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올해로 40회를 맞이한 '2025년 홍콩 선물 및 기념품 전시회' 참관기
  • 현장·인터뷰
  • 홍콩
  • 홍콩무역관 Bonnie Lo
  • 2025-05-23
  • 출처 : KOTRA

4월 27일부터 30일까지 홍콩 완차이 국제 전시장에서 성황리에 개최

세계 각국의 친환경, 첨단기술, 창의적인 디자인, 지역별 전통문화 등을 담은 다양한 제품 선보여

독창적인 캐릭터, 희귀한 수제품 기술, 우수한 품질과 디자인, OEM 협력 가능성, 최근 바이어의 수입선 다변화 움직임 등으로 우리 제품에 대한 높은 관심 확인

전시회 개요

 

'2025 홍콩 선물 및 기념품 전시회(2025 Hong Kong Gifts & Premium Fair, 이하 2025 HKGPF)'가 지난 4월 27일부터 30일까지 총 4일간 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HKCEC)에서 개최됐다. 

 

HKGPF는 홍콩무역발전국(HKTDC)이 주최하는 세계적인 선물용품 전문 전시회 중의 하나로, 세계 각국의 프리미엄 선물용품, 라이프스타일 선물용품, 혁신적인 디자인을 가진 선물용품 등을 바이어에게 선보이는 행사라 할 수 있다. 1986년 처음으로 개최된 이후, HKGPF는 다양한 고품질의 제품을 선보이며 시장 트렌드에 맞춘 테마별 전시 공간을 기획해 바이어들의 변화하는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 왔다. HKGPF는 4월 말에 개최되는 HKTDC의 7개 주요 전시회 시리즈의 하나로 일종의 Show in Show 개념으로 진행됐다. 해당 전시회 시리즈의 경우 선물용품 외에도 가정용품(houseware), 패션, 라이선스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참여함으로써 소비재 등 여러 산업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도모했다.

 

2025년은 HKGPF가 40회째 맞이하는 뜻깊은 한 해로서, 이를 기념해 올해의 선물용품 전시회의 테마는 ‘Celebrating Four Decades of Wonder’로 선정됐다. 이러한 테마 아래 올해 선물용품 전시회에서는 그간의 역사와 시대 변화에 맞춰 변모해 온 흐름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다양한 빈티지 제품을 통해 각국의 역사와 문화를 조명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첨단 기술이 결합된 창의적이고 현대적인 선물용품들도 함께 선보였다. 

 

<2025 홍콩 선물 및 기념품 전시회 개요>

 전시회명

2025 홍콩 선물 및 기념품 전시회

(2025 Hong Kong Gifts & Premium Fair)

개최 기간

2025년 4월 27일(일)~30일(수)

장소

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개최 주기

연 1회 (4월)

주최

홍콩 무역 발전국

(Hong Kong Trade Development Council, HKTDC)

개최 연혁

1986년 최초 개최, 올해 40회째

규모

3,570개 전시업체/ 5만 ,

131개 지역과 국가의 3만6000명 바이어(주최 측 추산)

전시 품목

판촉용품, 선물용품, 세라믹 제품, 패션 소품, 포장지, 파티용품, 액자, 문구류, 장난감, 시계, 가죽 제품, 여행용품 및 우산, 크리스마스 조명, 하이킹 & 캠핑용품, 화장품, 미용 및 웰빙 제품 등

홈페이지

https://www.hktdc.com/event/hkgiftspremiumfair/en

[자료: 2025 Hong Kong Gifts & Premium Fair 공식 홈페이지, KOTRA 홍콩 무역관 정리]

 

전시회 현장 스케치


2025 HKGPF에는 25개 국가 및 지역으로부터 3570개의 기업이 참가업체로 참여했다. 이는 지난해의 1995개 참가 기업 수 대비 크게 증가한 수치다. 또한 중국 본토, 대만, 한국, 인도를 포함한 12개의 국가관이 마련됐으며, 전시면적은 총 5만 ㎡에 달했다. 전시회 주최기관인 HKTDC에 따르면, 이번 전시회에는 131개 국가 및 지역에서 약 3만 6000명의 바이어가 방문한 것으로 추산됐다.

 

<전시장 입구 사진>

[자료: KOTRA 홍콩 무역관 자체 촬영]

 

전시회는 총 4개의 전시장으로 구성됐으며, 전시장 별로 차별화된 제품을 선보였다. Hall 1에는 HKGPF의 대표적인 두 개의 전시 구역이 마련됐다. ‘Deluxe Gift Ideas’ Zone에서는 뛰어난 장인 정신이 돋보이는 프리미엄 선물이 전시됐으며, 대표적인 품목군으로는 가죽 카드 홀더, 주얼리, 유리 제품 등이 포함됐다. ‘Hall of Fine Designs’ Zone에서는 홍콩의 Red A와 Camel Vacuum Flask, 일본의 YASHICA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의 뛰어난 작품을 소개하며, 글로벌한 디자인의 우수성을 강조하는 코너가 마련됐다. 또한, 홍콩 디자이너들의 창의적인 작품을 선보이는 미니 전시 시리즈 중 하나인 ‘DesignInspire In Motion Branding and Design’ Zone도 함께 마련됐다. 이 구역에서는 그래픽 디자인 프로젝트, 디지털 아트, 창의적인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 등을 통해 홍콩 디자인의 우수성을 홍보했다.

 

Hall 3에는 친환경 소재로 제작된 에코 가방, 대나무 데스크 트레이, 생분해성 스크럽 스펀지 등 친환경 선물용품을 전시하는 ‘Green Living’ Zone이 마련됐다. 또한, 온도 조절 스마트 머그컵, 스마트 목 마사지기, 휴대용 열전사 프린터 등 혁신적인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소개하는 ‘Tech Gifts’ Zone도 포함됐다. 이 홀에는 다양한 국가관이 마련됐으며, 특히 한국관도 위치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번 한국관에는 KOTRA 홍보부스를 포함 총 6개의 부스가 운영됐으며, 5개의 참가 업체가 창의적인 고품질 제품을 선보여 글로벌 바이어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2019년 이후 약 6년 만에 한국관이 운영되고 KOTRA 단독(과거에는 무역협회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운영)으로 운영돼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지는 못했지만, 역사와 전통이 있는 전시회인 만큼 앞으로 더 많은 기업이 참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Grand Hall에서는 장식용 선물, 명절 상품, 장난감 및 유아용 제품, 여행용품 및 가방 등 세 가지 주요 유형의 제품을 선보이는 소형 부스가 마련됐다. 또한, 난징(南京), 산시(陝西), 양저우(揚州) 등 중국 본토의 여러 도시별 전시관도 포함돼 중국 내 다양한 지역의 최신 선물용 아이템들이 소개됐다.

 

Hall 5에서는 광고 및 기업용 선물, 문구류를 전시하는 부스들이 운영됐다. 특히 Hong Kong Smart Design Awards 2025의 수상작을 최초로 공개하며, 홍콩 브랜드의 창의성을 강조했다. 많은 수상작은 홍콩의 독특한 문화적 요소를 반영하고 있었으며, 특히 에그 타르트 침대, 접이식 마작 테이블 세트 등 홍콩 특유의 디자인 제품을 글로벌 업계 관계자들에게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다.

 

<전시홀 배치도>

[자료: Hong Kong Gifts & Premium Fair 공식 홈페이지]

 

The Standard의 2025년 4월 23일자 보도에 따르면, 홍콩 정부는 2024년 4월부터 플라스틱 빨대, 식기와 스티로폼 식품 용기의 사용을 금지했으며, 향후 테이크아웃 서비스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컵과 용기의 사용을 금지하는 방향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홍콩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지속 가능한 소재와 친환경 제품이 주목받고 있는 추세가 반영되면서, 이번 전시회에서는 많은 참가업체들이 재활용할 수 있거나 친환경 소재로 제작된 선물을 선보였다. 이는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와 맞물린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일회용품 소비 감소에 기여하는 차원에서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의 스테인리스 스틸 텀블러가 전시회 곳곳에서 눈에 띄었으며, 일부 제품은 스마트 온도 조절 기능 등의 부가적인 기술도 가미돼 있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일부 참가업체는 제품 시연을 통해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기도 했다. 중국 후난성(湖南省) 장가계시(張家界市)의 한 문화 경영 기업은 중국 소수민족인 토가족(土家族)의 직물을 전시했으며, 현장에서 토가족 직물 제작 과정을 직접 시연했다. 토가족 직물은 중국의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제품이다. 참가자 및 방문객들은 이를 직접 제작하는 과정을 지켜보며 토가족의 독특한 문화를 체험해 볼 수 있었다. 또 다른 중국의 주방용품 판매업체는 관람객들이 제품을 직접 사용해볼 수 있도록 양방향의 인터랙티브 제품 시연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러한 현장 체험을 통해 관람객들은 제품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 실질적 제품 거래와 연결되기 좋은 환경을 제공받았다.

 

<전시회 현장 사진>

2025 HKGPF 현장 사진 (1)

2025 HKGPF 현장 사진 (2)

토가족 직물 제작 시연

주방용품 제품 시연

[자료: KOTRA 홍콩 무역관 자체 촬영]

 

2025 HKGPF는 전시뿐만 아니라 다양한 세미나를 개최해 업계 전문가들이 최신 소비자 및 시장 트렌드에 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장을 마련했다. 세미나에서는 전자상거래의 혁신적인 영향, 전략적 브랜드 협업, 지속 가능성과 건강·웰니스 관련 소비자 트렌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제품 맞춤화, 실버 경제에서의 제품 혁신의 미래 등 다양한 주제들이 다뤄졌다. 세미나 참가자들은 최신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업계 리더들과 직접 교류하며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수 있었다.

 

또한, 2025 HKGPF는 공급업체와 바이어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비즈니스 매칭 미팅 기회를 주선, 참가업체와 바이어가 직접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사전에 계획된 미팅에 참가한 해외 바이어들은 홍콩 브랜드로 제작된 특별한 선물도 받을 수 있어, 홍콩 정부의 자체 브랜드 홍보를 위한 열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HKTDC에서 준비한 세미나 및 바이어 증정용 선물 모습>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제품 매칭 관련 전문 세미나 모습

비즈니스 미팅에 참석한 바이어에게

증정한 선물 전시 모습

[자료: KOTRA 홍콩 무역관 자체 촬영]


한국관 이모저모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관은 총 6개의 부스로 구성됐으며, 5개의 기업 부스와 1개의 KOTRA 홍보 부스가 포함됐다. 참가 기업들은 조명 장식, 캐릭터 굿즈, 주방용품, 라이프스타일 제품 등 다양한 디자인의 고품질 상품을 전시했다.

 

KOTRA 홍콩 무역관이 참가 기업과 진행한 인터뷰에 따르면, 한국관에 참가한 국내 기업 M 사(캐릭터 굿즈) 담당자는 일본의 B2C 전시회에는 참여한 경험이 있지만, 홍콩의 B2B 전시회는 처음이었다고 밝혔다. “우리 캐릭터가 일본 외 시장에서도 성공할 수 있을지 바이어들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바이어들이 우리 캐릭터의 사진을 찍고, 상품에 대해 자세히 물어보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라고 평가하며, “아시아 지역 소비자와 바이어들이 자사 제품과 잘 맞는다고 판단해 향후 대만 등 아시아 지역으로의 수출 마케팅을 확대할 계획이다”라는 포부를 밝혔다. 아울러 이번 전시회를 통해 자사 제품과 캐릭터의 세계관에 대해 관심을 보인 바이어들과의 콜라보레이션(협업)도 적극 모색할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또 다른 참가 기업 P 사(조명 장식)는 이번 전시회에 처음 참가했다고 밝히며, “우리의 선물용품 제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얼마나 인기 있는지 파악하는 좋은 계기가 됐다”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자사의 독특하고 희귀한 제품에 대해 많인 바이어가 관심을 표명했으며, 이번 전시회를 통해 발굴한 바이어를 통해 홍콩 내 일부 선물용품 판매 오프라인 매장에 입점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이번 전시회를 통해 다양한 국가의 바이어들과 만나면서 유럽 및 미국 바이어들이 특히 '수제 제품'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면서 높은 지불 의향을 보였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라고 설명하며, “앞으로 서양 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참가기업 S 사(양말, 슬리퍼 등 잡화 무역)의 대표인 A 씨는 “자사가 다루는 제품의 우수한 디자인과 품질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며, 특히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중국산 제품을 다루던 바이어들도 한국에서 생산된 제품에 관심을 가지는 등 글로벌 바이어의 수입선 다변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었다”라고 언급했다.

 

<2025 HKGPF 한국관 운영 모습>

한국관 전체 현장 사진 (1)

한국관 전체 현장 사진 (2)

M 사 제품 사진

P 사 제품 사진

[자료: KOTRA 홍콩 무역관 자체 촬영]

 

시사점

 

2025 HKGPF는 올해로 40회를 맞이하면서, 세계적인 선물용품 전문 전시회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이번 전시회는 세계 각국의 전통 제품 외에도 현대적이고 혁신적인 선물용품을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세미나 및 비즈니스 매칭 세션을 통해 업계 관계자들이 교류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 기능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을 갖춘 선물 제품들을 대거 선보였다. 친환경과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홍콩은 물론 세계적으로 높아지는 추세 속에서, 특히 친환경 제품들이 큰 인기를 끌었으며, 그중에서도 텀블러가 대표적인 인기 품목이었다. 또한, 첨단 기술이 적용된 혁신적인 기술을 내재한 선물용품들도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일부 해외 참가업체는 해당 지역의 전통문화를 반영하고 정교한 장인 정신이 돋보이는 제품을 선보이면서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우리 기업들도 2025 HKGPF에 참가해 다양한 지역과 국가의 바이어들에게 우수한 제품을 홍보하며 새로운 시장 진출 가능성을 모색했다. 향후 선물용품 관련 우리 기업들은 2025 HKGPF를 적극 활용해 해외 수출 확대 및 다양한 협력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속 가능한 친환경 소재와 첨단 기술을 접목한 제품 개발에 집중한다면, 글로벌 소비자들의 트렌드에 부합하면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부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으로 선물용품 바이어들도 다양한 국가의 제품을 발굴하려는 수요가 두드러지고 있어, 우수한 품질과 디자인을 보유한 우리 선물용품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해외 진출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해 볼 대목이다.



자료: 2025 Hong Kong Gifts & Premium Fair 공식 홈페이지, DesignInspire in Motion 공식 홈페이지, The Standard, 글로벌 전시 플랫폼, 한국관 참가기업 인터뷰, KOTRA 홍콩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올해로 40회를 맞이한 '2025년 홍콩 선물 및 기념품 전시회'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