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우크라이나] '07년 수입급증 품목을 살펴본다
  • 경제·무역
  • 키이우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7-11-23
  • 출처 : KOTRA

[우크라이나] '07년 수입급증 품목을 살펴본다

- LCD TV, 백색가전, 유아 용품, 가구, 승용차 -

 

보고일자 : 2007.11.23.

김창식 키예프무역관

kotraiev@ gt.com.ua

 

  

□ 수입증가율 50% 이상 품목 중 주요 수입품 선정

 

 ○ 2007 1~9월 우크라이나의 수출입 실적을 보면 총 수입은 424억 달러로 전년비 31.5% 증가했고, 수출은 357억 달러로 전년비 27.6 %가 증가했음. 무역수지는 67억 달러로 전년비 56.6%가 증가한 동시에 2006년간 적자를 넘어서고 있음.

 

 ○ 무역적자의 확대가 확대 일로인데다 수입 시장에 만연된 불법통관을 고려할 시 우크라이나 정부의 심각한 우려를 초래하고 있음. 전문가들은 2007년도 불법통관 수입액은 320억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음. 이 불법 통관액을 포함시에는 2007년도 우크라이나의 총 수입액은 850억 달러가 넘어 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이러한 관계로 2007년 11월 18일 유셴코 대통령은 최대 무역항인 오데사 항의 세관장을 해임하고  주요 세관장과 요직의 공무원들을 순환배치하는 조치를 단행해 불법통관을 강력히 제재하기 시작했음.

 

 ○ 이러한 불확실한 수입환경이지만 올해 1~9월간의 수입실적을 토대로 수입 증가율이 50% 이상되고 수입액이 큰 품목을 5대 수입증가 품목으로 선정한 결과 LCD TV, 백색가전, 유아용품, 가구, 승용차를 선정해 수입증가 사유 등을 아래와 같이 조사 분석함.

 

 LCD TV

 

 ○ LCD TV는 전년비 300% 판매가 증가함. LCD TV의 수요가 급증한 이유는 LCD TV 소매가의 하락에 크게 기인함. 2005년 LCD TV의 평균 판매가는 1100달러였으나 2006년 906달러로 2007년에는 800달러로 하락함. 이와 더불어 우크라이나 사람들의 가처분 소득의 증가와 우크라이나에 고화질 TV 생산기업이 없는 점이 결합돼 수입이 크게 증가함.

 

 ○ 고화질 TV 중 PDP TV는 수요가 2006년과 유사한 수준임.

 

 ○ LCD TV, PDP TV 판매액 및 판매 수량

 

 LCD TV

연도

판매량 (1000대, %)

판매액 (100만 달러, %)

2005

34

n/a

40

n/a

2006

110

323

100

250

2007 (예상)

320

290

256

256

Source: Aventures Group Review.

 

PDP TV

연도

판매량 (1000대, %)

판매액 (100만 달러, %)

2005

11.7

70

30

10

2006

30

256

38.6

22

2007 (예상)

30

n/a

n/a

n/a

Source : Aventures Group Review.

 

 백색가전

 

 ○ 지난 7년 이상 지속된 건축 활황에 힘입어 가정용 백색가전의 수입이 급증함. 백색가전 중 주요 증가 품목은 냉장고·세탁기·에어컨·접시 세척기·쿠킹 레인지 등임. 백색 가전의 판매 및 수입이 급증한 다른 원인은 2006년부터 은행에서 가전제품 구입 대금을 융자해 주고 있는 점과 우크라이나 사람들의 신기능 제품 선호 경향에 기인하고 있음. 이러한 경향으로 저가제품보다는 중고가 제품이 더 많이 수요되고 있음.

 

 ○ 우크라이나에는 아직 가전제품 생산기업이 충분히 발달돼 있지 못해 상당 부분의 제품을 수입하고 있음. 냉장고 쿠킹레인지 등은 일부 생산하고 있으나 에어컨 세탁기 등은 생산이 거의 없음.

 

냉장고 및 접시세척기 판매동향

* - 2007, forecast of market players

Source: market operators.

 

세탁기 및 냉장고 수입실적

Source: Market operators; *-2007 estimation

 

Import of washin o machines in 2005~06.

Country

2005

2006

1000대

1000달러

1000대

1000달러

Italy

10.012

609.87

12.56

783.12

Spain

4.13

242.83

5.056

313.14

Germany

5.42

453.89

7.26

611.8

China

1.29

72.86

3.323

193.36

Turkey

0.11

8.09

0.905

53.66

Others

0.73

45.37

0.905

53.66

Total

21.7

1432.91

30.64

2067.74

Source : State Statistics Committee.

 

Import  of refrigirators in 2005~06.

  (단위 : 1000달러)

2005

2006

RUSSIA

41 675

RUSSIA

55 226

BYELARUS

38 232

BYELARUS

35 763

LITHUANIA

29 657

TURKEY

28 868

TURKEY

18 175

LITHUANIA

28 042

CHINA

12 878

CHINA

26 590

ITALY

12 760

ITALY

24 703

GERMANY

12 583

POLAND

14 678

SOUTH KOREA

11 899

GERMANY

14 172

POLAND

11 024

South Korea

12 039

ROMANIA

6 808

ROMANIA

10 802

HUNGARY

6 354

DENMARK

9 793

Others

37 279

Others

50 202

Total

239 325

Total

310 876

Source :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유아용품

 

 ○ 2005년 유셴코 대통령이 집권한 이후 우선적으로 수행한 시책 중 하나는 신생아 지원시책임. 종전 신생아 1인당 80달러를 지원했으나 새로운 시책에 의해 1인당 1500달러씩을 지원함. 유셴코 대통령은 두번째 출산 아이부터는 3000달러씩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하고 있음. 이러한 신생아 지원 정책으로 2007년도에 매월 11만~12만 명의 신생아가 태어나 종종 베이비 붐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함.

 

 ○ 정부의 정책에 편승 유아용품의 판매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아직 우크라이나의 유아용품 산업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해 수입이 급증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유아용품 전문 판매점도 속속 증가하고 있는데 이 중에는ANTOSHKA·MOTHER·CARE·CHICO·DETSKIY MIR·BABY BOOM 등이 있음.

 

 ○ 유아용 카트 수입실적

(단위 : 1000 달러)

2005

2006

CHINA

1 027

CHINA

1 836

ITALY

158

ITALY

198

GERMANY

84

GERMANY

79

PORTUGAL

22

POLAND

55

SPAIN

7

PORTUGAL

37

NETHERLANDS

6

ESTONIA

35

SWEDEN

5

LUXEMBOURG

13

SWITZERLAND

4

SPAIN

9

UNITED KINGDOM

4

NETHERLANDS

6

NORWAY

2

SWEDEN

5

Others

8

Others

17

Total

1 326

Total

2 291

Source :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가구

 

 ○ 지난 7년 이상 지속된 건축 활황에 힘입어 가정용 가구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지난 5년간 800%가 증가한 주택가격 덕분에 고급가구를 주로 선호하는데 반해 우크라이나 가구산업은 수요 기호를 충족시키기에 부진했음.

 

 ○ 2006년 연간 가구판매 규모는 14억 달러였으며, 이 중 50%는 수입산이었음. 2007년에는 수입산 판매만으로도 10억 달러가 상회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음.

 

 ○ 가정용 가구 수입실적

 

 (단위 : 1000달러)

2003

2004

2005

2006

ITALY

9 35

ITALY

8 669

ITALY

11 212

POLAND

16 404

POLAND

3 74

RUSSIA

4 778

POLAND

9 874

CHINA

15 766

GERMANY

3 39

POLAND

4 703

CHINA

9 258

ITALY

15 249

RUSSIA

2 68

GERMANY

3 957

TURKEY

8 279

RUSSIA

10 468

BYELARUS

1 57

TURKEY

2 982

RUSSIA

7 353

GERMANY

7 613

LITHUANIA

1 31

CYPRUS

2 836

GERMANY

4 707

TURKEY

5 177

USA

1 08

BYELARUS

2 473

BYELARUS

3 007

LITHUANIA

4 075

TURKEY

870

LITHUANIA

2 094

LITHUANIA

2 147

BYELARUS

2 340

CHINA

819

CHINA

1 998

ROMANIA

1 702

U.K.

2 189

SPAIN

757

FRANCE

1 083

SPAIN

975

CZECHIA

2 018

NETHERLANDS

542

SPAIN

989

FRANCE

890

FRANCE

1 900

FRANCE

502

OMAN

779

CZECHIA

880

SPAIN

1 644

AUSTRIA

485

ROMANIA

777

HUNGARY

787

ROMANIA

1 630

CZECHIA

392

NETHERLANDS

752

U. K.

666

HUNGARY

1 312

ROMANIA

339

U.K.

657

NETHERLANDS

628

AUSTRIA

1 092

U.K.

327

USA

616

SLOVAKIA

618

NETHERLANDS

1 012

SLOVAKIA

310

HUNGARY

489

USA

481

DENMARK

999

ESTONIA

295

CZECHIA

458

DENMARK

466

MALAYSIA

626

HUNGARY

293

SLOVAKIA

365

MALAYSIA

427

SLOVENIA

589

INDONESIA

247

IRELAND

327

AUSTRIA

381

INDONESIA

580

Others

1 86

Others

2 615

Others

2 670

Others

4 836

Total

31 196

Total

44 399

Total

67 410

Total

97 523

Source :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승용차

 

 ○ 우크라이나의 승용차 구입열은 가히 폭발적임. 특히 외국산 승용차 선호도는 매우 높음. 2006년 외국산 승용차의 수입증가는 전년비 62%이었으나 2007년도 1~9월간 실적은 전년도 실적을 이미 추월한 53억 달러로 전년 동기비 55.3%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 수입 승용차 별 시장점유율

Source : Marketin o Service of Nissan Motors Company

 

 ○ 2007년 1~9월 중 수입차 시장에서 31.1%를 점유해 1위를 하고 있는 한국차의 경우 한국 통계에 의하면 승용차는 수출액 5억6000만 달러를 기록, 전년비 180%가 증가됐고, 자동차 부품은 1억 달러를 기록 전년비 34%가 증가한 기록적인 실적을 보임.

 

 

자료원 : 자체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우크라이나] '07년 수입급증 품목을 살펴본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