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500만 호 주택건설과 함께 성장하는 사우디 가구시장
  • 트렌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염기혁
  • 2013-05-05
  • 출처 : KOTRA

 

500만 호 주택건설과 함께 성장하는 사우디 가구시장

- 55억3992만 달러 시장, 주택 공급 증가 등으로 지속 성장 예상 -

- 소득 증가로 IKEA 등의 해외 브랜드 및 고가 제품 선호 현상 -

- 새로운 트렌드 창출, 디자인 차별화, 제품라인 다양화 중요 -

 

 

 

자료원: The Muslim Times, Al Jedaie 홈페이지

 

□ 시장 동향

 

 ㅇ 사우디 가구·가정용품시장은 2012년 기준 총 55억3992만 달러 규모이며, 전년 대비 10% 성장함.

  - 2007~2012년까지 연평균 9.9% 성장했으며, 2017년에는 2012년 대비 29.2% 성장한 71억5576만 달러에 달할 전망임.

 

2008~2012년도 사우디아라비아 가구·가정용품시장 규모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Euromonitor

 

 ㅇ 총 점포 수는 2012년 2571개로 전년 대비 35개 증가했으며, 2017년에는 2012년 대비 7.8% 증가한 2771개까지 증가할 전망임.

  - 점포규모는 2012년 기준으로 총 109만7700㎡로 2007년 대비 12.2% 증가했으며, 2017년에는 123만900㎡에 달할 전망임.

 

□ 사우디 가구·가정용품시장 확대 요인

 

 ㅇ 전통적인 개인주택 소유 및 주택 치장 문화

  - 최근 서양식 문화의 유입으로 아파트 및 빌라 건설이 증가했으나 사우디인들은 전통적으로 넓은 개인주택을 선호함.

  - 주택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척도로 인식되므로 부유층은 특히 호화로운 집을 소유하고 집을 꾸미는 데 관심이 많음.

 

 ㅇ 정부 주도의 주택 공급 증가

  - 현재 사우디 내 주택 부족분이 약 200만 호에 달하며, 사우디 정부는 중동 민주화 사태 이후 민심을 달래기 위해 향후 500만 호 주택건설을 발표함.

  - 명확한 주택융자법의 부재로 주택 구입에 어려움이 있어 가구·가정용품시장 성장에 방해물로 작용해왔음.

  - 최근 융자 및 주택법이 통과됐으며, 시행 마무리 단계에 있음. 정부 주도의 대규모 주택공사사업이 진행되는 등 향후 사우디 내 주택 공급 및 소유주가 크게 증가할 전망임.

 

사우디 살만베이 주택 조감도

자료원: Google Image

 

 ㅇ 사우디 가정의 소득 증가

  - 지속된 사우디의 정부 주도 경제발전으로 사우디인들의 가처분소득이 크게 증가해 고가의 가구 제품에 대한 구매력이 상승함.

  - 특히, 중산층의 구매력이 신장되면서 가구·가정용품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함.

 

□ 경쟁 동향

 

 ㅇ 가구·가정용품시장 점유율 1위는 IKEA로 총 17.8%를 차지해 2위인 Al Aamer Furniture와 약 10%의 격차를 보임.

  - IKEA는 합리적인 가격에 타사와 차별화된 감각적인 유러피언 디자인 제품을 선보이며 성공적으로 젊은 층을 공략하고 있음.

  - 또한, 매장 내 어린이 놀이공간 및 카페 등의 오락시설을 설치, 쇼핑이 가족단위 주요 레저활동으로 자리 잡은 사우디에서 가족이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을 제공하고 있음.

 

 ㅇ IKEA에 이어 Al Aamer Furniture, Al Jedaie, Al Qefari가 각각 7.6%, 3.3%, 2,5%의 점유율을 차지함.

 

 ㅇ 2012년 기타 브랜드(중소형 브랜드 및 소매상) 점유율이 65.5%로 여전히 시장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전년 동기 대비 약 2% 하락하는 등 점차 하락 추세임.

  - 사우디인들의 소득증가에 힘입어 저가의 독자소매제품에서 IKEA 및 Al Jedaie와 같은 상대적으로 고급인 선두 브랜드제품을 선호하는 현상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됨.

 

사우디아라비아 가구·가정용품시장 브랜드별 점유율 추이

                        (단위: %)

브랜드

회사

2009

2010

2011

2012

IKEA

Ghassan A Al Sulaiman Est

13.5

15.1

16.4

17.8

Al Aamer Furniture

Al Aamer Furniture Co

7.7

7.8

7.8

7.6

Al Jedaie

Al Jedaie Fabrics &Furniture Co

2.6

2.5

2.5

3.3

Al Qefari

Al Qefari Co for Carpets

2.5

2.6

2.7

2.5

Lifestyle

Al Bandar Trading Co

2.0

1.9

2.0

2.0

Home Centre

Al Bandar Trading Co

1.1

1.1

1.1

1.2

Zara Home

Fawaz Al Hokair Group

0.2

0.2

0.1

0.1

Office 1

A A Turki Co (ATCO)

1.2

-

-

-

Kika

Fawaz Al Hokair Group

0.1

-

-

-

기타

 

69.2

68.7

67.4

65.5

자료원: Euromonitor

 

 ㅇ 그러나 여전히 독립소매상들의 소규모 점포가 가장 주요 판매 및 유통경로로 전체 점포 수의 90% 이상을 차지함.

  - 주요 선두기업들은 점포 수 확대를 위한 대규모 부지 확보와 쇼룸 설치 등 비싼 비용이 들어 사업 확장에 일정 부분 한계를 보임.

  - 예외적으로 쇼핑몰을 소유한 Al Bandar은 2012년 4개의 점포를 확대하며 총 72개의 점포를 보유함.

 

 ㅇ Ghassan A Al Sulaiman은 주요 도시에 3개의 대규모 점포만을 운영하면서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임.

  - IKEA는 점포 수 순위에서 6위임에도 불구하고 점포규모 순위는 7만8900㎡로 2위임.

 

사우디아라비아 가구·가정용품시장 브랜드별 점포 수 추이

                        (단위: %)

브랜드

회사

2009

2010

2011

2012

Al Qefari

Al Qefari Co for Carpets

42

52

58

58

Lifestyle

Al Bandar Trading Co

41

47

51

52

Home Centre

Al Bandar Trading Co

18

16

17

20

Al Aamer Furniture

Al Aamer Furniture Co

16

16

16

16

Al Jedaie

Al Jedaie Fabrics &Furniture Co

11

11

11

11

Zara Home

Fawaz Al Hokair Group

3

3

3

3

IKEA

Ghassan A Al Sulaiman Est

3

3

3

3

Office 1

A A Turki Co (ATCO)

3

-

-

-

Kika

Fawaz Al Hokair Group

2

-

-

-

기타

 

2,331

2,357

2,377

2,408

자료원: Euromonitor

 

□ 가구·가정용품시장 전망

 

 ㅇ 가구·가정용품시장 지속적인 확대 전망

  - 사우디 내 주택 부족 현상으로 정부 주도의 주택건설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주택 관련 법 제정이 가시화되면서 향후 주택 보유 가정 수가 증가할 것임.

  - 가처분소득 증가로 사회적 지위로 인식되는 주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더 많은 비용을 소비하는 것으로 조사됨.

 

 ㅇ 새로운 트렌드 창출 및 디자인 차별화 중요

  - 기존 기업 제품들과의 차별화를 통해 성공을 거둔 IKEA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디자인 차별화 및 실용성에 중점을 둔 제품 출시가 중요함.

  - 최근 문화적으로 폐쇄된 사우디에서도 싸이와 관련된 현지 언론들의 기사가 나오는 등 일부 매니아층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

  - 한국적인 디자인을 접목한 제품이나 한국 고유의 제품을 출시해 현지인의 관심을 높이고, 트렌드를 창출하는 전략도 고려해볼 만함.

 

 ㅇ 가격경쟁력 확보 필수

  - 가구제품은 사우디 내에서 상대적으로 고가제품으로 인식되므로 중산층 및 제3국 근로자들을 타깃으로 한 중저가의 실용성 위주 제품 출시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사우디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저가의 독자소매 제품과의 가격경쟁을 피할 수 없으므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

 

 ㅇ 사무용 가구시장 등 제품 다양화 필요

  - 최근 사우디의 내수경기 호황에 따라 외국기업 진출, 기업들의 사세 확장, 사무실 건축 활성화 등으로 사무용 가구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전망

  - 가정용과 더불어 사무용 가구 등 제품 라인을 다양화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것임.

 

 

자료원: The Muslim Times, Al Jedaie 홈페이지, Google Image, Euromonitor, KOTRA 리야드 무역관 보유자료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500만 호 주택건설과 함께 성장하는 사우디 가구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