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품목 명 | 기타 전기식 조명기구 | 최종 업데이트 | 2025-09-05 |
|---|---|---|---|
| MTI CODE | HS CODE | 940599 | |
| 국가 | 캐나다 | 무역관 | 토론토무역관 |
| 제도 명 | CSA 인증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Certification) | ||
| 인증 구분 | 임의 | 인증 유형 | 현행 |
| 인증마크 |
|
||
| 도입시기 | 1919년 | ||
| 근거 규정 | Canadian Electrical Code (CEC), Part I | ||
| 제도 내용 | Canadian Electrical Code (CEC)는 캐나다 전기 제품의 안전성, 설치, 유지 관리 규정을 포함. 캐나다 전역에서 전기제품 안전 관련하여 CSA 인증 혹은 동등 인증(UL, ETL 등 NRTL 마크)을 요구. 법적 의무는 아니나, 대부분의 주·준주 규제 기관 및 전력 당국(AHJs, Authorities Having Jurisdiction)에서 CSA 등 인증이 없는 전기제품 설치·사용을 불허하므로, 사실상 필수 인증임. 미인증 제품은 전시·판매·유통이 금지되며, 수입품의 경우 CBSA(캐나다 국경관리청)가 반송·폐기 조치 가능. | ||
| 품목정의 | 1) 용도: 가정용, 산업용 2) 기능: 인공적 장치를 통하여 충분한 밝기를 유지시켜 주는 장치로서, 샹들리에와 기타의 천장,벽부착용의 전기식 조명기구와 같이 실내용부터 기계에 사용되는 특수램프 등이 있음 | ||
| 적용대상품목 | 대상: 전기식 조명기구, 램프(LED 포함), 가정용·산업용 조명기기 전반 예시: 천장형 조명, 벽부착 조명, 샹들리에, 기계장착 특수 램프 등 | ||
| 확대적용품목 | |||
| 인증절차 | - 시험 및 인증 신청 신청서 및 제품정보 제출 → 견적서 발행 시료 송부 및 인증비 납부 CSA 시험소 또는 협력기관(KTL)에서 안전시험 및 초기공장심사 수행 적합 시 인증서 발급 및 CSA 마크 사용 동의서 송부 신청자 서명 후 CSA 회신 → 인증 완료 연회비 납부 및 정기공장심사(연 2~4회)로 인증 유지 - 인증 방식 모델 인증 (Type Certification): 가장 일반적, 샘플 시험 후 인증서 발급 입회시험 (Witness Testing): 신청자 시험설비 사용, CSA 입회 검사원 참관 분담인증 (Supervised Testing): 신청자 시험→CSA 검증 | ||
| 시험기관 |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 CSA 제휴기관 웹사이트: www.ktl.re.kr 역할: 시험·초기 및 사후 공장심사 대행 | ||
| 인증기관 | CSA Group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웹사이트: www.csagroup.org 이메일: client.services@csagroup.org 전화: +1-416-747-2661 | ||
| 유의사항 | |||
| 구분 | 인증기관 #1 |
|---|---|
| 기관 명 | CSA Group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
| 홈페이지 | www.csagroup.org |
| 담당부서 | Product Certification |
| 전화번호 | +1-416-747-2661 |
| 팩스번호 | +1-416-747-2510 |
| 이메일 | client.services@csagroup.org |
| 기타 |
| 구분 | 시험기관 #1 |
|---|---|
| 기관 명 |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 CSA 제휴기관 |
| 홈페이지 | www.ktl.re.kr |
| 담당부서 | 국내외 인증획득 지원 |
| 전화번호 | 080-808-0114 |
| 팩스번호 | |
| 이메일 | |
| 기타 | 역할: 시험·초기 및 사후 공장심사 대행 |
| 인증절차도 |
|---|
|
|
| 구분 | 시험 |
|---|---|
| 시험규격 혹은 시험항목 | 제품 안전성 관련 CSA 규격(전기·전자 안전, 발열·절연·내구 등) |
| 시험 비용 | 제품 특성·위험도에 따라 상이 (사전 견적 필수) |
| 소요 기간 | 제품 난이도·추가 서류 요청 여부에 따라 상이 (보통 수 주 소요) |
| 구분 | 인증 |
|---|---|
| 초기공장심사 비용 | 공장 규모·제품군에 따라 상이 (별도 견적) |
| 인증 비용 | 제품별 상이, 초기 및 연회비 존재 |
| 소요 기간 | 보통 수 주~수 개월 (제품 복잡성, 서류 보완 여부에 따라 달라짐) |
| 인증 유효기간 | 별도 없음 (정기 심사 및 연회비 납부로 유지) |
| 사후관리 비용 | 제품 종류·특성에 따라 상이 (사전 상담 필요) |
| 자료원 | CSA Group,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
| 필요 서류 | 제품 브로셔 및 데이터시트 제품 사진 신청자 정보(제조자/수입자) 모델별 부품리스트(인증 여부 포함) 회로도/배선도 해외인증 시험데이터 (있을 경우) 공장 정보 및 제조설비 내역 |
|---|---|
| 유의 사항 | ㅇ 2025년 주요 업데이트 LED 및 스마트조명 강화: IoT 기능 포함 조명제품은 CSA + 무선(Radio Equipment) 인증 요구될 수 있음. 환경 규제 연계: CEPA 개정으로 조명제품의 유해물질(납, 수은, PFAS) 관리 강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2024년부터 CSA 인증 제품 정보가 CSA Product Listing Portal을 통해 공개됨. 정기심사 간소화: 저위험 제품군은 연 4회에서 연 2회 사후심사로 완화 가능(2023년 규정 개정). |
| 기타 | ㅇ 사후관리 정기공장심사: 연 2~4회, 한국은 KTL이 대행 변경관리: 부품 변경, 모델 추가 시 CSA에 통지 및 필요 시 재시험 마크 관리: cCSAus(캐나다+미국 동시인증) 가능, UL과 상호협정으로 NRTL/C 마크도 사용 가능 |
| 첨부 파일 |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기타 전기식 조명기구)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에이치(H) 형강
캐나다 2025-09-10
-
2
네일용품
캐나다 2025-09-10
-
3
참치(냉동)
인도네시아 2025-09-05
-
4
캐나다 금속 단조 시장동향
캐나다 2025-09-10
-
5
해외 인턴십 경험담, "체코 인턴십 도전!"
체코 2013-10-19
-
6
변압기 부품
벨기에 2025-09-03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