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알루미늄 시장동향
  • 트렌드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최지영
  • 2024-11-25
  • 출처 : KOTRA

베트남, 보크사이트 매장량 전세계 2위

자원은 풍부하나 알루미늄 제련 기술 등은 미흡

알루미늄이란?

 

알루미늄(AI, 원자 번호 13)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는 금속 원소로, 운송 포장 식품 및 화학 처리 건축 에너지 생성 및 송전에 중요하게 쓰인다. 알루미늄 생산은 지표에서 보크사이트 광석을 채굴하는 과정에서 시작되며, 이 광석은 바이엘(Bayer) 공정을 통해 알루미나(AlO)로 가공된 후 홀-에루 공정(HallHéroult Process)을 통해 알루미늄으로 변환된다. ‘합금하지 않은 알루미늄HS 코드는 7601.10이며, ‘알루미늄 합금7601.20, ‘알루미늄의 웨이스트(waste)와 스크랩(scrap)’7602.00로 분류된다.

 

베트남의 알루미늄 광석 매장량

 

알루미늄 광석으로 알려진 보크사이트는 알루미늄 생산의 주원료로 사용되며 베트남은 보크사이트 매장량이 풍부한 국가로 꼽힌다. 미국지질조사국(U.S. Geological Survey)2024년 광물 상품 요약 보고서(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4)에 따르면, 베트남의 보크사이트 매장량은 58억 건식 미터 톤으로 전 세계 매장량의 19.3%에 해당하며, 이는 기니에 이어 세계 2위에 달하는 수치이다.

 

<국가별 보크사이트 매장량(2024년 기준)>

(단위: 천 건식 미터 톤)


[자료: USGS]

 

2023718일에 발표된 2021~2030년 광물 탐사, 추출, 가공 및 사용 계획에 관한 결정문 Decision No. 866/QD-TTg에서 보크사이트는 티타늄, 희토류, 크로마이트, 니켈, 금과 함께 대규모 전략적 중요 광물로 지정됐다. 해당 결정문은 베트남의 보크사이트 매장량이 31억 톤에 불과하다고 명시했는데, 이는 국가별 매장량 평가 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베트남에는 총 75개의 보크사이트 광산이 있으며 그중 중부 고원 지역이 가장 풍부한 매장량을 보유한다. 특히 닥농(Dak Nong)성은 29개의 광산을 소유해 최대 매장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럼동(Lam Dong)성이 22개의 광산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2021~2030년 보크사이트 매장량 및 자원, 2050년까지의 비전>

(단위: 천 톤)

지역

광산 수

매장량

발견 잠재 자원량

탐사 자원량

총계

북부

21337

53465

74802

하장(Ha Giang)

5

1396

11352

12748

까오방(Cao Bang)

2

4757

25040

29797

랑선(Lang Son)

3

15183

17073

32256

남부

3063337

6441199

9594037

자라이(Gia Lai)

4

98500

1175400

1273900

닥농

29

1784461

2506233

4290694

바오록(Bao Loc) 지린(Di Linh), 럼동

22

674771

2014544

2689315

빈프억(Binh Phuoc)

8

498283

712730

1210430

해안가

2

7322

2956

10278

총계

3084674

6465328

9549419

[자료: Decision No. 866/QD-TTg]

알루미늄 생산

 

막대한 매장량에도 불구하고 지난 5년간 베트남의 알루미나와 보크사이트 생산량은 전 세계 생산량의 0.9~1%에 불과했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알루미나와 보크사이트 생산량은 다소 변동을 보였는데, 알루미나 생산량은 기술 개선과 자동화 수준 향상으로 소폭 증가한 반면, 보크사이트 생산량은 대지 정리 문제로 인해 수개월에 걸쳐 공장 가동이 며칠씩 중단되면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2023년 베트남의 알루미나 및 보크사이트 생산량>

(단위: 천 건식 미터 톤)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알루미나

1370

1400

1,456

1,430

1,400e

보크사이트

4000

3500

3,830e

3,900e

3,700e

: e는 잠정치

[자료: USGS]

 

베트남의 공장은 알루미나를 생산할 수 있으나 아직 알루미늄 제련 능력은 갖추지 못한 상태다. 알루미나는 럼동 보크사이트 알루미늄 콤플렉스와 년꺼(Nhan Co) 닥농 알루미나 공장에서 생산되며, 이 두 공장의 알루미나 생산 과정은 광석 드레싱(dressing) 단계와 알루미나 생산 단계의 두 가지 주요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베트남의 알루미나 생산 공정>


[자료: Environmental Economics E-Magazine]

 

상기 언급된 콤플렉스와 공장은 모두 베트남 국영 석탄회사인 비나코민(Vinacomin)이 투자하고 있으며,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계약자는 중국 알루미늄 국제 엔지니어링 찰리에코(Chalieco)이다. 보크사이트 채굴 및 알루미나 생산 과정에서의 유해 폐기물,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비산재 및 슬래그, 대기오염, 수질오염 등 여러 환경 문제가 야기되고 있어 베트남 정부는 이 두 프로젝트의 운영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럼동 보크사이트-알루미늄 콤플렉스 및 년꺼 닥농 알루미나 공장 세부 사항>

구분

럼동 보크사이트 알루미늄 컴플렉스

년꺼 닥농 알루미늄 공장

현재 설계 용량*

650000

650000

실제 용량 (2023년 기준)*

748300

712000

2030년까지의 설계 용량*

2000000

2000000

생산 제품

Al2O3 (98.5%)

Al(OH)3 (64% Al2O3)

주요 수출 시장

Al2O3: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Al(OH)3: 한국

(현지에서 생산된 알루미나는 전량 수출)

: *는 연간 알루미늄 톤

[자료: Decision No. 866/QD-TTg, Vinacomin, IDA]

 

<럼동 보크사이트 알루미늄 콤플렉스에 소재한 공장 사진>


[자료: IDA]

 

<년꺼 닥농 알루미나 공장 사진>


[자료: Government News]

 

베트남 정부는 결정문 Decision No. 866/QD-TTg에 따라 알루미늄 잉곳(ingot) 생산을 위한 닥농 알루미늄 전기 분해 공장의 시범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추가 신규 프로젝트에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닥농 공장은 당초 2016년 말 가동을 목표로 했으나 정책적 문제로 지연된 바 있다. 해당 프로젝트는 2030년까지 연간 120~150만 톤, 2031년부터 2050년까지는 연간 225~245만 톤의 알루미늄 잉곳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 과정에서 현지 생산 알루미나 일부를 원료로 사용할 예정이다.

 

베트남의 알루미늄 교역 동향

 

현지 알루미늄 제품 제조업체는 제련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수입산 미가공 알루미늄에 의존하고 있으며, 동시에 고철 알루미늄을 재활용해 재생 알루미늄을 수출하고 있다.

 

<2019~2023년 베트남의 대세계 합금하지 않은 알루미늄 교역 동향>

(단위: 1,000 USD)

순위

국가

수출

국가

수입

2019

2020

2021

2022

2023

2019

2020

2021

2022

2023

1

브라질

-

-

-

-

571

호주

150,782

179,386

269,132

265,106

281,082

2

중국

-

-

-

-

49

말레이시아

242,691

20,1941

307,629

268,368

203,104

3

한국

0

0

7

-

15

인도

22,793

33,241

216,499

322,230

188,065

4

일본

0

0

26

-

11

인도네시아

741

0

-

-

25,019

5

스위스

-

-

-

-

1

싱가포르

200

0

2,541

2,719

16,322

6

인도네시아

0

0

-

13

-

남아프리카 공화국

9,307

7,205

13,694

13,112

8,063

7

캄보디아

0

0

-

10

-

한국

803

511

609

107

2,242

8

영국

0

11

-

-

-

중국

2,327

379

828

2,102

1,675

9

미국

0

3

-

-

-

뉴질랜드

576

0

5,952

1,695

956

10

 

 

 

 

 

 

대만

2,943

1,614

2,012

2,937

196

 

기타

 

 

 

 

 

기타

28,244

36,039

48,657

62,170

144

 

총계

0

14

34

22

648


총계

461,407

460,316

867,553

940,546

726,868

: HS 코드 7601.10

[자료: ITC Trade Map]

 

<2019~2023년 베트남의 대세계 알루미늄 합금 교역 동향>

(단위: 1,000 USD)

순위 국가 수출 국가 수입
2019 2020 2021 2022 2023 2019 2020 2021 2022 2023
1 중국 39369 123388 158433 220809 258246 한국 145435 175914 252313 199531 157561
2 멕시코 58584 76900 112806 112709 82536 말레이시아 87095 80354 90694 105386 91622
3 튀르키예 2985 18097 59502 70062 53371 인도네시아 28699 24042 53652 61138 60241
4 대만 28123 30278 60192 51261 36445 대만 42549 42652 60588 62208 43568
5 태국 19165 18919 44793 60609 32566 태국 35271 29103 46422 51624 29513
6 스페인 313 47 82679 95405 31225 호주 19068 12288 18341 23506 13518
7 이탈리아 1966 4124 11283 27984 19903 바레인 - - - - 6553
8 일본 8662 6885 13586 11100 19561 스페인 1930 6455 8474 12310 4176
9 남아프리카 공화국 1019 966 5383 5167 16438 중국 110365 37105 38325 29956 3625
10 캐나다 0 0 23281 2929 12205 인도  683 1188 12606 5761 3557
  기타 157643 150802 154013 165608 75492 기타 42282 42824 77684 94425 8314
  총계 317829 430406 725951 820714 637988
총계 513377 451925 659099 645845 422248

: HS 코드 7601.20

[자료: ITC Trade Map]

 

<2019~2023년 베트남의 대세계 알루미늄의 웨이스트와 스크랩 교역 동향>

순위 국가 수출 국가 수입
  2019 2020 2021 2022 2023 2019 2020 2021 2022 2023
1 한국 37371 40818 44220 40394 27266 일본 15379 20580 30789 57499 37955
2 태국 14699 8025 11007 30484 23945 미국 10669 24843 26286 31952 36302
3 일본 1161 110 518 1136 672 독일 2839 3994 3900 2682 26642
4 에콰도르 - - - - 532 대만 11854 10000 20533 39435 24178
5 중국 160 968 343 - 201 한국 2325 2755 8874 11686 15749
6 대만 33 172 159 924 128 호주 2424 6488 9645 11742 11945
7 루마니아 - - - - 31 영국 1874 5376 6116 6433 9829
8 싱가포르 22 19 26 33 24 홍콩 3003 532 8066 14163 7644
9 폴란드 - - - - 1 태국 3366 2261 3960 2848 7319
10 헝가리 - - - - 1 스페인 1785 4359 6091 2897 3665
  기타  161 963 307 485 0 기타 17736 26641 37761 36279 14649
  총계 53607 51075 56580 73456 52801
총계 73254 107829 162021 217616 195877

(단위: 1,000 USD)

: HS 코드 7602.00

[자료: ITC Trade Map]

 

시사점 및 진출전략


베트남 정부는 결정문 Decision No. 866/QD-TTg에 따라 광산과 직접 연계된 심층 가공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기업에 한해 보크사이트 채굴을 허가하고 있다. 한편, 닥농과 럼동 알루미늄 광산은 개발 시작 단계에서부터 환경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정부가 정기적으로 공장을 점검하고 있어 투자를 고려하는 기업이라면 환경 관리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알루미늄은 △건설 △자동차 △전자 △포장 산업 등 베트남 주요 제조업 분야에서 필수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한국이 베트남의 최대 누적 투자국인 만큼 우리 기업들은 알루미늄 시장 동향을 꾸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 세계 2위의 알루미늄 매장량을 보유한 베트남이 알루미늄 밸류체인의 점진적 성장과 제련 기술 향상을 이룬다면, 한국의 알루미늄 수입선 다변화에 있어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USGS, Decision No. 866/QD-TTg, Environmental Economics E-Magazine, Vinacomin, IDA, Government News, ITC Trade Map,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알루미늄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