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건강주(보건주)시장, 이전투구 양상 보여
- 경제·무역
- 중국
- 다롄무역관
- 2010-02-20
- 출처 : KOTRA
-
中 보건주시장, 이전투구 양상 보여
- 명성에 비해 저조한 판매량 -
- 함량 미달 군소업체 난립 -
□ 커지는 시장
○ 매년 30% 성장
- 중국투자자문산업연구원(中投顧問産業硏究中心)의 ‘2009~10년 중국 보건주시장 투자분석 및 전망예측보고’(보고)에 따르면, 현재 보건주시장은 매년 30% 이상 증가해 白酒의 성장속도를 앞지르고 있으며, 2009년의 소비량은 120억 위앤을 돌파했음.
- 또 이번 달 초, 五粮液 그룹은 2억 위앤을 들여 세계 최대 규모의 대형 주류 생산시설을 건설했으며 향후 연간 1만2000톤의 황금주를 이 시설에서 생산할 것이라고 함.
□ 어지러운 질서
○ 과장선전, 악의적 비방 심화
- 시장규모가 커지자 그에 따른 사람들의 기대도 고양되지만, 湖北經牌 주식회사 吴少勛 총재는 최근 “사실 이 시장 규모는 그렇게 크지 않다”고 밝히며, 눈 앞의 성공과 이익에 급급한 악성경쟁은 ‘청춘기’인 보건주의 ‘발육’을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함.
○ 이전투구 양상
- ‘보고’를 보면, 2009년 중국 보건주기업은 5000개 이상으로 추정
- 그 중 勁酒와 椰島鹿龜酒의 양대 상품이 약 35%를 점하고, 나머지 65%는 크고 작은 상품들이 시장을 분할함.
- 백주와 포도주의 경우 산지 및 분류가 비교적 잘 돼 있어 큰 문제가 없음. 하지만 현재 보건주 생산업체는 그 수가 너무 많을 뿐 아니라 江中制藥, 修正藥業 등의 여러 전문 제약 제조업자까지도 생산을 하며, 이들 제약업자는 인삼, 녹용, 까마귀, 해마, 해삼 등의 각종 지방특산을 이용해 보건주를 생산, 시장질서가 혼란스러움.
○ 모호한 가격체계
- 황금주, 백금주의 가격 모두 100위앤 이상이며 어떤 것은 800위앤에 달하나 勁酒, 椰島鹿龜酒 등 기존 주요상품의 평균가격은 몇 십 위앤 선으로 소비자들의 혼란을 가중시킴.
황금주와 백금주의 시장경쟁 묘사 화보
자료원 : 바이두
□ 열악한 시장여건
○ 협소한 구매시장, 한정된 구매계층
- 보건주의 구매시장은 비교적 협소함. 시장을 동, 서로 나눠서 봤을 때 동쪽(연해지역)의 성장은 빠르고 서쪽(내륙지역)의 성장은 아직도 느린 편으로, 대다수는 아직도 지역시장의 발전단계에 머물러 있어 시장규모의 큰 변화는 없음.
- 주 판매대상자들은 남자, 중·노년층으로 소비자군이 한정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년부터는 백주 생산자들도 보건주시장에 ‘백금주’, ‘황금주’ 등을 내세우며 진출하기 시작함.
- 현지 주류 전문가에 따르면 심천, 북경 등지의 주류시장에서 소비량의 증가가 가장 큰 것은 포도주, 백주 그 다음이 보건주로 명성에 비해 판매량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남.
□ 대대적인 광고전략
○ 황금주, 백금주의 물량공세
- 현재 중국 보건주 제조업체들은 광고를 통한 제품이미지 제고를 꾀함.
- 2009년 말 CCTV 입찰에서 보건주 찐지우(勁酒)는 1억4000만 위앤을 써, 뉴스보도와 일기예보 사이의 황금시간에 광고를 내보냈음.
- 보건주분야의 신참인 황금주는 “선배에게 황금주를 보내세요”의 선전으로 큰 효과를 거뒀으며, 추가로 3억 위앤의 광고집행을 준비하고 있다고 함.
- 백주업계의 거물인 마오타이의 백금주는 황금주와 시장분할경쟁을 하고 있으며, '선물을 보내 승진하자. 올해는 백금주가 대세'라는 카피의 광고로 황금주 광고와 신경전을 벌임. 백금주의 광고 투자액 역시 총 3억 위앤을 넘었으며 산시(陝西), 산시(山西), 산둥에 투자한 금액이 벌써 3000만 위앤을 넘었음.
선물용품으로 애용되는 보건주
자료원 : 바이두
□ 전망 및 해결과제
○ 무질서로 인한 시장 성장속도 위축
- 주요 분석가들은 향후 일정기간 동안 시장의 위축을 예상함.
- 금융위기가 불러온 원가의 인상과 소비시장의 위축 및 정부의 주류세정책들이 주원인으로 작용해 가져온 결과라고 봄.
- 무엇보다 시장 위축의 원인은 현재 보건주업계의 분란과 혼탁한 경쟁이 주원인임.
○ 업계표준 정립을 통한 시장발전 가속화가 필요
- 보건주시장의 규모는 국내에서 백주, 포도주, 맥주시장 다음의 4대 시장으로 보건주시장이 2012년에는 130억 위앤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나, 보건주의 빠른 발전속도에 비해 관련 표준 및 기준의 부재가 업계 발전의 발목을 잡음.
- 건강제품업계에서는 보건주를 술로 간주, 주류업계 측이 표준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나 주류업계의 기준으로 보건주는 건강보조제품으로 간주된다고 해 상호 간 의견이 대립되고 있어 보건주의 기준을 정하는 것이 당분간 쉽지 않을 전망임.
자료원 : 신상보, 재경보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中 건강주(보건주)시장, 이전투구 양상 보여)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는 멕시코 의료기기 시장
멕시코 2023-06-07
-
2
세르비아 농산업 정보
세르비아 2020-12-31
-
3
멕시코 대형차량 시장동향
멕시코 2024-09-26
-
4
멕시코에 화장품 수출 시 고려할 점
멕시코 2023-01-26
-
5
멕시코 일반의약품(OTC) 시장동향
멕시코 2022-08-12
-
6
미국 헬스케어 산업의 ESG 동향
미국 2022-07-14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