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한미 FTA시대, 美 의류시장 진출전략(2편 : 유통브랜드)
  • 경제·무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7-09-27
  • 출처 : KOTRA

한미 FTA 시대, 美 의류시장 진출전략 (2편 : 유통브랜드)

- 주력 상품별로 유통브랜드 파악이 중요 -

 

보고일자 : 2007.9.25.

구민경 로스엔젤레스무역관

glominkk@kotrala.com

 

 

KOTRA LA 무역관에서는 한미 FTA의최대 수혜산업으로 평가 받고있는 한국 섬유산업의 미국시장 진출관련 시장이해에 초점을  전략을 시리즈로 제시하고자 한다. 1편 ‘현지시장 유통구조 이해’에 이어 2편으로 '유통브랜드'를 게재한다.                                                            편집자 

 

 브랜드 별로 달라지는 유통채널

 

 ○ 타깃소비자층과 제품 특성에 따라 유통브랜드 차별화

  - 미국 의류시장 내 여러 유통브랜드 중 옷 스타일과 소비자 특성에 따라 공략 브랜드가 달라짐.

  - 다양한 유통브랜드 중 한국업체들이 공략할만한 고급(High End) 의류 유통브랜드와 빠른 리드타임이 요구되는 캐주얼 트렌디 브랜드에 대해 정리함.

 

 ○ 고급 의류 및 액세서리 유통망 톱 8

  - 미국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고급 유통브랜드의 대부분은 의류 잡화에 주력하는 백화점들로 미 전역에 자체 매장 및 웹사이트 카탈로그 쇼핑몰을 운영함.

  - 이들은 대형 바이어 군에 속하며 품목별로 구매부를 두고 대형 에이전트를 통해 공급업체를 관리함. 거래내역이 충분해지면 직접 공급업체와 거래하기도 함.

  - 일부는 유통뿐 아니라 자사브랜드(Private Brand)을 보유해 공급하기도 함.

 

브랜드

웹사이트/규모(매장수)

특성

www.macys.com

다양한 연령대와 소비층을 대상으로 의류 잡화 외 침구·부용품도 공급함. Bridal Registry 서비스도 제공함.

115 매장, 1400(전세계)

            자료원 : 상동

 

 시사점

 

 ○ 유통채널도 브랜드 시대

  - 미국 의류시장에는 다양한 유통업체들이 있는데 유통시장에도 타깃소비자층에 따라 뜨고 지는 브랜드가 있음.

  - 유통브랜드의 유망성은 현재의 매출규모나 외국(특히 한국)에서의 인지도 외에도 현지시장 소비자에게 어필하고 있는 브랜드 이미지와 주력상품 스타일에 큰 영향을 받음.

  - 고급 이미지를 유지하고 있는 유통브랜드들은 고객서비스 만족도가 높고 명품 패션브랜드 유통에 주력하는 백화점들이고 트렌디한 이미지의 유통브랜드들은 스타일과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음.

 

 ○ 주력상품의 브랜드 성격파악이 유통채널 공략에도 도움

  - 미국 시장 진출과 거래유지를 위해서는 공략하고자 하는 소비자층을 이해하고 유통망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또한 이와 더불어 수출하고자 하는 주력상품의 상품라인(Product Line)과 스타일을 명확히 해 이와 알맞은 유통브랜드를 공략해야 하겠음.

  - 매치가 잘 맞는 유통브랜드를 접촉할 때 시장 진출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보임.

 

 

자료원 : California Fashion Association, Hoovers, 각 브랜드 웹사이트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한미 FTA시대, 美 의류시장 진출전략(2편 : 유통브랜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