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이라크 나시리야 유전 공략
- 투자진출
- 일본
- 도쿄무역관 김준한
- 2009-08-30
- 출처 : KOTRA
-
일본, 이라크 나시리야 유전 공략
- 국내소비 원유 중 日기업 개발 석유비율을 조달량의 40%로 -
□ 이라크 유전개발에 나서는 일본기업
○ 신닛폰석유, 유전개발 기업인 코쿠사이석유개발제석, 플랜트 전문기업인 닛키 3사 연합은 8월 25일 이라크 남부의 대형 나시리야 유전 개발건에 대해 이라크 정부와 큰 틀의 합의에 달한 것으로 밝혀짐.
○ 미쓰비시상사도 동일 이라크 석유청과 로열더치쉘이 가까운 시일 내에 설립할 예정인 남부바라스 천연가스 프로젝트의 합병회사에 5%를 출자하기로 기본 합의하였다고 발표
□ 일본에 나시리야 유전이 갖는 의미
○ 일본의 경제산업성은 일본 국내 소비 원유 중 일본기업이 권익을 가지는 유전에서 생산되는 원유비율을 2007년 약 11%에서 2030년에 40%까지 끌어올리는 계획을 세우고 있음.
○ 일본의 자주개발 유전으로 지금까지 최대였던 것은 석유개발회사 아라비아석유가 1957년에 권익을 획득한 페르시아만 카푸지유전(최대 일량 30만 배럴)이었으나 2000년대 전반에 실효(失效).
○ 에너지 안전보장을 위한 정부 청사진을 달성하기 위해서 1150억 배럴로 사우디, 이란에 이은 세계 3위 석유매장량을 자랑하는 이라크에서의 권익 획득이 중요.
○ 이라크 유전 중에서도 나시리아 유전은 하루 생산량이 최대 60만 배럴에 달하는 거대유전임.
□ 일본, 나시리야유전 사실상 획득 비결
○ 이탈리아의 석유기업 ENI(탄화수소공사)와 경쟁이 치열했으나 일본 연합팀은 일량 30만 배럴급의 제유소건설과 기술지원, 인재육성, 관민에 의한 자금조달계획 등 총력전을 펼쳐 좋은 평가받았음.
○ 계약은 EPC계약이라고 하는 통합청부계약이지만 사실상의 권익획득에 이어지는 것으로 민관이 하나가 되어 교섭을 계속해왔으며 다음달에도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에서 한번 더 회담을 하고 최종 합의할 예정임.
□ 외국과 연합 필요성 높아져
○ 이라크 정부는 올해 6월 약 40년 만에 제 1차 입찰로 유전을 외자에 개방, 8월 25일에는 터키의 이스탄불에서 마지눈, 서쿠루나유전 등 10개 유전ㆍ천연가스 개발프로젝트에 대해 제 2차 입찰에 향한 설명회를 개최함.
○ 그러나 제 1차 입찰에서 낙찰된 것은 영국의 BP와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의 기업연합에 의한 이라크 남부 루메이라 유전이 유일.
○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일본기업은 금액면이 맞지 않는 등 구미 메이저 기업과 힘의 차이가 여전했다고 자평.
○ 또한 이라크 정부내부에는 자원의 국가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치안 면에서 리스크가 높아 일본기업 단독으로의 참가에는 한계가 있음.
○ 따라서 나시리야에 이어 이라크 유전 권익획득을 위해서 구미ㆍ중국과의 기업연합이나 국가의 지원이 필요한 실정임.
□ 일본정부 이라크 진출기업 지원
○ 정부유관기관인 독립행정법인 일본무역보험은 이라크를 위한 2년 이상 중장기 무역보험을 올해 안에 재개할 것을 검토.
○ 석유와 천연 개발이 예상되는 가운데 보험에 의해 자금회수가 정체되는 리스크 등을 줄여 일본 기업의 진출을 후원한다는 의도임.
○ 이라크용 중장기 무역보험은 1990년 걸프전 이후로 정지되어 이번 재개는 19년 만의 조치임.
□ 시사점 및 향후 전망
○ 자원 안보를 위해 일본 기업과 정부는 지속적으로 이라크에서의 권익 획득에 사활을 걸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구미 기업에 비해 부족한 체력을 기술력과 현지 인재육성을 내세워 극복한다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 점은 우리 기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큼.
자료원 : 니혼케자이, 후지산케이비즈니스아이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이라크 나시리야 유전 공략)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中 골판지시장, 포장산업 발전으로 동반 성장
중국 2009-12-17
-
2
[투자환경] 2010년 러시아 개정세법 주요내용 안내
러시아연방 2009-12-17
-
3
브라질, 헤알화 강세현상으로 수입수요 회복 중
브라질 2009-08-21
-
4
日, 도심의 오아시스 편의점이 변하고 있다
일본 2009-07-22
-
5
한국건설업체, 뉴질랜드 진출 성공
뉴질랜드 2009-12-17
-
6
휴대용 게임 시장, 아이패드 출시로 닌텐도와 경쟁 치열해질 듯
미국 2010-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