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쿠웨이트, 우리의 주요 에너지 협력파트너로 부상
  • 경제·무역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김익환
  • 2007-09-26
  • 출처 : KOTRA

쿠웨이트, 우리의 주요 에너지 협력파트너로 부상

- 안정적 원유 확보위해 지속적으로 양국간 에너지협력 강화노력 필요 -

 

보고일자 : 2007.9.26.

김익환 쿠웨이트무역관

kimih@kotra.or.kr

 

 

□ 석유자원 현황

 

  쿠웨이트 원유 매장량은 1015억 배럴로 세계 매장량의 8.5%

  -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에 이어 세계4위

 

  쿠웨이트의 일생산량 260만 배럴로 세계 생산량의 3.3%(세계 11위)

  - OPEC 쿼터는 220만 배럴

 

 쿠웨이트 원유 품질은 고유황 중질유가 주종인 바, 수출원유는 미국석유협회지수(API) 31.4도, 유황함량 2.52%의 “Kuwait Export Crude(KEC)”라는 단일 품종으로 수출

 

□ 석유의존형 경제구조

 

 ○ 쿠웨이트 GDP의 50%, 수출의 90%, 정부재정수입의 80% 이상을 석유산업 수입에 의존

  - 쿠웨이트는 석유산업에만 의존하는 단순산업 구조로 국제원유가 변동에 정부재정과 GDP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제체질을 보유

 

□ 고유가를 바탕으로 걸프지역 중심국가 건설 추진중

 

 ○ 석유 생산을 2010년까지 일 300만 배럴, 2020년까지 일 400만 배럴로 증대시키는 계획 추진중

  - 아울러 원유를 수출하는 단순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정유시설, 석유화학산업 등 고부가가치 위주 산업구조로 전환을 위한 인프라 건설 추진중

  - 또한, 안정적인 수출선 확보를 위해 중국·인도 등 신흥공업국과의 석유산업분야 공동개발 등 모색

 

  최근 고유가로 인한 막대한 재정흑자를 바탕으로 걸프지역내 무역 및 물류 중심지로 성장하기 위한 산업다변화 정책으로 석유 이후 시대 대비중

  - 이라크 해상통로에 위치한 부비안섬을 걸프지역의 물류 및 교역 중심지로 성장시키기 위한 제반 기반 시설 건설중

 

□ 에너지 산업 현황

 

  쿠웨이트 에너지산업은 석유개발 및 생산 등 upstream에 투자가 집중돼 왔으며, 현재 일 260만배럴의 생산능력을 2010년까지 일 300만 배럴 2020년까지 일 400만 배럴로 확대한다는 목표 추진중

 

  반면, 석유화학산업 등 downstream 분야는 다른 걸프산유국에 비해 투자가 미미한 편이었으나, 최근 자국 수출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산업정책 추진에 따라 투자가 점증

 

  전력산업은 주로 중유와 가스를 활용하여 유지되고 있는바, 환경오염 방지, 원유의 수출능력 확대를 위해 발전연료로 가스수입 확대를 진행

 

  원유 생산

  - 현 석유생산량 :  일 약 260만배럴(유가 상승으로 생산 및 수출시설을 최대한 가동중)

  - 국영석유회사(KPC)는 2020년까지 생산을 400만 배럴로 증산시키기 위한  680억 달러 이상의 신규투자 계획 추진 중

  - 원유 생산 400만 배럴/일 및 정유생산 150만 배럴/일 생산 목표(현재 원유 250만 배럴/일, 정유 90만 배럴/일 생산중)

  - 90만 배럴의 원유 생산을 목표로 하는 북부유전개발 계획(쿠웨이트 프로젝트)이 국회의 반대로 수년간 지연돼 2020년 4억 배럴의 생산 계획에 차질이 예상됨.

 

 ○ 국영 석유회사(KOC)의 New Oil Pier(현대건설에서 건설중)및 Ahmadhi 석유수출시설(현대중공업에서 건설중)이 2010년 완공되면 원유 생산을 일 300만 배럴로 증산 가능

 

 ○ KOC는 북부 유전 개발 계획 이외 Khafji 유전(중립지대) 개발로 30만 배럴 추가 생산, 중국·인도 등으로 신흥시장 마케팅 강화, 운송 및 저장시설 확대, 정유 및 석유화학시설 건설 증대 등 석유 증산을 위한 인프라 건설을 지속적 추진중

 

 ○ 석유저장시설

  - Gathering Center(GC) 20개소 : 270만 b/d 처리능력

    이라크 전쟁 이전에는 26개(400만 b/d 처리능력)였으나, 상당수의 시설이 파괴 또는 손상됐으며, 추가 건설중

 

 ○ 석유수출항 (4곳으로 모두 쿠웨이트 남부지역에 집중)

  - Mina Al-Ahmadi(주력수출항)

  - Mina Abdullah

  - Shuaiba

  - Mina Saud

 

 해외유전개발

  - 호주, 인도네시아, 튀니지아의 소규모 유전 또는 자본 투자

    ․ 현재는 3만5000 배럴의 석유 생산

    ․ 2010년까지 10만 배럴까지 투자확대 추진

  - China National Offshore Oil Corp (CNOOC)와 남중국해 하이난섬의 해저유전개발에 참여

 

 정유시설 현황

  - 현재 쿠웨이트에 3개 정유공장(Mina Al Ahmadhi, Mina Abdulla, Shuaiba)에서 일 90만 배럴의 정유제품 생산중

    ․ Mina Al-Ahmadi : 46만 배럴

    ․ Mina Abdullah : 25만 배럴

    ․ Shuaiba : 19만 배럴

 

  - 기존 정유공장이 시설 낙후로 화재사고가 빈발하고 있으며, 향후 기존 정유공장의 대대적 개보수 공사 추진 예정

    ․지난 2006.11.4 Shuaiba 공장 화재 사고로 일 6만배럴 생산 감소

 

  - 제4차 정유공장을 Al Zour지역에 건설 추진중(단일 공장으로 세계최대 규모인 일 61만5000배럴 생산규모로 2010년 완공을 목표)   

  - 2006.12.17. 실시된 입찰에서 우리 업체가 4개 패키지 모두 최저가 입찰을 했으나, 발주처측의 예상가(60억달러)를 훨씬 초과해 발주처에서 재입찰중

 

 

업체

 입찰 금액

Package 1

 GS건설

 45억 달러

Package 2

 현대건설 & 대림산업

 29억 달러

Package 3

 SK건설

 40억 달러

Package 4

 현대중공업 & Petropec(UAE)

 39억 달러

 

  - 4차 정유공장이 생산할 예정인 60만 배럴중 22만5000배럴은 국내 발전소 연료로 사용하고, 34만 배럴은 수출할 예정

 

  해외 정유공장 투자 현황

  - 네덜란드와 이탈리아에 정유시설 소유

   ․ 네덜란드 일 8만5000 배럴 규모의 정유공장

   ․ 이탈리아 일 24만 배럴규모 Milazzo 정유공장 지분 50% 보유

  - 중국 광동성, 미국 루이지애나주 등에 신규 정유공장 합작 설립을 추진중

  - 해외 주유소 운영권 인수

   ․ 벨지움의 157개 주유소 운영권 인수(BP 지분 인수)

   ․ 서유럽지역에 5000개의 주유소 보유

   ․ 태국에 약 200개 주유소 보유

 

□ 에너지자원 전략

 

  OPEC을 중심으로 생산 및 가격조절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 쿠웨이트 국익에 부합한다는 인식하에 OPEC 협력을 중시

  - 사우디아라비아와 더불어 최근 유가하락에 대응하기 위한 OPEC의 감산정책을 적극 지지하고 참여

  - 다만, 전통적인 우호국가인 미국 등 주요 원유수요국들의 우려도 적절히 OPEC에 전달해 산유국과 소비국간 중개자로서 역할도 수행

 

 세계 원유수요가 2020년까지 일 1억1500만 배럴에 달하리라는 추계하에 자국생산능력을 400만 배럴로 증산 추진중이나 국회의 반대로 차질

  - 아울러 원유의 단순 수출보다는 부가가치가 높은 석유화학제품의 수출확대 노력

 

  석유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인도 등 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판매확대 추진을 통한 안정적인 공급시장 확보에도 관심

  - KPC는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관계 수립을 목표로 중국 국영석유회사와 합작으로 중국내 정유·석유화학시설·석유공급서비스망 구축에 참여 계획

   . IEA는 향후 30년간 에너지 수요 증대의 2/3가 개도국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

 

 전략적 에너지협력 관계 형성

  - 신흥공업국인 중국·인도·브라질을 포함해 향후 원유소비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국가별 또는 기업간 협력채널 형성에 주력

   ․ 중국과는 2004. 7 원유·가스협력협정 체결

   ․ 인도·파키스탄과는 해당국에 대한 석유산업 투자 및 기업간 협력 추진

 

□ 우리와의 에너지협력 현황

 

 석유수입 현황

  - 대부분의 쿠웨이트 수입 원유는 SK(주)와 국영석유회사(KPC)와 장기 석유공급 계약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입중

  - 석유 수입 전체의 10%(일일 22만 배럴)에 해당

 

     우리나라의 쿠웨이트 석유 수입현황

연도

2004

2005

2006

석유수입

38억 2000만 달러

49억6000만 달러

64억7000만 달러

 

  양국 에너지 협력 관계

  - 2005.11.25 국무총리 방문시 우리 산자부와 주재국 에너지부간 양해각서(MOU) 및 한국석유공사(KNOC)와 주재국 국영석유회사(KPC)간 양해각서(MOU) 체결

  - 산자부와 에너지부간 이 MOU에 의거 1차 석유가스 협력위원회가 올 1월중 개최(양국 정부간 에너지 협력 문제를 협의할 수 있는 공식 채널 마련)

  - 국제공동비축 사업 추진

   ․ 한국석유공사(KNOC)와 주재국 국영석유회사(KPC)간 MOU에 의거 2006.10.31 200만배럴 규모의 국제공동비축 시범 사업(3개월간)을 시행

   ․ 우리는 이 비축사업을 통해 시설임대료 수입과 비상시 우선 원유 구매권을 획득해 에너지 위기시 비상대응능력을 제고하고, 우리  잉여 비축 시술을 활용해 임대수익 획득도 가능

   . 특히, 1999년 이후 공동비축을 추진해 온 한국석유공사로서는 비OPEC산유국인 노르웨이(1999년), 비중동 OPEC회원국인 알제리(05년)에 이어 OPEC회원국인 쿠웨이트와 전략적 제휴에 성공하여 우리 에너지 안보를 한층 제고할 수 있는 계기 마련

  - 쿠웨이트는 자국 석유개발이래 최초로 공동비축에 참여하는 것으로 계속 확장되는 이 비축시설을 이용해 향후 지속적인 석유 소비 증가가 예상되는 동아시아 진출의 거점을 확보

 

  향후 추진 방향

  - 안정적인 원유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양국간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 필요

  - 에너지협력위원회의 정기적 개최를 통한 양국간 공식 협력 채널 상시 유지

  - 석유공동 비축 시범사업의 장기 본격 사업으로 전환 추진

  - 양국 에너지관련 고위급 인사들의 주기적 상호 교환 방문 추진

  - 주재국과 제3국 석유산업 공동투자 진출 가능성 모색

  - 석유 관련 인프라 건설에 우리 업체들의 지속적 참여 추진

 

 

정보원 : 쿠웨이트에너지부(Ministry of Energy)담당자, 국영석유공사(KOC) 아시아담당자 의견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우리의 주요 에너지 협력파트너로 부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