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중국 기저귀시장
  • 트렌드
  • 중국
  • 샤먼무역관
  • 2015-06-01
  • 출처 : KOTRA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중국 기저귀시장

- 2014년 수입규모 전년 대비 53% 증가 -

- 관세인하 조치에 힘입어 한국 기업만의 마케팅 전략 세워야 -

 

 

 

□ 나날이 증가하는 중국 기저귀 수요

 

 ○ 산아제한정책 완화에 따른 수요량 증가

  - 중국인구학회에 따르면, 2014년 도입된 ‘단독 두 자녀(單獨二胎: 부부 가운데 한 명이 독자일 경우 자녀를 두 명까지 낳을 수 있도록 허용)’ 정책에 따라 2014년 중국 신생아 수는 전년보다 47만 명 증가한 1687만 명임. 2015년 신생아 수는 1800만 명, 0~3세 영유아는 4800만 명에 달할 전망임.

 

 ○ 라마(辣媽)를 주축으로 증가하는 기저귀 수요량

  - 라마(辣媽)는 주로 80허우(80後: 1980년대 이후 출생자)로 구성되며 경제력을 갖춘 신세대 엄마를 지칭하는 신조어임. 이들은 현재 육아트렌드를 이끌어가는 핵심 소비층으로 기저귀 소비의 ‘큰 손’임. 또한, 대부분 외동이기 때문에 ‘두 자녀 정책’을 통해 신생아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기저귀 시장

  - 소비수준 향상과 의식변화로 2008년 기저귀 시장은 성장궤도에 올랐음.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 2013년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15% 성장한 약 230억 위안에 달했음.

 

자료원: 中华网财经

 

□ 중국 기저귀 수입 규모

 

 ○ 중국 2014년 기저귀 총 수입액은 전년 대비 53% 증가한 약 7억3390만 달러로 비약적 성장을 이룸.

 

 

자료원: KITA

 

 ○ 상하이, 광둥, 저장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기저귀 수입량이 증가하는 추세임. 중국 기저귀 보급률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2, 3선 도시의 기저귀 수입량 또한 대폭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2014년 중국 성별 기저귀 수입규모(HS Code 96190010)

                                                                                                            (단위: 달러)

순위

성명

2014년 12월 수입액

 

총계

733,901,875

1

Shanghai CY(上海)

205,665,290

2

Guangdong PE(廣東省)

112,592,575

3

Zhejiang PE(浙江省)

106,690,724

4

Jiangsu PE(江蘇省)

75,148,702

5

Liaoning PE(遼寧省)

67,194,221

6

Tianjin CY(天津)

58,384,375

7

Beijing CY(北京)

46,699,157

8

Fujian PE(福建省)

32,473,878

9

Shandong PE(山東省)

16,977,143

10

Hunan PE(湖南省)

4,939,040

자료원: KITA

 

 

□ 중국 내 5대 기저귀 브랜드 및 특징

 

 ○ 현재 중국 내 기저귀 브랜드는 1200여 개로 2013년도에만 200여 개 신제품이 출시됐음. 향후 5년간 시장상승세가 지속되며 브랜드 간 경쟁이 최고조에 이를 전망임.

 

 ○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소비자들은 흡수력, 통기성, 촉감 등 종기 기저귀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높아져 소규모 브랜드 입지가 점점 좁아짐.

 

 ○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기저귀 선택 시 고려항목으로는 통기성, 빠른 흡수 및 역류방지, 부드러운 촉감, 슬림형, 편안한 재질, 다양한 사이즈 등이 있음.

 

 ○ 중국 기저귀 시장은 대부분 수입산 제품인 하기스(好奇), 팸퍼스(帮宝适), 마미포코(妈咪宝儿), 메리즈(花王)가 선두자리를 차지하고 중국 브랜드로는 안얼러(安尔)가 상위권을 차지함.

 

  중국 소비자, 기저귀 선택 시 고려항목

자료원: 中华网财经

 

중국 내 종이 기저귀 5대 브랜드 현황

순위

브랜드

평균 판매가격

시장점유율(판매량 기준)

회사 소개

1

팸퍼스(帮宝适)

163위안

28.9%

1837년 미국 설립

소비자선호도 1위 브랜드

세계 500대 기업

전 세계 최대 일용품 기업

P&G(宝洁) 중국 유한공사

2

하기스(好奇)

183위안

22.0%

1872년 미국 설립

세계 500대 기업

킴벌리(金佰利) 중국 투자 유한공사

3

마미포코(妈咪宝贝)

149위안

12.5%

1961년 일본 설립

다국적 기업

영유아, 여성용품 등 위생제품 생산기업

유니참 생활용품(尤佳生活用品) 유한공사

4

메리즈(花王妙而舒)

156위안

9.9%

1887년 일본 설립

세계 500대 기업

일본 카오(花王) 계열사

일본 최대 일용용품 생산기업

카오(花王) 중국 유한공사

5

군(大王)

148위안

4.1%

1943년 설립

일본 최대 페이퍼 생산기업

세계 최대 펄프일체화 공장

다왕(大王)생활용품 유한공사

자료원: , 中告大

 

□ 전망 및 우리 기업 진출 전략

 

 ○ 중국 기저귀 보급률 40% 미만

  - 미국, 일본 기저귀 보급률은 각각 80%, 95%로 추정됨. 중국 기저귀 보급률은 40% 미만으로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아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큼. 중화망재정(中华网财政)에 따르면 2018년 기저귀 시장규모는 45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산됨.

 

 ○ 브랜딩 전문업체인 북경샹다오(北京象道)에 따르면, 2014년 중국 기저귀 판매량 및 매출액은 각각 16.2%, 16.5% 성장했으며, 4600만 명에 육박하는 잠재소비자, 경제력을 갖춘 라마(辣媽)의 높은 구매력, 산아제한정책 완화 등에 힘입어 기저귀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임.

 

 ○ 중국 정부는 6월 1일부터 국내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 수요 보완을 위해 일부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결정함. 기저귀 품목은 기준세율인 7.5%에서 2%로 인하될 전망임. 이는 한국 기업이 현지 브랜드들의 성장에 맞서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로 보임.

 

 ○ 한국 기업 진출 전략

  - 중국 기저귀 시장은 팸퍼스, 하기스, 메리즈 등 다국적 기업들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향후 시장전망이 밝기에 우리 기업들이 후발주자로서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됨.

  - 한국 기업은 영유아, 생활용품 등 관련 전시회 및 한국 상품 박람회 참여를 통해 중국 내수시장 공략 가능. 다국적 기업들과 경쟁해야 하는 만큼 광범위한 브랜드 홍보를 통한 브랜드 인지도 강화 필요

  - 현지 대리상과의 꾸준한 접촉을 통해 중국 소비자들의 선호제품 트렌드 파악, 경쟁사들의 마케팅 전략 벤치마킹 등 후발주자의 이점 활용

  - 한국 기업만의 우수한 품질, 디자인, 현지 브랜드와 맞설 수 있는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온라인 쇼핑몰, 영향력 있는 현지 유통기업들과 협력 필요

 

 

자료원: 中国产业消息,中询网, 中国报告大, 华网财经, 北京象道, 百度,KOTRA 샤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중국 기저귀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