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외상투자 인력파견회사 설립관련 질의응답
- 투자진출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08-02-26
- 출처 : KOTRA
-
中, 외상투자 인력파견회사 설립관련 질의응답
보고일자 : 2008.2.26.
황재원 칭다오무역관
zaiyuan@kotra.or.kr
자문요청1)
외국인이 중국 내 fesco와 같은 인력파견법인의 설립이 가능한지, 독자법인이 불가능 할 경우 합자법인 설립 시 투자비율은 얼마인지, 투자 장려항목에 해당이 되는지에 관한 문의임.
☞ 답변1)
가. 외국인의 인력파견회사 설립
- 투자가능여부 : 가능함, 단, 합자법인 설립만 가능
- 투자자격 : 외국 투자자는 3년 이상 동일한 업종의 기업을 운영하고 있어야 함.
- 지분비율 : 중국측 지분이 51%, 즉 중국 측이 다수 지분을 보유해야 함.
· 한국 측 지분율은 25% 이상이어야 함(25% 규정은 쌍방이 합자기업 설립 시, 일방의 지분율이 반드시 25%를 초과해야 함).
- 최소 자본금 : 30만 달러
- 관련 규정 : 사이트를 클릭해 참고(2003년 9월 반포)
http://rczj.wzs.mofcom.gov.cn/
나. 이 항목의 투자 장려항목 해당 여부 : 투자 장려목록에 포함돼 있지 않음.
추가문의1)
중외합자 인재중개기구에서 말하는 인재중개기구란 인력파견과 동일한 개념인지에 관한 문의임.
☞ 답변1)
인재중재기구와 인력파견은 동일한 개념이 아님. 인력파견회사란 노동자와 직접 노동계약을 체결한 후 노동자를 실제 고용업체에 파견해 근무하게 하는 회사임. 인재중개기구는 직업소개를 진행하는 회사로, 이는 居間(중개)소개이고 또한 소개비용을 수취하는 회사를 말함.
추가문의2)
인재중개기구는 인적자원서비스(외상투자산업지도목록 상의 장려목록에 열거된 내용 중 하나)에 포함되는 것 같은데, 이에 대한 자문을 요청
☞ 답변2)
외상투자산업지도목록에 열거된 인적자원서비스는 인력자원서비스에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개발을 가리키며 일반적인 인재 중개 혹은 노무파견이 아니라고 판단됨. 인재중개는 직업소개소이고, 일종의 居間(중개)소개의 개념임.
추가문의3)
이 회사에서 고려하고 있는 투자업종은 노무파견서비스로 위와 같은 관점 이외에도, 노무계약의 주체로서의 노무파견업체의 성격을 생각할 때, 인재중개와 노무파견은 명확히 다른 것이라는 생각으로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답변을 요청함.
☞ 답변3)
인재중개와 노무파견은 명확히 다른 것임. 현 법률규정으로부터 볼 때 외자노무파견회사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음. 2008년 1월 1일부터 실시된 중 노무파견회사에 대해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음. “노무파견업체는 회사법의 관련 규정에 의해 설립돼야 하고, 등록자본금은 50만 위앤 이하여서는 안된다.” 즉 현재 외자노무파견회사의 설립에 대해 중국 국내회사와 다른 특별한 요구를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됨.
추가문의4)
2003년 상무부의 발표와 2007년 12월 외상투자산업지도목록은 서로 신구 관계를 따질 수 없는 별개의 업종에 대한 규정인지, 아니면 신법에 따라 구법은 폐지되는 관계에 있는 것인지에 관련된 문의임.
☞ 답변4)
외상투자산업지도목록에 열거된 인적자원서비스는 인력자원서비스에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개발을 가리키기에 2003년 상무부 발표와 2007년의 외상투자산업지도목록은 서로 신구 관계를 따질 수 없는 별개의 업종에 대한 규정이라고 판단됨.
자료원 : 칭다오투자기업지원센터 송성철 고문변호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中, 외상투자 인력파견회사 설립관련 질의응답)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전문가 기고] 파키스탄 사업 환경에 대해(설립과 기본세법)
파키스탄 2017-07-05
-
2
美, 샌디에이고 바이오 클러스터 집중조명(상)
미국 2008-05-24
-
3
스페인 전력시장 동향
스페인 2010-07-13
-
4
2008년 스리랑카 정세 당분간 악화 전망
스리랑카 2008-02-14
-
5
日, 불황에도 돈이 되는 상품은 분명 따로 있다(1)
일본 2010-06-08
-
6
베트남, 캄보디아 연결 철도 세부 타당성조사 완료
베트남 2007-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