유 등을 중심으로 중국 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음.
ㅇ 코로나19이후 가공 우유 시장 성장에 주목
- 코로나로 인하여 오프라인 마트 쇼핑의 감소세와 더불어, 인근 지역 목장의 직판 브랜드 우유가 니치마켓을 키우고 있음
- 따라서, 유통기한이 상대적으로 긴 가공우유시장을 기존 생우유 시장에서 구축한 한국산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하여 프리미엄 제품으로 시장개척 확대 필요.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중국식품공업협회(中国食品工业协会),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루이눙유업(睿农乳业), 링스핑자왕(零食评价网), 해관총서(海关总署), 바이어 인터뷰, KOTRA다롄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우유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성장이 기대되는 중국 유제품시장
중국 2020-04-16
-
2
미래가 기대되는 중국 식물성 우유시장
중국 2021-07-21
-
3
중국 생우유시장에 한류바람이 거세다
중국 2013-10-12
-
4
2022년 인도네시아 음료수 시장 동향
인도네시아 2022-10-18
-
5
[수출직결정보] 중국인, 바나나맛 우유에 푹 빠져
중국 2012-09-03
-
6
중국 요구르트 시장동향
중국 2021-04-21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