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전력분야 관리기술 도입 증가
  • 경제·무역
  • 인도
  • 뭄바이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3-28
  • 출처 : KOTRA

인도, 전력분야 관리기술 도입 증가

- 인도 전력손실은 대부분이 송·배전의 비효율성과 도전 –

- 도전비율이 30%로, 관리기술의 필요성 제기 -

 

보고일자 : 2008.3.28.

김동욱 뭄바이무역관

robin@kotra.or.kr

 

 

□ 인도 전력산업의 현황

 

 ○ 전력부문이 인도 인프라스트럭처 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상당히 큼.

 

 ○ 인도에서 GDP 1%의 성장률마다 전력 수요의 증가율은 현재 10%를 기록함.

 

 ○ 90년대 초까지 전력 프로젝트의 자금은 주로 차관이나 예산안에 의해서 공급돼 심각한 한계를 드러내어 현재는 프로젝트 자금의 공급원을 다각화를 위해 노력 중임.

 

 ○ 10차 5개년 계획기간의 추가된 전력용량은 4만1000㎿임. 목표 대비 성취율은 화력발전분야에서 48%, 수력발전분야에서 19%로 하락

 

계획

목표(㎿)

성취(㎿)

성취비율(%)

1차(1951~56)

1,300

1,100

84.6

2차(1956~61)

3,500

2,250

64.3

3차(1961~66)

7,040

4,520

64.2

4차(1969~74)

9,264

4,579

49.5

5차(1974~79)

12,499

10,226

81.6

6차(1980~85)

19,666

14,226

72.3

7차(1985~90)

22,245

21,401

96.2

8차(1992~97)

30,538

16,423

53.8

9차(1997~02)

40,245

19,015

47.5

10차(2002~07)

41,110

21,280

48.2

11차(2007~12)

78,577

-

-

자료원 : Facts for you 3월호

 

 ○ 11차 5개년 계획(2007~12년) 동안에 전력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전력은 6만7439㎿로, 이는 화력발전이 3만8165㎿, 수력발전이 2만3368㎿, 원자력 프로젝트로부터 5915㎿ 등을 포함

 

 ○ 전력의 수요는 항상 공급을 능가해왔으며, 전력 부족율은 현재 약 7.3% 수준임. 최대 전력 부족율은 14.6%로, 계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음.

 

연도

에너지 부족(%)

최대 부족 비율(%)

2000.1

7.8

12.3

2001.2

7.5

11.8

2002.3

8.8

12.2

2003.4

7.1

11.2

2004.5

7.3

11.7

2005.6

8.4

12.3

2006.7

9.6

13.8

2007.4~10.

7.3

14.6

자료원 : Facts for you 3월호

 

 ○ 인도정부는 11차 5개년 계획 내 전력부족 상황을 해결하고 적절한 가격으로 양질의 전력을 끊김없이 공급할 계획

 

 ○ 인도에서는 전력 생산의 80% 이상이 석탄 연료를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석탄 부족은 전력발전에 심각한 장애요소가 되고 있음.

 

 ○ 현재 전력분야는 필요한 전력생산의 80%를 기여하고 있는 공공분야 업체들에 의해 좌우되고 있으나 점차 민간기업들의 참여를 독려

 

 ○ 2002~03년 민간분야에서 생산한 전력의 양은 448억이며, 2006~07년까지 578억8800만으로 증가

 

 ○ 민간분야 프로젝트에 의한 발전량이 적은 주요 원인으로는 나프타와 HSD로 운영되는 발전소에 액체연료의 높은 가격과 가스의 부족 때문임.

 

 ○ 정부의 구상대로 8~10년 내 제안된 모든 초특급 전력 프로젝트들이 완료된다면, 전력 부족현상은 타개될 것으로 전망됨. 그러나 각각의 초특급 전력 프로젝트들의 생산 능력은4000㎿이며, 전체적으로 4만㎿임.

 

 ○ 11차 5개년 계획(2007~12년) 동안에 송·배전 네트워크의 설치와 업그레이드 및 전력생산 증강 등 전력분야에 요구되는 투자액은 103만1600크로루피(2570억 달러)로 전망됨.

 

2007~08년 발전형태별 현황

자료원 : http://www.cea.nic.in

 

2007~08년 전력발전 주체별 점유현황

자료원 : http://www.cea.nic.in

 

 전력분야 주요 문제점

 

 ○ 전력분야의 가장 기본적인 약점은 요금표로, 2001~02년 공급가격은 단위당 3.5루피였으나 반면에 현실적으로는 오직 2.40루피였음.

 

 ○ 농업분야에 대한 무료 또는 높은 장려금 지급에 따른 비용 부담을 산업소비자에게 전가하는 등, 비효율적인 요금을 부과해왔음.

 

 ○ 보조금 없이 상업적 손실은 여전히 220만크로루피(55억 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농업분야에 계속적인 무료전력 공급계획을 발표. 현재의 농업분야 전력 보조금의 혜택은 소수의 부농에 집중되고 있는 상황

 

 ○ 요금의 증가는 공급비용의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태

 

 ○ 또한 송·배전 손실률의 국제적인 기준은 10~12%에 비해 일부 주의 경우 30~40%를 기록하고 있음. 소비된 전력의 거의 50%가 계량되지 않거나 계산에 청구되지 않는 상황으로 엄청난 비용손실을 유발. 또한 석탄 부족은 전력발전에 심각한 장애요소임.

 

□ 전력분야의 관리기술 도입추세 증가

 

 ○ 현재 인도 내 도전의 비율은 30%에 이르고 있으며, 송·배전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전력사업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음. 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상업적 손실을 최소화해 양질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력분야에서의 관리기술 도입이 증가 추세

 

 ○ 전력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분야의 기술

  - 가스 절연 기술

  - 변전소 패키지 기술

  - 지리학적 정보시스템 기술

  - 배전 관리시스템 기술

  - 감시감독제어, 데이터 취득 기술

 

 ○ 주요 업체들은 ABB와 Areva와 같은 회사들이며, 카나타카·구자라트·델리 지역 등이 이러한 흐름을 주도

 

 ○ 인도정부 또한 전력개발 개혁프로그램(APDRP)의 첫 번째 단계에서 간과했던 관리기술 면을 강조

  - 5만 크로루피(125억 달러)규모의 APDRP 두 번째 단계에서는 계획된 투자의 25%를 송·배전 네트워크에 대한 기술 투자에 집중할 계획

 

 ○ NDPL(North Delhi Power)사와 릴라이언스 에너지사는 이러한 기술에 매년 200~400크로루피(5000만~1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

  - 이미 감시제어와 데이터 취득시스템을 설치, 이를 통해 소비형태의 갑작스러운 변화를 감독하며 오류지역에 대한 전력중단 등의 기능을 수행

  - 이들 네트워크에 대한 도전의 기미가 보이는 지역에 대해서 GSM 기술을 이용해 전력을 끄는 등 원격으로 감시·감독이 가능함.

 

 ○ 또한 고압송·배전의 사용이 보편화될 경우 전력의 도전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 이에 따라 장비 제조업체들은 이 분야에 대한 투자에 대해서 상당히 긍정적임. ABB와 Areva T &D사는 향후 3년 동안 각각 400크로루피(1억 달러)씩의 투자를 계획

 

□ 시사점

 

 ○ 인도의 전력부족 문제는 구조적인 문제점과 기술적인 문제를 보이고 있음. 그러나 꾸준히 개선해 나아가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경제발전 속도를 감안하면 향후 10년 이상 계속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됨.

 

 ○ 전력분야 관리기술 도입 및 사용의 증가에 따라 장비 제조업체들의 비즈니스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

 

 

자료원 : Outlook Business 4월, Facts for you 3월, www.cea.nic.in 신문 및 무역관 자료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전력분야 관리기술 도입 증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