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레시이아, 2010년 신투자정책 발표 예정
- 투자진출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9-12-07
- 출처 : KOTRA
-
말레시이아, 2010년 신투자정책 발표 예정
- 중간소득의 함정에서 벗어나 고소득 국가로 발돋움 -
□ MIDA(Malaysian Industrial Development Authority)는 저부가가치산업의 비중을 낮추고 신기술, 지식기반, 그리고 자본집약적 산업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새로운 투자정책을 검토중
○ 현지정부의 투자개정안은 내년 1분기에 발표될 예정
- MIDA 청장 Datuk Jalilah에 따르면, 중간소득 함정에 빠진 말레이시아를 고소득 국가로 발전시킬 수 있는 산업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할 계획이라고 함.
- 이는 투자유치 대상을 고부가가치산업에 집중함으로써 달성 가능함. 즉, 노동집약적 산업 투자와 저부가가치산업 투자유치를 지양하고, 이런 프로젝트는 여타 저비용 국가로 투자를 유도하는 것임.
- 새로운 투자유치정책은 바이오테크놀로지산업, 재생에너지산업, 정밀화학 산업, 석유화학산업, 기계·장치산업, 첨단전자산업, 그리고 고급서비스 산업에 초점을 맞출 예정
- 바이오테크놀로지는 말레이시아에서 차세대기술로 생각되고 있으며, 현재 한국, 중국, 태국, 일본, 그리고 싱가포르를 대상으로 기술도입 및 수입을 하고 있음.
- 말레이시아의 농업은 비교우위를 지니고 있으므로, 다른 국가가 선도하는 의료·치료용 바이오테크놀로지와 경쟁하기 보다는 농업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초점을 맞출 예정임.
○ 말레이시아 외국인투자유치(FDI) 동향
- 2009년 8월까지 총 제조관련 투자승인액이 191억 링깃(58억불)으로, 이중에서 FDI(foreign direct investment)금액은 122억 링깃(37억불)을 차지함.
- 2000년부터 2009년 7월 사이 총 제조업 투자는 1427억 링깃으로 총 투자액중 41%를 차지함. 정부는 산업개발계획(IMP3 , Industrial Master Plan) 기간 중 위 비율을 60%까지 늘릴 계획임.
- MIDA는 기존의 외국인투자가 70%, 국내업체 30%의 투자비율을 외국인투자가 50%, 국내업체 50%까지 끌어 올릴 예정임.
- 내년 말레이시아 FDI 주요국가로는 미국, 일본, 독일, 한국, 그리고 대만이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그 다음으로 호주와 네덜란드가 주용국임.
□ 최근 FDI 프로젝트
○ Rubicon사 말레이시아 반도 북부지역에 하이테크 LED 공장 설립
- 미국 일리노이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적 기판 및 관련제품 제조업체인 나스닥 상장기업 Rubicon Technology사가 최신 LED 생산시설을 Prai Industrial Estate에 설립중임.
- 첨단 포스트 크리스털 가공(post-crystal growth processing)을 위한 6만 sq ft 규모의 생산시설을 위해 2000만 링깃(600만불)을 투자함.
- 위 공정은 “에피택셜 프로세스(epitaxial process, 박막성장 프로세스)”로 LED 기판의 제조를 위해 사파이어 원료를 발광재질로 변형시키는 가공임.
- 포스트 크리스털 가공을 위해 고가의 사파이어 절단기 및 연마장치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투자액은 5억~10억 링깃 사이로 예상됨.
- 아시아에서는 한국이나 대만 같은 소수 국가만이 상기 기술과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첫 단계는 내년에 운영이 시작될 것으로 기대됨.
- 2009년 10월 1일 Rubicon사는 포스트 크리스털 가공생산을 위해 말레이시아의 4헥타르 규모의 공장부지를 매입하기로 협약함. 또한 2009년 11월 6일에는 “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에 위 계약내역을 공시함.
- 공장부지의 구매 비용은 210만 링깃이며, 2차로 분할 지급할 예정임. 먼저 20%를 지급했으며, 잔액은 공장건설완료일 또는 협약 후 12개월 중 빠른 날 기준으로 지급 할 예정임.
- Rubicon은 150~200mm 사파이어기판 생산전문기업이며, 사파이어기판은 고용량·고해상도 DVD 응용기술, 무선주파수 통합 기판(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광전자, 광학 응용기술, 블루레이아이오 테크놀로지(blue laser diode technology)등에 사용됨.
- Rubicon의 CEO인 Raja Parvez에 따르면, TV용 LED 백라이트 패널은 올해 3%에서 2013년까지 40%이상 급성장이 예상됨. 이는 고급 LED 라이트의 적용범위가 확대되기 때문임.
○ Motorola 협력업체 말레이시아에 투자 검토
- 내년에 최소 15개의 Motorola 공급업체가 말레이시아에 투자할 전망
- MIDA에 따르면, 제안된 투자프로젝트는 신규업체는 물론 말레이시아에서 사업을 확대 또는 다각화하려는 기존 협력업체로 구성된다고 함.
- Penang주 투자를 시작으로 Motorola는 말레이시아에 35년간 투자를 해왔음.
- Motorola가 글로벌 경제침체 속에서 통신장비사업을 지속적으로 영위할 수 있었던 이유는 소비자에게 부가가치가 높은 솔루션을 공급하기 때문임. 고부가가치 제품을 소비자에게 적시에 공급함으로써 고객에게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 Motorola의 믿음임.
- 현재 50개의 현지 협력업체가 Motorola의 기술 및 인적자원을 공유하고 있음.
□ 말레이시아 투자의 장점
○ 말레이시아의 지역적 이점(수출 거점), 생산원가 경쟁력(잘 구축된 인프라), 영어를 포함한 다언어가 구사 가능하다는 것이 외국인 투자가가 투자지로 선택하는 주요인임.
- 말레이시아의 다인종적 특성은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여타 이슬람권 등 다양한 시장의 교두보 역할을 함.
- 말레이시아는 상대적으로 발달된 기초인프라와 비용 경쟁력으로 견고한 경제기반을 보유함.
- 제조관련 투자 이외에, MIDA는 외국 업체에게 지역본부, 국제조달본부, 지역물류센터, 그리고 현지지사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있음.
- 더욱이 특정기간 조세감면(tax holidays)과 상대적으로 낮은 취업비자 규제 등의 정책적 인센티브를 제공함.
자료원 : Star Biz – MIDA reviews policy, 17 November 2009; MIDA news - MIDA remains upbeat about investment inflows, November 2009; The Star – M’sia launches programme to woo investors, 30 November 2009; Star Biz – MIDA wooing investors from US and Europe, 22 October 2009; New Straits Times – Motorola suppliers poised to make new investments here, 22 October 2009; Star Biz Week – Rubicon to embark on high-end LED ops in Prai, 28 November 2009; Opportunity Malaysia – Biotechnology in Malaysia.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시이아, 2010년 신투자정책 발표 예정)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아세안 직접투자의 중심지, 싱가포르
싱가포르 2022-12-16
-
2
브라질 내 깊어지는 중국의 영향력
브라질 2021-10-29
-
3
베트남, 한국산 특수자재 수입관심 늘어
베트남 2014-06-03
-
4
유튜브,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있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베트남 2021-06-29
-
5
[전문가 기고] 싱가포르 회사의 종류 및 이사와 주주의 책임 한계
싱가포르 2014-12-18
-
6
중국 <2022년 외국인투자 장려 및 네거티브 목록> 발표
중국 2022-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