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일본의 아이폰 상륙, 터치패널 폰의 확대에 기여할 듯
  • 트렌드
  • 일본
  • 도쿄무역관 김연건
  • 2008-06-27
  • 출처 : KOTRA

일본의 아이폰 상륙, 터치패널 폰의 확대에 기여할 듯

 

 

 

□ 2008년 7월, iphone이 일본에 상륙

 

  iphone은 2007년 6월경에 애플사가 내놓은 전면 터치 패널식 휴대폰으로, 출시 이후 2007년도

     4/4분기에 미국지역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26.7%로 단숨에 2위를 차지하는 등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킨 기종임.

  - iphone은 기존의 ipod의 충성고객을 기반으로 터치패널 방식과 전면화면 방식, 화면인터페이스 등의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온 플래시메모리 기반의 휴대폰으로서 주목을 받음.

  - 현재 iphone은 물량공급의 제약 하에서도 2008년도 1/4분기 미국시장 스마트폰 부문 2위 19.2%를 기록하고 있는 등 선전 중에 있음.

  - 일본은 2006년도 1위 히트상품이 애플사가 제작한 ipod이었으며, 과거 꾸준히 애플사의 컴퓨터 맥킨토시가 IBM(WINDOWS기종)에 비해 상당부분 강세를 보여왔던 국가였음을 감안한다면 충성고객이 상당히 있다고 추정됨.

 

  한편 iphone은 최초 2세대 휴대폰(2G) 플랫폼에서 출시 이후에, 2008년 들어 3세대 휴대폰(3G)

      플랫폼으로 출시하게 됨에 따라 사용가능한 세계 국가가 급격히 늘 수 있음.

   - 애플사가 운용하는 사이트(http://www.apple.com/iphone/countries/)에 따르면, 대부분의

     국가가 아이폰 출시를 예정하고 있음.

 

  이 가운데, 휴대폰 왕국이라고 볼 수 있는 일본시장에도 7월경 iphone 출시가 소프트뱅크를

     통해서 예정돼 있어 주목을 받음.

  - 일본의 경우, 휴대폰의 보급률이 가정전화를 넘은 것이 오래 전이며, 2000년대 초반에는 일반인의 인터넷 사용의 경우, PC를 통한 이용보다 휴대폰을 통한 모바일 인터넷 이용이 높았던 경우도 있을 만큼 휴대폰 왕국이며 각종 서비스가 발달한 국가임.

 

  올 여름에 출시되는 각 통신사별 주력 휴대폰 기종은 아래와 같음.

 

서비스회사

소프트뱅크 모바일

NTT 도코모

KDDI(au)

화상(참고사이트로 대체) 

http://www.apple.com/jp/iphone

http://www.sharp.co.jp/products/sh906i/

http://k-tai.hitachi.jp/w62h/

기종명칭

iphone 3G(8G모델)

SH906i(샤프)

W62H(히타치)

단말기가격

2만3040엔

5만5000엔

5만 엔대 전후반

매월통신료

 

 

 

 기본사용료

980엔

980엔

980엔

 데이터통신기본료

315엔

315엔

315엔

 정액 데이터통신료

5985엔

4095엔

1050~4410엔

총액

7280엔

5390엔

2345~5705엔

주기능

무선랜, 유튜브시청 등

터치패널

원세그(일본DMB)

전자결재기능

터치패널

원세그(일본DMB)

전자결재기능

가로,세로 대응

자료원 : 일본경제신문 6월 24일자

주 : 기타 NTT 도코모의 경우 LG의 프라다폰을 출시하고 있으며, 가격은 기기가격만 9만 엔 대로 초고급 명품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소프트뱅크는 7월 11일 발매하는 iphone의 가격을 발표했으며, 용량이 8G 모델은 2만3040엔,

      용량이 16G 모델은 3만4560엔으로 내놓게 됨.

  - 참고로 미국에서의 가격은 8G 모델이 199달러, 16G 모델이 299달러에 해당함.

 

  iphone의 경우 기기가격은 높지 않으나, 월 데이터 통신료가 매우 높음(5985엔 등). 이는

     소프트뱅크측에 따르면 1대당 데이터 이용량이 기타 기종에 비해 10~20배가량 높을 것으로 예상

     되기 때문임.

 

  이러한 정책 책정은 최근의 일본 휴대폰 기기회사들이 음성통화에 의한 수익구조를 데이터

     통신에 의한 수익구조로 가져가고 있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음.

  - 통신사의 정액 인터넷 요금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 유저는 au의 경우 약 4150만 명, NTT도코모의 경우 약 300만 명, 소프트뱅크의 경우 약 800만 명에 해당함.

  - 각 가입자들은 월 4000엔 정도를 더 지불한 후, 데이터 서비스를 무제한 이용 중임.

  - 소프트뱅크의 경우, 이러한 데이터 서비스를 중심으로 iphone의 기능을 쓸 수 있도록 플랜을 구성한 후, NTT 및 au의 고객들을 유치하겠다는 계산으로 보임.

 

  기타, 3G폰의 특징인 USIM 카드(카드를 갈아끼움으로 해, 다른 휴대폰으로도 같은 번호를 사용

     할 수 있게 해주는 카드임)의 경우, iphone은 iphone만의 특별 USIM 카드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서 교체가 불가능하다고 결정돼 있음.

  - 이는 기존의 이용고객들이 iphone으로 변경하거나, iphone의 구매자들이 공기계를 거래하는 상황이 줄어들게 되는 요인으로 보여짐.

 

  한편, 3G의 iphone의 경우, 미국의 2G iphone과 달리 GPS 기능이 추가돼 있는 점 등을 통해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 개발등을 통한 응용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됨.

 

  이 외에 NTT 도코모 등의 회사가 도입한 샤프사의 SH906i 기 또는 LG의 프라다폰으로 알 수

      있듯, 터치패널을 채용하는 휴대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음.

  - 과거 휴대폰은 바형식·플립 형식·폴더 형식 등으로 시대에 따라서 유행을 변화시켜 온 바 있으며, 최근 1년간의 핵심은 프라다폰 및 아이폰의 출시로 촉발된 ‘전면 터치패널’ 형식이라고 볼 수 있음.

 

□ 시사점

 

  최근 KOTRA 동경무역관의 사업 상담으로 보아, 터치패널 등의 기업이 상담 증가하고 있지는

      않으나, 휴대폰과 관련한 시장의 확대를 점치는 흐름은 유지되고 있음.

  - KOTRA가 2008년 주최한 한국기업의 일본지역 수출을 위한 부품소재 관련 대형 상담회 Korea Business Plaza에 휴대폰 관련된 품목을 취급하는 기업은 총 참가 50개사 중 10개사에 달했으며, 평균 상담 건수는 6.2건임(전체품목 평균 5.8건).

  - 메이져 휴대폰 제조 모회사(소니, 파라소닉, 히타치, 토시바 등)의 참여에는 참가 부품소재기업에 대한 인지도 부족 등으로 이뤄지지 않았으나, 낮은 레벨에서의 사업 협의 단계로는 상담거리가 충분히 존재했던 것으로 파악됨.

  - 일본 기업의 경우, 한국의 대기업 등과의 거래 실적 및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한 실질적 수치가 있는 경우에 관심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참고가 요망됨.

 

 

자료원 : 일본경제신문 2008년 6월 24일자, apple 웹사이트, 소프트뱅크, au, KOTRA 동경무역관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의 아이폰 상륙, 터치패널 폰의 확대에 기여할 듯)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