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미주개발은행(IDB) 가입
- 경제·무역
- 페루
- 리마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10-25
- 출처 : KOTRA
-
중국, 미주개발은행(IDB) 가입
- 3억5000만 달러 기금으로 IDB 48번째 회원국 -
- IDB 프로젝트 참가 방안 및 페루프로젝트 소개 -
보고일자 : 2008.10.24.
리마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중국, 10월 23일 미주개발은행(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가입
○ 중국은 중남미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기금 3억5000만 달러 조성으로 10월 23일 IDB 48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함.
○ 중국은 전체 IDB 지분 0.004%를 보유했으며, 일본(1976년)과 한국(2005년)에 이은 아시아 3번째 가입국임.
□ 중국의 IDB가입으로 지역발전 기대
○ 중국과 중남미 교역량은 1995년 84억 달러 대비 13배 증가한 2007년 110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현재 미국에 이은 최대 교역국으로 부상
○ IDB 총재 Luis Alberto Moreno에 따르면, 중국과 같은 거대경제 국가의 IDB가입은 중남미가 처한 복잡한 문제를 풀 수 있는 답이 될 것이며, 중국과 중남미의 교역관계에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전함.
○ 미국은 중국의 IDB 가입이 세계경제에서 중국의 입지를 높일 것이며, 동시에 미주개발은행 발전을 기대함.
○ Zhou Wenzhong 주미 중국대사에 따르면, 중국의 미주개발은행 가입은 중남미와 중국 양측의 교역 및 투자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고, 이는 중국과 중남미의 개발도상국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임. 또한 중국은 빈곤감축, 경제발전 경험 전수 등 상호 발전을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할 것임.
□ 중국, 미주투자공사(IIC)의 미국, 일본, 스페인, 한국에 이은 최대 지원국
○ 전체 기금 중 1억2500만 달러가 볼리비아·기아나·아이티·온두라스·니카라과에 소프트론(장기저리대부) 형식의 특별자금으로 운용되고, 7500만 달러는 각 국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민간분야의 제도 강화를 위한 신탁기금으로 운용
○ 7500만 달러는 미주투자공사(IIC)의 중소기업 지원 투자기금으로 운용되며, 7500만 달러는 다국 간투자기금의 영세업체 지원위한 기금으로 운용될 것임.
□ IDB의 투자규모 지속 증가
○ IDB는 1959년 지역개발을 위해 설립됐으며, 26개의 차입국과 22개의 지원국으로 구성된 지역 최대 개발은행으로, 올해 미주개발은행 그룹의 총 투자액은 100억 달러로 전망하며, 내년 120억 달러가 계획돼 있음.
□ IDB 입찰 방식
○ IDB의 입찰은 Loan 방식과 TC 방식으로 나눠짐.
- Loan 방식
· 차관요청국가에 대부하는 형태
· 구속, 불구속 두 종류로 운영 : IDB 기존 기금 100%로 운영될 경우, 모든 회원국이 프로젝트 참여 가능. 특정국가의 기금이 소요될 경우, 기금의 구속·불구속 여부에 따라 참가자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음.
· 인프라건설 등 규모가 큰 대형 프로젝트에 적용됨.
· 채무국은 추후 차관을 상환해야 함.
· 규모는 일반적으로 억 달러 단위를 상회
· 예 : 부에노스아이레스 지하철 확장 프로젝트(전체 예산 25억 달러, IDB 대부금액 15억 달러)
- TC(Technical Coperation) 방식
· Loan 프로젝트 실시 전 타당성조사로 수행되거나 단독 프로젝트로 수행됨.
· 채무형태가 아닌 프로젝트별 지급 형태. 상환의무 없음.
· 규모는 일반적으로 10만~100만 달러 수준
· 한국의 Fund는 모두 TC 형태임.
· 예 : 브라질 상파울루-리오데자네이로 간 고속철 타당성 분석 프로젝트(150만 달러)
- 일반적으로 규모가 큰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의 경우, 사전 타당성조사는 TC 방식으로 수행된 후 실제 건설은 Loan 방식으로 진행됨.
□ 한국의 가입 현황
○ 2005년 3월 16일, IDB 47번째로 가입
- IIC(Inter-american Investment Corperation - 미주투자공사)동시 가입
- 47번째 회원국, 아시아에서는 일본 이후 두 번째
- 2억 달러 규모의 펀드조성을 약정했으며, 현재까지 4000만 달러 불입 완료
- 보유지분 : 184주(0.000021%) / 836만8563주(100%)
- 의결권 : 319표(0.004%) / 837만5043표
□ TC 프로젝트 진행 절차
○ 채무 신청국, IDB 지방 Office에 신청→IDB 내 해당 Fund 물색→IDB Fund 납입국 승인→세부지원계획 수립→입찰 실시
○ 이 경우 IDB 펀드 납입국의 승인이 필요하며, 이 세부지원계획 수립 시 일반적으로 낙찰업체가 결정됨.
□ 한국기업의 IDB 프로젝트 참가 방안
○ 지속적인 IDB 담당자 접촉을 통한 사전 입찰정보 획득
- 기본적으로 IDB 프로젝트 입찰은 일반 입찰과 같이 입찰 기획단계부터 정보를 입수하는 것이 중요함. 입찰공고 후 준비는 수주가능성이 극히 낮음. IDB 방한 세미나 참가 등 담당자와의 지속적인 접촉을 통해 사전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
- 또한 프로젝트 기획 및 승인은 워싱턴 본사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본사 담당자를 접촉하는 것이 필요함.
□ 페루 관련 IDB 프로젝트 소개
○ 프로젝트명 : Support for Deepening Access to Financial Services through M-Banking
○ 투자금액 : 14만5159달러
○ 프로젝트 세부내용 첨부확인
자료원 : El Comercio, IDB press release 및 프로젝트 안내, 글로벌윈도우(멕시코 코리아비즈니스센터 2008년 7월 22일 자)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미주개발은행(IDB) 가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금융위기] 외국인 투자, 당분간 약보합 불가피
미국 2008-10-25
-
2
中, 최초로 ‘수입장려기술 및 제품목록’ 발표
중국 2007-12-06
-
3
튀니지 Carthage 투자포럼, 현지 네트워킹 기회 제공
튀니지 2007-07-15
-
4
인니, 투자환경 개선위한 경제정책 패키지 발표
인도네시아 2007-06-27
-
5
우리나라 對태국 투자 동향
태국 2007-02-26
-
6
中, 6월 1일부 총 351개 품목 수출입관세율 조정 발표
중국 2007-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