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정부의 시베리아 자원개발 프로그램
  • 투자진출
  • 러시아연방
  •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 2008-05-04
  • 출처 : KOTRA

러시아 정부의 시베리아 자원 개발 프로그램

- 극동지역에 비해 시베리아 지역 탐사활동 상대적으로 침체 -

- 미개척 자원의 보고로, 국가차원의 전략적이고 신중한 접근 필요 -

 

보고일자 : 2008.5.4.

채승완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ericchae@kotra.or.kr

 

 

□ 시베리아 지역 오일, 가스 개발 및 채굴의 문제점

 

 ㅇ 원유·가스 등 천연자원은 러시아 정부 세수의 50%, 수출의 70%를 점유하고 있을 정도로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ㅇ 그러나, 최근 자원 채굴량의 급속한 증가로 극동지역에서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자원 고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임.

 

 ㅇ 문제는 러시아 천연자원 분야가 몇몇 업체들에 의해서 독점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동안 기업들이 신규 매장지 발굴을 위한 탐사 활동보다는, 손쉬운 방법으로 주로 과거에 매장이 확인되고 현재 채굴되고 있는 지역만을 위주로 재탐사 등에 몰두하고 있다는 점임.

 

 ㅇ 소련 붕괴 후 1990년대는 국가의 제1전략 목표로 자원탐사에 열을 올렸던 소비에트 시기에 탐사 및 자원매장이 확인된 지역에서 새로운 광구 탐사보다는 기존 광구 채굴량 확대에만 열을 올린 나머지 최근 채굴량이 매장 추정치를 초과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향후 신규 광구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수익성 있는 광구의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는 상황임.

 

 ㅇ 최근에는 석유·니켈·다이아몬드의 90%, 가스의 약 80%, 금(백금 포함)의 70% 이상이 정부소유 기업들에 의해 장악돼 있는 상태로, 국가의 주요 전략 자원의 채굴이 한 두개 기업에 집중돼 있는 독과점 체제를 형성하고 있음.

 

 ㅇ 현재 러시아 자원분야 기업 현황을 보면 가스·니켈·금 등 약 10여 개 주요 자원이 한 회사에 의해 독점적으로 영유되고 있고, 다이아몬드는 2개사가 그리고 석유부분은 10개사 미만의 기업이 독점하고 있음.

 

 ㅇ 이러한 현상은 한편으로는 이 분야에 대한 지배력 또는 통제력을 증대시킬 수는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독과점이 형성돼 기업 간의 경쟁 부재라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결국 자원개발 분야에 대한 투자 및 이에 따른 기업의 경쟁력을 저해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는 것으로 현지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음.

 

 ㅇ 많은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자원 대기업들이 그동안 덩치를 키워 국제시장에서 러시아의 정치·경제 영향력 향상에 이바지하는 부분을 부인할 수 없으나, 반면 독과점 기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업의 비효율적 측면·관리비용 증가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공공의 이익보다는 개인 기업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국가의 통제와 감시 활동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음.

 

 ㅇ 또한 국제 에너지 소비량 추이 및 수출 예상치 등을 정확히 산출해내고,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새로운 광구를 발굴하는 작업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은 상황임.

 

□ 시베리아 오일, 가스 자원 개발 현황 및 향후 계획

 

 ㅇ 전문가들에 따르면 1994년부터 오일·가스전의 매장 확인량보다 채굴량이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10~20년 기간 중 석유·가스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러시아는 85억 톤의 원유와 15조5000억㎥의 가스전 개발이 필요함. 이를 위해 이 기간 중 투입해야 할 총 소요비용은 최소한 400억 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 중 탐사·개발·채유 등 Upstream 부분에 대한 투자비용이 10.8~14.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ㅇ 새로운 탐사작업은 동·서 시베리아, 사하 공화국(야쿠티아), 해안 지역(바렌츠, 카라, 페초라저지, 카스피안, 오호츠크)에 집중돼야 할 것으로 조사됨.

 

 ㅇ 특히 동 시베리아 Leno-Tungus 지역 내 Angaro-Lenskoy, Nepsko-Botuminskoy, Baykitskoy, Kataganskoy 지역이 석유·오일 매장이 유력시 되는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음.

 

 ㅇ 이외에 자원 매장이 유력시 되는 지역으로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Angar 유역 원유, 가스, 탄소 카보네이트), 이르쿠츠크 및 사하 공화국 서쪽(Kovyktinskoy 광구 근교 가스전, Botumisko-Duulisminkoy 광구 내 신 광구) 등이 있음.

 

 ㅇ 현재 개별 기업들의 탐사작업도 진행되고 있으나 모두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상황으로,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35개 탐사 대상지 중 극히 일부 지역만이 탐사활동을 위한 라이센스 취득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파악되고 있음.

 

 ㅇ 기업들 중에는 사하공화국에서 탐사작업을 추진하고 있는 Surgutneftegas사가 비교적 활발한 탐사작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야쿠티아 지역에도 조만간 탐사작업을 위한 라이선스를 취득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ㅇ Rosneft사도 탐사작업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지만, 정부 할당지역에 대한 적절한 탐사작업을 아직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ㅇ Evenkia 지역은 YUKOS의 해체 이후인 2004년 이후 탐사활동이 크게 위축된 상황으로, Yurubchenskoe 광구 소유권이 Rosneft로 이양됨에 따라 향후 이 지역에 대한 탐사활동도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됨.

 

러시아 원유·가스 채굴량 및 매장확인량 증가율표(1997~2007년)

연도 구분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1994~
2007

원유 채굴량

(단위 : 백만 톤)

306

303

305

323

348

380

421

459

470

480

496

4721

원유매장 확인량 증가율(단위 : 백만 톤)

252

232

250

295

300

260

380

239

285

353

385

3469

가스 채취량

(단위 : 10억㎥)

572

591

591

584

581

595

620

634

640

656

661

7867

가스 매장확인량 증가율(단위 : 10억㎥)

394

280

209

450

500

514

560

582

660

560

630

5343

오일·가스를 위한
심층 탐사 천공량

(단위 : 천m)

1510

1250

1234

1719

1847

1105

1080

925

804

923

980

16862

자료원 : Continental Sibir 誌 4월호(com.sibpress.ru)

주 : 2007년 수치는 추정치임.

 

러시아 정부 원유, 가스 탐사 프로그램(2010~20)

연도 지역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원유 매장 확인량(단위 : 백만 톤)

서시베리아

390

399

411

420

431

443

455

467

479

492

504

동시베리아 및 사하 공화국

62

160

175

190

223

250

258

261

269

280

290

전 러시아

554

672

704

731

784

835

860

879

900

931

954

가스 매장 확인량(단위 : 10억㎥)

서시베리아

782

774

788

804

826

855

924

969

1007

1050

1079

동시베리아 및 사하공화국

132

188

222

248

273

296

271

274

285

296

307

전 러시아

1085

1141

1203

1257

1321

1389

1461

1530

1597

1671

1735

탐사작업 소요 예산(단위 : 백만 달러)

서시베리아(대륙붕 포함)

1567

1605

1653

1688

1733

1780

1828

1878

1928

1980

2028

동시베리아 및 사하공화국

434

1120

1225

1330

1561

1750

1806

1827

1896

1960

2030

전 러시아

2448

3242

3431

3600

3939

4248

4399

4504

4654

4819

4966

전체 소요예산 중 채굴부문 소요예산 비중

10.8

13.7

13.8

13.8

14.4

14.9

14.8

14.5

14.4

14.4

14.2

자료원 :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시베리아 지부, Continental Sibir 誌 4월호(com.sibpress.ru)

 

□ 시사점

 

 ㅇ 러시아는 원유 가스 등 핵심자원을 국가 전략자원으로 분류해 외국자본의 진입장벽을 강화하려는 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시베리아 지역은 지구상에 남은 유일한 미개발 지역으로 추정 자원 매장량은 많으나 자원탐사 및 채굴에 소요되는 천문학적인 비용·막대한 운송 인프라 구축비용·열악한 기후 조건·러시아 기업들의 소극적인 투자 등으로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임.

 

 ㅇ 민간부분이 참여하기에는 엄연히 한계가 있는 분야로, 정부차원의 장기적이고 치밀한 투자계획 및 러시아 중앙 또는 관련 지방정부와의 지속적인 협상(절충교역 등)을 통해 향후 이 지역을 안정적인 에너지원 확보를 위한 전략지역으로서 국가차원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임.

 

 

자료원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시베리아 지부, Continental Sibir 誌 4월호(com.sibpress.ru)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정부의 시베리아 자원개발 프로그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