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캐나다 비건 전문가가 알려주는 현지 비건 식품 시장 트렌드와 진출 팁
  • 현장·인터뷰
  • 캐나다
  • 밴쿠버무역관 이성은
  • 2024-05-23
  • 출처 : KOTRA

비건 식품 시장, 최근 몇 년간 식물 기반 제품 중심으로 급격한 성장세

일상에서 먹는 음식과 동일한 맛과 품질을 구현하는 대체 식품이 가장 높은 인기

제품 개발 시 현지 다양성을 이해하고 알레르기, GMO 재료 등 성분에도 주의해야

캐나다 비건 식품 시장 현황


캐나다의 비건 식품 시장은 최근 몇 년 동안 건강과 지속 가능한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다. 캐나다 농업, 농식품부의 2022년 식물 기반 식품(Plant-based ready meals) 분석 보고서에서는 캐나다에서 식물 기반 식품과 대체 단백질 제품의 소비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기반 식품 소매 시장 규모는 2021년 기준 약 191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17년부터 2021년 사이 연평균성장률은 무려 441.8%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6년까지의 식물 기반 식품의 예상 연평균 성장률은 502.8%로, 시장 규모가 318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캐나다에서는 비건 식품(Vegan Food)과 식물 기반 식품(Plant-based Food)의 의미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비건 식품은 동물성 제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엄격한 완전 채식 제품을 의미한다. 비건 식품은 동물성 제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엄격한 완전 채식 제품을 의미하며, 식물 기반 식품은 야채, 과일, 견과류 등의 식물성 재료를 사용하지만 소량의 동물성 성분이 포함될 수 있어 보다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다.

 

<캐나다의 식물 기반 식품 시장 구성>

[자료: Mordor Intelligence]


Main in CA의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의 채식주의자 비율은 7.6%이다. 또한 유제품, 계란, 꿀 등 어떠한 동물성 음식도 섭취하지 않는 비건 인구 비율은 4.6%에 달한다. 이러한 높은 채식주의자 비율은 시장 성장의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몇 년 동안 식물 기반 식품 시장이 확대되면서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도 쉽게 제품을 이용할 수 있게 됐고 이러한 환경이 시장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Brit On Solutions Group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인의 61%가 식물 기반 식품을 구매하고 있으며 64%는 향후 더 많은 식물 기반 식품을 섭취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식물 기반 식품에 대한 관심이 일시적 유행을 넘어 식생활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이 시장의 성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현지 바이어 인터뷰

    주: 한국에서는 식물 기반 식품과 비건 식품의 의미를 혼용하는 경우가 많아, 인터뷰에서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두 가지 용어를 '비건 식품'으로 통일했다.


Q1.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1. 저는 20여 년 전 채식을 시작한 완전 채식주의자로, 동물 복지를 위한 궁극적인 목표를 가지고 비건 사업을 일찍 시작했습니다. 2012년에는 채식 레스토랑 MeeT을 공동 창업해 현재 4개의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비건 식품 전문 온라인 쇼핑몰 Vegan Supply를 창립했습니다. Vegan Supply는 B2C 온라인 쇼핑몰과 오프라인 매장 2곳, 국내외 유통망 및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하는 B2B 도매 쇼핑몰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은 식품이지만 비건 화장품, 펫사료, 치약, 세제 등 비거니즘 철학을 지향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라이프 스타일 제품도 다수 취급하고 있으며 현재 약 3500개의 제품을 국내외에 유통하고 있습니다.

 

<Vegan Supply 온라인 쇼핑몰과 오프라인 매장, 레스토랑 전경>

[자료: Vegan Supply]


현지 소비자와 트렌드 정보 


Q2. 캐나다 비건 식품 시장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면 어떻게 발전해 왔나요?

A2. 불과 10여 년 전만 해도 캐나다에서 채식은 생소한 개념이었고 채식 메뉴를 보유한 레스토랑도 거의 없었습니다. Vegan Supply를 처음 오픈했을 때는 채식 재료를 어디서 구입하고 어떻게 요리해야할 지 모르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캐나다의 비건 산업은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했습니다. 이제 대부분의 슈퍼마켓이나 드럭스토어에서 비건 전문 코너를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많은 레스토랑이 채식 메뉴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Q3. 비건 식품을 이용하는 현지 소비자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A3. 채식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은 정말 다양한 배경과 이유를 가지고 있어 특성을 하나로 단정 짓기 어렵습니다. 크게 구분해 보면 알레르기나 특정 음식에 대한 민감성 때문에 채식을 선택하는 사람, GMO 식품이나 초가공 식품 섭취를 기피하는 사람, 의사의 권고로 육류 섭취를 줄여야 하거나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 동물 복지에 관심이 많은 사람까지 비건 식품을 이용하는 목적은 정말 다양합니다. Vegan supply의 고객 중 채식주의자나 완전 채식주의자는 약 25%에서 30% 정도이며 나머지는 일상 식단의 일부로 채식을 선택하는 일반 소비자들입니다. 또한, '고기 없는 월요일'(Meatless Monday)과 같은 글로벌 캠페인에 참여해 매주 월요일은 채식 식단을 먹는 현지인들도 늘고 있습니다.


Q4. 현지 비건 시장의 최근 트렌드는 무엇인가요?

A4. 비건 식품 시장에서 가장 두드러진 트렌드는 대체 식품입니다. 채식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항상 야채나 과일만 먹는 것을 넘어서 다양하고 맛있는 음식을 원합니다. 이에 따라 현지인이 즐겨 먹는 햄버거, 피자, 치킨 같은 음식을 식물 기반 대체품으로 재창조한 제품들이 인기가 많고 그만큼 경쟁도 매우 치열합니다. 또 다른 트렌드는 크게 향상된 비건 식품의 맛과 품질입니다. 식품 과학의 발전으로 비건 식품이 일반 식품과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발전했습니다. 예를 들어, 과거의 비건 치즈는 뚝뚝 끊어지거나 입안에 눌어붙는 문제가 있었지만 현재의 비건 치즈는 기존 치즈처럼 잘 늘어나고 식감도 실제 치즈와 동일하며, 오븐에서 구울 때 갈색으로 노릇노릇해집니다. 많은 비건 식품 브랜드들이 이런 세세한 디테일을 놓쳐 시장에서 실패한 사례를 보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신규 시장에 진입하는 업체들은 단순히 기존 제품을 대체하는 것을 넘어 소비자의 높아진 기대치에 부합하는 세세한 디테일을 간과하지 말아야 합니다.

 

Q5. 현재 운영 중인 비건 레스토랑에서는 어떤 채식 메뉴를 판매하고 있나요?

A5. 비건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피자, 파스타, 햄버거 등 현지인들이 일상생활에서 먹는 서구식 식단과 동일한 메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햄버거에는 대체육과 식물성 소스를 사용하고 마시멜로는 젤라틴을 활용해 동일한 식감과 맛을 구현합니다. 또 다양한 국가 음식에 친화적인 현지인의 선호도를 반영한 메뉴도 선보이고 있는데, 한국 음식에서 영감을 받은 메뉴도 있습니다. ‘Korean Fried Chikkin Skewers’는 고추장 비건 마요네즈 소스로 양념된 한국식 대체육 꼬치 메뉴이며, 한국의 떡꼬치에서 영감을 받은 메뉴를 기간 한정 메뉴로 선보인 적도 있습니다.


<밴쿠버 비건 레스토랑 MeeT의 메뉴>

[자료: MeeT Gastown 인스타그램]

 

우리 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 관련 팁

 

Q6. 현지 시장에서 한국 식품의 입지는 어떤가요?

A6. K-팝과 같은 한국 문화의 인기는 현지 식품업계에도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현지인들이 한국 문화를 더 많이 알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의 식문화에도 친숙해지게 됐고 한국의 바베큐 소스, 김치, 만두, 김 같은 제품은 현지 슈퍼 어디에서나 쉽게 구매할 수 있게 됐습니다. 비건 식품 산업에서도 이런 트렌드가 있습니다. 작년에 참가했던 미국 자연식품 전시회에서는 비건 김밥을 홍보하는 부스만 10곳에 달해서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이 많이 늘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Q7. 채식주의자 관점에서 한국 식품에 대한 인상은 어떻습니까?

A7. 한국은 예로부터 김치, 나물, 곡류 등 다양한 채식 옵션이 많이 있어온 국가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채식 식단에 있어서는 북미보다 좀 더 진보된 부분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한국에 방문했을 때 시장의 소비자가 원하는 곡물을 선택하면 금방 가루로 갈아주는 방앗간 같은 곳이 시장이나 대형 슈퍼마켓 등에 많은 것을 보고 인상 깊다고 생각했습니다.

 

Q8. 캐나다 현지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해외기업에 줄 수 있는 팁이 있다면?

A8. 캐나다는 다양한 국가에서 온 사람들이 모여 살고 있는 곳이라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각 소비자의 종교나 문화 등 배경에 따라 다양한 기준에서 제품을 고르는 경향이 있으며 알레르기나 식재료 성분에 대한 민감도도 높습니다. 북미 시장을 타깃으로 한다면, 계란·머스타드·깨·땅콩 등 북미 지역에서 흔한 알레르기 유발 성분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도 제품 개발에 도움이 됩니다. 또 어떤 유통 채널에 진출할지 정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모색해야 합니다. 한국 식품의 경우, 한국계 슈퍼마켓, 아시아계 마켓, 현지 대형 마켓 등 유통 채널에 따라 타깃 소비자의 성향이나 제품 선택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비건 제품이라 할지라도 사용하는 재료의 등급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콩 제품이더라도 현지 소비자는 유전자 조작 콩인지, 오가닉 콩인지 등 세세한 점을 따져보고 제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권 소비자를 넘어 현지 공략을 희망하는 제품의 경우 패키지 내 언어도 중요합니다. 현지에 유통되는 많은 한국 식품은 패키지가 전부 한국어로 돼 있고 브랜드명만 영어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현지 소비자에게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한국 고유의 정체성을 살리면서도 북미 문화를 적절히 고려한 패키지 디자인을 하면 보다 폭넓은 소비자층에 어필할 수 있을 것입니다.


<Vegan Supply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 중인 아시안 비건 식품>

[자료: Vegan Supply]


Q9. 비건 식품 인증에 대한 현지의 인식과 중요성은 어떤가요?

A9. 비건 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전에는 비건 식품에 대한 명확한 기준점이 없었습니다. 이로 인해 제조업체가 완전 채식 음식이 아님에도 비건 식품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비건 인증은 제품이 진정한 비건 제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건 인증을 주요 마케팅 요소로 활용하기보다는 부가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비건 인증이 붙은 제품을 선호하는 채식주의자는 많지만, 일부 소비자는 비건 마크가 붙어 있으면 기존 제품에서 비건을 위해 무엇인가가 빠트린 음식으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제품의 전면보다는 뒷면 하단에 비건 인증 마크를 배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Q10. 바이어로서 해외 제조업체와 거래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점과 현지 바이어에 대해 알아두면 좋을 팁을 알려주세요.

A10. 샘플 제품 테스트를 통해 해당 제품이 현지 시장에 어필할 수 있는지를 주의 깊게 검토하고 있습니다. 비건 식품 시장의 경쟁이 치열한 만큼, 제품이 가진 독특한 매력이나 판매 포인트가 현지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지가 중요합니다. 또한, 식품 배송, 수출 역량이 있는지를 필수로 확인합니다. 식품은 냉동·냉장·건조식품 등 제품의 종류에 따라 배송 과정이 복잡하고 배송비도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제품의 유통기한 역시 중요한 고려 사항으로, 유통기한이 지나면 더 이상 판매하지 못하는 등 바이어가 가지는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이 거래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외에도 현지 바이어와의 거래에서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가 중요합니다. 현지 바이어는 물건을 살 때 신뢰가 있고 좋은 관계가 구축된 사람과 거래를 하고 싶어합니다. 단순한 일회성 연락이나 미팅을 넘어서 바이어와 만날 기회가 있을 때는 명확한 의제를 가지고 미팅을 준비하고 현장 방문이나 전시회 참가 등으로 지속적이고 일관된 관계를 구축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시사점


캐나다의 비건 식품은 일상 식단을 대체할 수 있는 품질과 맛으로 발전했으며, 이로 인해 더 많은 현지인이 비건 식품을 선호하는 환경이 조성됐다. 이러한 환경은 현지 비건 식품 시장의 성장을 더욱 가속할 전망이다 Expert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한국의 비건 식품 시장도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6%의 성장세가 예상되며, 미래의 비건 산업을 이끌어나갈 국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한류의 영향으로 김치, 만두, 김 등 다양한 한국 식품이 캐나다에 소개되면서 수요가 높아지고 있지만, 한국의 비건 식품 제품은 현지에서 아직 선택지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우리 기업이 이러한 틈새시장을 활용한다면, 캐나다 시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비건 식품의 성공적인 진출을 위해서는 비건 식품을 선호하는 현지 소비자군에 대한 깊이있는 조사와 이해가 필요하며, 해당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패키지와 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자료: 캐나다 농식품부, Vegan Supply, Statista, Mordor Intelligence, Brit On Solutions Group KOTRA 밴쿠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캐나다 비건 전문가가 알려주는 현지 비건 식품 시장 트렌드와 진출 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