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2008년 사료 수입시장 47% 증가
  • 트렌드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박동욱
  • 2009-03-11
  • 출처 : KOTRA

 

베트남 2008년 사료 수입시장 47% 증가

 

 

 

베트남의 국민소득 수준 향상으로 육류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차원의 낙농업 육성정책과 사료보급 확대 조치로 민간의 사료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 2005년 이후 사료수입 시장은 연평균 43% 이상 증가했으며 2008년에는 47% 증가한 것은 물론 한국산 고품질, 유기농 사료에 대한 소비도 가시화되고 있어 향후 시장이 유망함.

 

1. 시장동향

 

□ 베트남 사료시장 현황

 

 ○ 베트남은 최근 축산물 생산을 위한 사료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2005년 이후 900만~1100만 톤 규모의 사료를 소비했으며, 2008년에는 1200만 톤의 사료를 소비한 것은 물론 국내 생산이 전체 수요의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하지만, 최근 국제 육류제품 가격하락과 사료가격 급등으로 농가의 사료 소비가 일시적으로 줄고 있으나 베트남 정부는 육류 수입관세와 자국 축산업계의 재정지원을 위해 수입 육류에 대한 관세를 대폭 확대하고 사료에 대한 관세를 인하해 축산물 생산 확대지원 및 사료의 소비도 크게 확대되는 추세임.

 

 ○ 베트남 정부의 계획에 따르면 2010년까지 1860만 톤, 2015년까지 2410만 톤의 사료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며, 베트남 정부는 축산용 사료 생산 및 사용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 중임.

 

자료원 : 농업부, 사료제조연합

 

□ 수요 특징

 

 ○ 베트남 사료산업의 특징은 국내 원료부족에 따라 연간 원료수입을 위해 10억 달러 이상을 지출하고 있으며, 축산제품 가격의 70%가 사료비용으로 추산될 만큼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상황임.

 

 ○ 베트남 사료 제조기업은 대부분 국영기업이며, 유통 시스템이 낙후돼 사료비용 상승의 주요인이기도 함. 통상 1차 도매기업이 10~12%의 이익을 추가하며 2차 소매기업이 추가로 10%의 이익을 부과하는 시스템으로 통상 공장도 가격에서 20~24%의 마진이 붙어 실수요자인 축산농가의 경우 원가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임.

 

 ○ 최근 베트남 경제위기로 사료제조기업이 전년대비 30~40% 낮은 가격으로 재고품을 처분하고 있어 사료가격이 하락세를 보임. 또한 전체 사료원가의 40%를 차지하는 국제 콩과 옥수수의 시세가 50% 이상 하락해 최근 사료 소비가 서서히 증가함.

 

 ○ 베트남 내 가축 사육 현황

연도

물소

돼지

염소, 양

가금류

(단위 : 천 마리)

(단위:백만 마리)

2000

2897.2

4127.9

20193.8

126.5

543.9

196.1

2001

2807.9

3899.7

21800.1

113.4

571.9

218.1

2002

2814.5

4062.9

23169.5

110.9

621.9

233.3

2003

2834.9

4394.4

24884.6

112.5

780.4

254.6

2004

2869.8

4907.7

26143.7

110.8

1022.8

218.2

2005

2922.2

5540.7

27435

110.5

1314.1

219.9

2006

2921.1

6510.8

26855.3

87.3

1525.3

214.6

2007 이전

2996.4

6724.7

26560.7

103.5

1777.6

226

자료원 : 베트남 사료업협회

 

 ○ 베트남 축산업 동향단위 : 10억 동

연도

총계

종류

국내가축

가금류

비 육류제품

2000

18,505.4

11,919.7

3,295.7

2,802

2001

19,282.5

12,298.3

3,384.9

3,106.4

2002

21,199.7

13,319.1

3,712.8

3,667.6

2003

22,907.3

14,419.6

4,071.8

3,900.6

2004

23,438.6

16,139.8

3,456.1

3,315.9

2005

26,107.6

18,581.7

3,517.9

3,469

2006

27,907.3

20,164.8

3,619.3

3,571

2007

29,201

20,833.4

3,890.5

3,911.3

자료원 : 베트남 사료업협회

 

2. 경쟁 및 수입동향

 

□ 현지생산 및 경쟁동향

 

 ○ 베트남 축산관리소(AHB)에 따르면, 국내 사료제조기업이 전체 사료 생산의 79%와 원료수입의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함. 하지만 원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콩 및 옥수수 가격이 상승하면 현지 제품가격 또한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

 

 ○ 베트남 사료업협회에 따르면, 2008년 기준 사료 제조기업은 214개사에서 174개사로 감소했으나 생산은 전년대비 5% 증가한 820만 톤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됨. 대부분의 제조기업은 ISO 기준을 충족하고 있으나 GMP기준은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베트남 정부는 2010년까지 제조기업의 30%가 GMP 기준에 도달하도록 행정지도와 지원을 추진할 목표를 세우고 있음.

 

 ○ 최근 전 세계적 문제가 되고 있는 멜라민 관련 규정을 살펴보면, 베트남은 멜라민 함유사료의 검출한도를 최대 2.5㎎/㎏까지 허용하기로 했으며, 대상사료에 대한 샘플검사를 12곳의 검사연구소를 통해 조사를 하는 것으로 파악됨.

 

베트남 사료제조기업 및 매출 현황

사료 제조업체 수

현지생산량

자료원 : 베트남 사료업협회

 

□ 가격동향

 

 ○ 베트남 내 사료가격은 2008년 10월까지 급속도로 상승했으나 최근에는 전년대비 30~40%가량 하락한 상태임. 최근 경기위축과 이자율 급등에 따라 사료 수입판매 기업의 재고판매가 확대되며 가격이 추가하락하는 추세임.

 

 ○ 주요 수입사료 가격은 아래를 참조 바람.

 

2009년 2월 수입사료 가격 현황

상품

단위

가격(USD)

국가

Squid Liver Powder

ton

663

한국

Animal Feed Production Material

ton

470.71

미국

Nutri Vet Gel

tuyp

1.9

태국

Soy Bean Oil Cake PROTEIN 48.09%,

ton

344.48

인도

Marine Protein Concentrate

ton

730

독일

Zinc M-1.1 Perla Plus MP 25㎏

2.29

프랑스

Fish Power

ton

1,112.30

멕시코

Wheat Flour Mash 13% Max, Aflatoxin 50

ton

152.84

스리랑카

Soy Bean Oil Cake

ton

332.23

인도

Milk Supersede For Big Protilac

ton

680

네덜란드

Chicken Powder(Protein: 71.50%)

ton

544.98

호주

자료원 : 하노이 KBC 자체종합

 

□ 수입동향

 

 ○ 베트남은 2008년 기준 전년대비 47% 증가한 17억4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2005년 이후 연평균 43%에 달하는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국가별 수입비중을 살펴보면 인도가 최대 수입국으로 전체 수입시장의 42%를 차지하며 7억8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주요 원료 수입대국이며 아르헨티나, 미국, 중국이 다음을 차지함. 한국은 전체 수입시장에서 18위 규모로 매우 소규모이며 연간 수입액은 110만 달러에 불과함.

 

베트남의 사료 수입액(U$천) 및 증가율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2008년 국가별 사료 수입현황

         (단위 : 천 달러, %)

시장

2007

2008

08/07

인도

450,638

784,184

74.02

아르헨티나

215,241

209,135

-2.84

미국

62,300

137,590

120.85

중국

75,474

93,034

23.27

페루

44,602

66,081

48.16

태국

54,008

45,837

-15.13

사우디아라비아

25,306

43,587

72.24

브라질

14,775

42,031

18.47

인도네시아

41,863

38,244

-8.64

말레이시아

13,864

31,520

127.36

프랑스

10,949

24,412

122.96

이탈리아

19,279

19,774

2.57

대만

21,559

19,719

-8.53

필리핀

11,224

14,475

28.74

싱가포르

13,959

14,264

2.19

칠레

21,822

13,259

-39.24

멕시코

1,136

12,858

1,031.98

한국

7,408

11,369

53.47

스리랑카

5,419

10,719

97.81

일본

5,822

8,611

47.90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 한국산 제품 현지 평가

 

 ○ 베트남 내 국영기업의 자체 시장점유율이 높으며, 과장광고 및 네트워크를 통한 시장확대 전략을 활용하고 있어 한국산 사료제품의 현지 인지도 및 경쟁력은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으로 파악되고 있음.

 

 ○ 베트남 기업의 경우 과장광고 및 허위광고로 자사제품에 대한 홍보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소규모 수입기업의 경우 제품의 질이 낮은 제품으로 저가시장을 공략하고 있어 시장경쟁이 매우 치열한 것으로 파악됨.

 

 ○ 한국기업의 경우 일부 양식어용 사료공장을 현지에서 생산·공급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육류 및 축산 사료에 대한 시장은 제한적으로 진출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3. 진출 방안 및 관세·비관세 장벽

 

 ○ 현재 베트남 정부는 축산농가 육성 및 자체 낙농업·양식업의 전략산업화를 위한 정부지원을 확대중이며 이의 일환으로 생산성 확대를 위한 사료보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최근에는 한국산 육류·가금류의 대베트남 수출이 확대되고 있으나 점차 관세인상과 검역강화로 한국산 육류·가금류의 직접 수출이 점차 어려워지며 현지 사료시장에 대한 진출 또한 면밀하게 검토해볼 시점으로 판단됨. 또한 최근에는 일부 기업이 한국산 고기능·유기농 사료에 대한 현지 축산농가와 협력해 시범적 사용과 사후 품질테스트를 통해 검사결과가 좋을 경우 판로 확보는 물론 한국산 제품의 현지 인지도 또한 크게 향상돼 장기적으로 한국산 사료제품의 현지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

 

 ○ 베트남의 경우, 축산농가의 지원을 위해 최근 사료에 대한 수입관세를 대폭 인하하고 있으며 품목의 다양성으로 개별 사료에 대한 관세는 열거하기 어려운 편이나 통상 0~5%의 저율관세를 적용하고 있음.

 

 

자료원 : 베트남 농림부, 사료업협회, 하노이 KBC자체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2008년 사료 수입시장 47% 증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