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우크라이나 노후 제강 설비 현대화 수요 막대
  • 트렌드
  • 우크라이나
  • 키이우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3-11
  • 출처 : KOTRA

우크라이나 노후 제강 설비 현대화 수요 막대

- 세계 8대 철강 생산국, 15개 제철소 -

 

보고일자 : 2008.3.11.

김창식 키예프무역관

kotraiev@ gt.com.ua

 

 

□ 2007 설비투자비 57% 증가

 

 ㅇ 우크라이나의 철강산업은 우크라이나 총 산업 생산의 25%를 점유하는 최대 산업일뿐 아니라 세계 8대 철강 생산국임. 그러나 1991년 러시아로부터 독립 이후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현재 약 50%는 국제경쟁력을 잃고 매년 적자를 보고 있음.

 

 ㅇ 2006년부터 중국의 저가 철강 생산 및 수입 관계로 더욱 열악해진 경쟁력을 회복하기위해 생산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설비투자가 급증하고 있는데, 2007년에는 설비 현대화를 위한 투자가  전년비 57% 증가된 20억 달러에 달했으며, 2008년에는 2007년 대비 28%가 증가한 25억5000만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ㅇ 2008년 예정된 주요 시설 현대화 투자 기업은 다음과 같음.

  - Alchevsk Iron & Steel Works : 7억 달러

  - Mittal Steel : 2억6000만 달러

  - Azovstal Steel Works : 2억4000만 달러

 

□ 선철 등 저부가가치 품목 생산 위주

 

 ㅇ 우크라이나는  15개 대형 제철소가 있으며, 이들은 2007년 주철 3560만톤, 조강4280만톤, 코일 3620만톤을 생산했으며, 이는 각각 전년비 7.6%, 7.5%, 12.2% 증가된 생산량임. 아울러 2008년에는 주철 3830만톤, 조강 4600만톤, 코일 4060만톤을 생산할 계획임.

 

 ㅇ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철강산업은 주로 1차제품 생산에 그치고 있으며, 조선용 후판이나 자동차용 후판 생산 등 고부가가치제품 가공시설이 부족함. 따라서 근년도 생산량이 급증한 중국산과 심하게 경쟁을 하게 됐음. 우크라이나산 선철의 톤당 생산비는 47달러로 국제평균 30달러를 크게 상회하는 비용임.

 

□ 한국기업 참여 유망

 

 ㅇ 우크라이나 철강산업조합의 Vasyl Kharakhulakh 이사는 15개 철강기업 중 50%인 7~8개 기업은 적자상태라고 지적함. 우크라이나의 철강산업의 경쟁력 상실의 가장 큰 원인은 시설의 노후화이며, 구 소련의 기술로 생산하는데 기인함. 아울러 6~7개 기업은 아직도 평로를 이용해 생산하고 있음. 설상가상으로 러시아에서 공급받는 에너지 가격의 폭등으로 우크라이나 철강산업은 심각한 위기에 처하고 있음.

 

 ㅇ 따라서 가장 시급한 조치는 생산시설의 현대화이며, 이를 위해 이와 같이 막대한 시설 투자를 계획하고 있음. 한편 일부 업체들은 제품 고급화를 위해 수요가 증가하는 선박용 후판이나 자동차용 후판 생산공정의 추가 설치를 계획하고 있음.

 

 ㅇ 이러한 여건은 한국 관계 기업의 우크라이나 철강업 진출에 호기를 제공하고 있음. 유망 참여분야는 시설 현대화와 고부가가치 철강 생산시설 건설 참여임.

 

□ 참고 자료

 

우크라이나 3대 철강기업 리스트(2006년)

           (단위 : 천 달러, 명)

순위

회사명

순매출

순이익

총자산

종업원수

1

Arcelos Mittal Steel Kryvoy Rog

2,851,287

580,382

2,095,584

54,217

2

Mariupol Steel Works by Illich

2,850,099

180,308

2,417,802

76,984

3

Azovstal steel works

2,479,863

218,448

2,058,524

24,160

자료원:  키예프 무역관

 

 

자료원 : Inter fax(2008.3.)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우크라이나 노후 제강 설비 현대화 수요 막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