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 포터블게임기 인기로 비디오게임 전망 밝아
- 트렌드
- 홍콩
- 홍콩무역관 박은균
- 2009-04-24
- 출처 : KOTRA
-
홍콩, 포터블게임기 인기로 비디오게임 전망 밝아
- 비디오 게임 시장 규모 7억 달러, 닌텐도DS, PSP 폭발적 인기 -
- 비디오 게임 홍보가 관건, 게임 전시회 참가로 가능성 타진 -
유망사유 : 싱가포르 Giant GfK조사연구소에 따르면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2009년 홍콩의 게임 시장은 15%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음. 10대~30대를 중심으로 닌텐도 DS, Wii, X Box, PSP를 이용한 홍콩 비디오 게임 수요가 최근 수년간 급증하고 있음. 홍콩 게임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한국 온라인 게임을 배경으로 비디오 게임도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분석됨.
1. 시장동향
□ 시장규모
○ 홍콩의 비디오 게임 시장규모는 2008년 기준 약 7억2900만 달러로, 2007년 대비 270% 급등세를 기록하였음. 동 통계는 비디오 게임과 비디오 게임기를 합친 수치임.
홍콩 비디오 게임 시장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
연도
2005
2007
2008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483
-
270
-44.1
729
270
주 : 1) HS Code 95041010 - 비디오 게임
2) 시장 규모 : 수입액 - 재수출액, 즉 홍콩 자체 소비액 기준
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 2008년 홍콩의 비디오 게임 수입은 32억 달러로 2007년 대비 41.3% 증가하였으며, 이는 2005년에 비해 5배 가까이 급증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 주요 수입국 현황을 보면, 중국으로부터 30억 달러가 수입되어 총 수입에서 95.1%를 차지하여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미국(56 백만 달러)과 일본(45 백만 달러), 싱가포르(32 백만 달러) 등이 그 뒤를 이었음.
○ 2008년 홍콩의 비디오 게임 수출은 24억 달러로 2007년 대비 23.7% 증가하였음. 2006년과 2007년 각각 39.0%, 88.4% 증가하여 최근 3년간 높은 증가세를 기록함.
□ 수요특징
○ 홍콩의 비디오 게임 시장 규모는 약 7억2900만 달러로 작은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시장규모는 매우 큰 편임. 또한 게임 인구수도 약 238만명으로 인구의 38%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많음.
○ 포터블 게임기용 게임, 홍콩 게임시장 주도
- 현재 홍콩에서는 소니 PSP, 닌텐도 DS로 즐길 수 있는 게임의 인기가 가장 높음. 이는 휴대가 간편해 언제, 어디서든 즐길 수 있으며, 좁은 면적으로 특별한 야외활동이 부족한 홍콩의 지리적 특징과 포터블 제품에 대한 친밀도가 높은 홍콩인들의 성향으로 인해 시장에 보급률이 급증하였음.
- 주로 10~30대 연령층에서 포터블 게임기를 즐기고 있으며, 남성이 대다수이지만 여성 게임 인구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주로 캐주얼 게임, 슈팅게임, RPG게임 등 쉽게 즐길 수 있는 게임의 인기가 높음.
○ 콘솔게임 시장 규모 급증
- 닌텐도의 Wii, Sony의 Playstation, Microsoft의 X box 360이 홍콩 콘솔게임 시장을 놓고 각축을 벌이고 있음.
- 최근 콘솔게임 종류의 다양화와 게임 기기의 전문화로 콘솔게임 시장 규모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상기 3개사 중 현재 홍콩에서는 Sony Playstation의 인기가 가장 높음.
- 비디오 게임 판매상에 따르면, 현재 Sony Playstation가 홍콩 콘솔게임 시장의 약 40%를 장악하고 있으며, Microsoft X box 360이 약 30%, 닌텐도 Wii가 약 30%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음. 최근에는 닌텐도 Wii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2008년 전년 대비 34%의 높은 판매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며, Microsoft X box 360도 약진하여 작년 4분기에는 판매량이 16% 증가하였음.
2. 경쟁 및 수입 동향
□ 현지생산
○ 홍콩 게임 제작사들은 대부분 온라인 게임과 모바일 게임을 제조하고 있으며, 비디오 게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수입동향
○ 홍콩 최대의 비디오게임 수입국은 중국으로 2008년 기준 30억 달러가 수입되었으며 수입 비디오게임 시장의 95.1%를 차지하고 있음.
- 다음은 큰 차이로 미국(3.4%), 한국(2.3%), 일본(1.2%), 싱가폴(1.1%), 대만(0.5%) 등이 그 뒤를 이었음.
○ 2009년 2월 기준, 홍콩의 비디오 게임 수입은 상승폭이 크게 둔화된 가운데 한국산 게임의 수입이 급증함. 2009년 1~2월 한국산 게임의 수입액은 2008년 전체 수입액인 495만 달러보다 2배 가까이 많은 940만 달러를 기록함.
- 반면 일본산 게임의 2009년 1~2월 수입액은 동기대비 65.4% 감소하여 증가율이 큰 폭으로 떨어짐.
홍콩 비디오게임 수입대상국 및 수입금액
(단위 : 천 달러, %)
순위
국가
2007
2008
2009. 2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1
중국
2,074,747
92.6
3,010,098
95.1
367,895
90.8
2
미국
55,741
2.5
56,886
1.8
13,758
3.4
3
한국
5,214
0.2
4,948
0.2
9,401
2.3
4
일본
61,040
2.7
45,961
1.5
5,014
1.2
5
싱가포르
34,476
1.5
32,392
1.0
4,626
1.1
6
대만
5,919
0.3
8,241
0.3
1,991
0.5
총계
2,240,314
100
3,165,873
100
405,333
100
주 : HS Code 95041010 비디오게임
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 경쟁동향
○ 콘솔게임
- 콘솔게임 인기 순위에서는 주로 시뮬레이션, 사격, 액션 유형의 게임이 많으며 PS25개, XBOX360 3개, PS3 2개로 Play Station의 비율이 약간 더 높았음.
- 홍콩 게임잡지 의 2008년 1,562명의 게이머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콘솔게임기 중에서 게이머들은 PS2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XBOX360과 PS3가 그 뒤를 이었음.
콘솔게임 인기 순위(2009년 4월 현재)
게임
사진
유형
기종
회사
스맥다운VS로우2007
스포츠
XBOX360
THQ
기동전사건담 CLIMAX U.C.
사격
PS2
BANDAI
마나케미아:학원의 연금술사들
시뮬레이션
PS2
GUST
Shadowrun
사격
XBOX360
Microsoft
나의 여름방학3:북국의 대초원
시뮬레이션
PS3
SCEI
슈퍼로봇대전OG
MMORPG
PS2
BANPRESTO
무쌍 오로치
액션
PS2
KOEI
나루토 질풍전 나루티밋 엑셀
액션
PS2
BANDAI NAMCO
캐리비안의 해적:세상의 끝에서
액션
XBOX360
DISNEY
모터스톰
레이싱
PS3
SONY COMPUTER
자료원 : hk.games.yahoo.com
○ 휴대용 게임
- 휴대용 게임기용 게임은 홍콩 게임시장의 31%를 차지하고 있으며, PSP, GBA, NDS 등의 높은 보급으로 홍콩 게임시장을 장악하고 있음. 장르는 액션 게임, 롤플레잉 게 임의 인기가 높음.
- 홍콩 게임잡지 의 2008년 1,562명의 게이머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콘솔용 게임기보다는 휴대용 게임기 보유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전 체 응답자 중 PSP를 가지고 있다는 응답이 71.13%, 닌텐도 DS를 가지고 있다는 응답이 69.93%로 PS2 42.25%, Wii 29.54%, XBOX 25.82%, PS3 23.17%보다 높았음.
- 휴대용 게임 인기 순위에서는 NDS가 6개, PSP가 4개로 닌텐도 DS가 앞서고 있으며, 홍콩의 휴대용 게임도 다운로드가 가능해짐에 따라 더욱 많은 종류의 게임들이 각축을 벌일 것으로 예상됨.
휴대용 게임 인기 순위(2009년 4월 현재)
게임
사진
유형
기종
회사
데쓰노트L의 계승자
어드벤쳐
NDS
KONAMI
우뇌능력체크머신:TOUCH THE UNO
기타
NDS
SEGA
젤다의 전설:몽환의 모래시계
액션
NDS
NINTENDO
기동전사건담시드연합 VS ZAFT
액션
PSP
BANDAI NAMCO
몬스터농장 DS
시뮬레이션
NDS
TECMO
따끈따끈 베이커리
MMORPG
NDS
BANDAI
몬스터 헌터 포터블 2nd
액션
PSP
CAPCOM
드래곤볼Z 진무도회2
격투
PSP
BANDAI NAMCO
목장이야기:너와 함께 자라는 섬
시뮬레이션
NDS
MARVELOUS
파이널판타지택틱스-사자전쟁
MMORPG
PSP
SQUARE ENIX
자료원 : hk.games.yahoo.com
○ 예전과 달리 비디오, 전자게임에 들어가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를 중국에서 직접 제작하고 문화와 언어가 동일하기 때문에 중국 비디오 게임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음.
○ 하지만, 여전히 젊은층들은 다양한 구성과 우수한 디자인 등의 이유로 고가의 미국, 일본 비디오 게임을 선호하고 있음.
□ 한국산제품 현지평가
○ 한국산 비디오게임의 점유율은 0.2% 정도로 미미한 수치이나 수입량은 2009년 들어 급증하는 추세로 홍콩 내의 시장 점유율을 점점 높여가고 있음.
○ 홍콩 완차이 비디오 게임 전문 상가 188상점에서 비디오 게임을 판매하고 있는 GameSmart 관계자에 따르면, 한국산 제품은 인지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찾아보기도 힘들다고 밝힘. 인터뷰 시에 보여준 게임은 한국어 버젼의 해외업체 게임이었음. 하지만 한국산 온라인 게임의 인지도가 높은 편이므로 비디오 게임에서도 한국산 게임은 충분히 승산이 있을 것으로 예측함.
○ 또한 X Box를 전문으로 판매하고 있는 DreamStore와 관계자는 일본과 미국 비디오 게임이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어, 이들과 차별화된 제품을 제작해야 시장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함.
- 한국산 제품은 미국과 일본 제품과 차별화된 구성과 디자인에 주력할 것을 충고하였으며, 특히 디자인은 더욱 컬러풀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함.
○ 당 센터에서 인터뷰한 일부 게임 판매상은 언어적인 부분과 홍콩 비디오 게임과 한국 비디오 게임의 버전이 상이하기 때문에 홍콩 시장 진입이 어렵다고 분석하였음.
3. 진출방안 및 유의사항
□ 진출방안
○ 홍보가 최우선
- 현재 홍콩의 비디오 게임시장은 일본과 미국 게임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한국 비디오 게임은 거의 미비한 수준임. 하지만 온라인 게임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고 있어 한국산 비디오 게임도 홍보에 따라 매출 향상이 기대됨.
- 기본적으로 긍정적인 인지도를 바탕으로 한국산 비디오 게임을 게이머들에게 노출 빈도를 높여 한국산 비디오 게임을 해보도록 하는 것이 급선무임. 한국 온라인 게임들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므로 온라인 게임 사이트를 활용한 광고도 고려해볼만 함.
-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게임 사이트인 hk.games.yahoo.com에 홍보를 하고, 이들이 게임 최신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주로 보는 Game Station, Gamezone, Game War 등과 같은 게임 잡지에 광고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으로 분석됨.
○ 비디오 게임 유통매장 공략
- 현재 홍콩의 비디오 게임은 홍콩섬 완차이(Wanchai) 소재 동방188상점과 구룡반도 몽콕(MongKok) 소재 好景상점에서 집중적으로 판매하고 있음.
- 당 센터에서 완차이 188상점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2-3층의 약 40여개의 게임 판매상이 있었으며 대부분 비디오 게임을 취급하고 있었음. X Box, Wii, Playstation 중에 하나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곳도 많았음.
- 디제이맥스, 오디션 등 한국 비디오 게임도 종종 발견되었으나 매우 드물었으며, 홍콩 비디오 게임 시장 진출 초기 단계에는 상기 두 상가에 유통하는 에이젼트들을 발굴하여 협력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임.
홍콩 비디오 게임 전문상가 (완차이 188상점)
○ 타겟 소비자 공략
- 현재 비디오게임의 최대 소비자는 20~40대 연령층으로 이들의 구매 심리를 자극하는 것이 매출을 올리는데 가장 효과적임.
- 또한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들은 단순한 게임을 좋아하므로 캐쥬얼 게임이나 슈팅게임, 액션게임 등과 같은 쉽고 편안한 마음으로 즐길 수 있는 게임 위주로 진출을 노리는 것이 바람직함.
- 게임이 다양화되면서 게임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가이드북(20~40홍콩달러)이 제작 판매되고 있으며, 제품 출시 시에는 사전에 가이드북을 제작하는 것도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임.
○ 선도국 제품과 차별화된 비디오 게임으로 승부
- 홍콩 비디오 게임 시장은 일본과 미국 비디오 게임으로 주도되는 시장으로 이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특징을 보유한 비디오 게임을 제작해야 함.
- 2008년 G-Star에 참가한 바이어들과 인터뷰한 바에 따르면 대부분이 한국 게임의 창의성과 디자인에 높은 점수를 주었음. 선도국들의 게임과 후발주자인 중국 비디오 게임이 점차 업그레이드되고 있어 한국 게임사들도 기존 제품과 차별화된 독창적 구성과 세려된 디자인으로 선도국이 주도하고 있는 비디오 게임 시장의 틈새를 뚫어야 함.
○ 홍콩 게임전시회 참가
- 홍콩 게임시장 진출을 모색하기 위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홍콩 전시회에 참가하는 것임. 홍콩 게임 전시의 경우는 바이어와 일반인을 모두 대상으로 하는 전시회로, 전시회 기간 중에 수 만명이 방문하고 있음.
- 최근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많은 게임 회사들이 전시회에 참가하여 가격할인, 한정량 무료배포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판로를 개척하고 있음.
홍콩 게임 전시회 내역
전시회
주관
장소
개최 시기
HKTDC Hong Kong Toys & Games Fair 2009
Hong Kong Trade Development Council
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2009.1.5-8
2009 Ani-Com & Games Hong Kong
Tung Tak Enterprise Limited
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2009.7.31-8.4
Asia Game Show 2009
Asia Game Show
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2009.12(미정)
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 관세, 비관세 장벽
○ 홍콩은 주류(알코올 30도 이상), 담배, 메틸알콜, 하이드로카본오일 등을 제외한 모든 제품에 대해 무관세 정책을 전개하고 있음.
○ 비디오 게임에 대한 관세는 0%이며, 수입규제도 없음.
자료원 : 홍콩KBC 자체 인터뷰, 홍콩언론종합, YahooHK, 홍콩무역발전국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홍콩, 포터블게임기 인기로 비디오게임 전망 밝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홍콩 내 게임시장 동향 및 전망
홍콩 2015-06-23
-
2
카타르 내충격 3중 PVC, CPVC 수도관(2014.4)
카타르 2016-03-23
-
3
어렵고 복잡한 인도 통관의 지름길 ‘AEO’
인도 2018-09-21
-
4
인도 공항산업, 민간 기업에 문 활짝
인도 2014-05-29
-
5
인도 뭄바이 화장품 바이어가 말하는 성공 비결
인도 2017-10-16
-
6
2021 제23회 중국 국제 의료기기 박람회 현장 인터뷰
중국 2021-05-03
-
1
2025년 홍콩 물류산업 정보
홍콩 2025-06-16
-
2
2025년 홍콩 바이오테크 및 보건용 의료기기 산업 정보
홍콩 2025-05-20
-
3
2025년 홍콩 선박 MRO 산업 정보
홍콩 2025-03-20
-
4
2024년 홍콩 화장품 산업 정보
홍콩 2024-10-30
-
5
2024년 홍콩 MICE 산업 정보
홍콩 2024-02-21
-
6
2023년 홍콩 산업 개관
홍콩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