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치민 FOODEX 2025로 보는 베트남 식품 트렌드
- 트렌드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문서윤
- 2025-05-07
- 출처 : KOTRA
-
베트남 식품시장, 고도화·프리미엄 수요 확대 속 한국 식품 진출 기회 확대
기능성·간편식 수요 증가 및 현지화·기술 협력 전략이 핵심 진입 포인트
베트남 식품 산업 동향
베트남 식품 산업은 최근 몇 년간 유통 구조의 고도화와 식문화의 다변화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대식 슈퍼마켓과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확산, 외식 소비 증가,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가공식품과 프리미엄 식품에 대한 수요가 전방위로 확대되는 추세다. 2024년 기준, 베트남 식음료 산업의 연간 소비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약 15%에 달하며, 단순 소비재 산업을 넘어 산업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내수 기반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베트남 식품 시장의 전체 매출은 2023년 약 820억 달러에서 2028년 약 1186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 성장률은 약 7.65%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25년에는 약 967억 달러, 2026년에는 1042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매출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식품산업이 일정한 속도로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은, 기업 입장에서 중장기적인 시장 전략을 수립하기에 유리한 여건으로 평가된다.
<2023~2028년 베트남 식품산업 매출액 동향 및 전망>
(단위: US$ 억)
[자료: Statista]
호치민 FOODEX 2025로 보는 식품 트렌드
베트남 식품 산업의 성장세에 발맞춰, 2025년 4월 16일부터 19일까지 제4회 호치민시 국제 식품 및 식료품 전시회(HCMC FOODEX 2025)가 사이공 전시 컨벤션 센터(SECC)에서 개최됐다.
이번 전시회는 ‘자연–녹색–지속 가능한 제품’을 주제로 총 500여 개 부스가 운영됐으며, 국내외 식품 및 식료품 산업을 대표하는 400여 개 기업과 기관, 주요 브랜드들이 참가해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선보였다.
<HCMC FOODEX 2025 개요>
행사명
HCMC FOODEX 2025
개최 기간
2025년 4월 16~19일 (수~토)
개최 장소
사이공 전시 컨벤션 센터(SECC)
799 Nguyen Van Linh, Tan Phu Ward, Dist. 7, Hochiminh City, Vietnam
주최
Investment and Trade Promotion Centre of Ho Chi Minh City (ITPC)
웹사이트
https://hcmcfoodex.com/en/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이번 행사는 단순한 신제품 전시를 넘어, 호치민시의 4대 전략 산업 중 하나인 식품가공 산업의 가치사슬 강화와 산업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한 전략적 산업 플랫폼으로 기획됐다.
참관객들은 이번 전시를 통해 현지 식품 트렌드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식품의 현지화·스마트 기술 융합 등 식품 산업 전반의 변화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HCMC FOODEX 2025 전시회장 전경>[자료: KOTRA 호치민 무역관 촬영]
전시회 기간, 식품 및 농업 생산 분야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주제로 한 세미나와 강연이 개최되었으며, 다양한 부대 행사도 함께 진행됐다.
또한 현대 유통 시스템과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연계하여 판매 활동을 실시간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연결하는 프로그램이 운영됐고, 참가 기업 간 실질적인 협력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B2B 상담장도 별도로 마련돼 국내외 바이어와 현지 기업 간 비즈니스 상담이 활발히 이뤄졌다.
<HCMC FOODEX 2025 행사장 전경>
[자료: KOTRA 호치민 무역관 촬영]
이 외에도 ‘베트남 요리의 정수’를 주제로 한 마스터 셰프 경연대회, 요리 전시회, 시식 및 요리 체험 활동 등이 함께 진행됐다. 이를 통해 참관객들에게 흥미와 즐거움을 제공함은 물론, 전시회의 현장 체험 요소를 한층 풍성하게 만들었다.
< HCMC FOODEX 2025 요리경연대회 전경>[자료: KOTRA 호치민 무역관 촬영]
전시회 내 주목할 만한 식품
이번 전시회에서는 중국 전통 식품인 월병에 베트남산 농산물을 접목한 퓨전 제품이 다수 선보이며 큰 주목을 받았다. 일부 부스에서는 타로, 판단, 코코넛, 두리안 등 베트남 특산 재료를 활용한 이색 월병이 전시됐으며, 전통 식재료와 지역 특산물의 조화가 많은 관람객의 관심을 끌었다.
한 참가업체 관계자는 “베트남 향신료와 열대작물을 월병 같은 친숙한 형태에 담으면, 동남아는 물론 해외 소비자에게도 새로운 매력으로 다가갈 수 있다”면서, “현지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수출 가능성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이러한 시도는 단순한 식문화 융합을 넘어, 현지 농산물의 활용도를 높이고 제품 다양화를 동시에 추진하려는 전략적 접근으로 해석된다.
<베트남산 재료와 결합한 퓨전 월병 제품>
[자료: KOTRA 호치민 무역관 촬영]
또한, 건망고에 초콜릿을 입힌 간식이나 말린 바나나처럼 베트남 고유 농산물을 활용한 가공 간식 제품들도 다수 소개됐다. 또한, 쌀과자에 다양한 토핑을 결합한 퓨전 간식 제품군도 함께 선보이며 관람객들의 흥미를 끌었다.
이러한 제품들은 현지 농산물을 보다 창의적인 방식으로 가공해, 기존과는 다른 소비 경험을 제공하려는 최근의 제품 개발 트렌드를 잘 보여준다. 단순한 원물 소비에서 벗어나, 베트남산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베트남 특산물을 활용한 가공 식품>
[자료: KOTRA 호치민 무역관 촬영]
이번 FOODEX 2025 전시회에서는 한국 기업의 참여는 다소 제한적이었으나, K-푸드에 대한 현지 소비자들의 관심은 여전히 높았다. 일부 부스에서는 즉석 떡볶이, 타로를 활용한 떡 제품, 뻥튀기 스타일의 스낵 등이 소개됐으며, 매콤하면서도 달콤한 맛 조합이 관람객들의 흥미를 끌었다. 해당 제품들은 많은 참관객들로부터 시식과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이는 한류 콘텐츠와 연계된 한국 식문화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 HCMC FOODEX 2025 속 한국 식품>[자료: KOTRA 호치민 무역관 촬영]
베트남 식품 소비 트렌드
1) 건강·친환경 중심 식품수요 확대
현지 언론 Pha Pluat에 따르면, 최근 베트남 식품 시장에서는 건강, 친환경, 기능성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원산지와 식품 안전성이 명확하고, 방부제나 인공 색소를 사용하지 않은 천연 성분 기반 제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키 성장, 체중 관리, 심혈관 건강 등 질병 예방 기능이 강조된 제품군의 선호도 높아지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생산 과정을 거친 식품에 대한 관심 또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호치민시 식품 및 식료품 협회(FFA)도 이 같은 흐름을 언급하며, 식물성 원료와 건강 지향 제품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당, 풍부한 식이섬유, 이온 첨가 등 기능성을 강화한 제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프리미엄 식품에 대한 소비자 지출도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다. 이러한 트렌드는 FOODEX 2025 전시회에서도 확인되었으며, 천연 성분 기반의 건강식품과 지속 가능한 식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들이 관람객들의 주목을 받았다.
<전시회 속 건강, 친환경을 강조하는 베트남 식품>
[자료: KOTRA 호치민 무역관 촬영]
또한 현지 언론 VnEconomy에 따르면, 유기농 야채는 일반 제품보다 25~35% 더 비싸지만, 꾸준히 매진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보이고 있다. 최근 유기농 제품에 대한 수요는 식료품을 넘어 음료로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베트남 최대 유제품 기업인 비나밀크의 유기농 우유 브랜드 오가닉(Organic)과 그린팜(Green Farm)의 2023년 매출은 전년 대비 약 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트남 소비자들 사이에서 건강과 친환경을 중시한 프리미엄 식품에 대한 지불 의사와 실질적 수요가 함께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베트남 비나밀크 유기농 라인 제품>
[자료: 기업 홈페이지]
2) 위생·편리성 중시로 간편식 수요 확대
베트남 광고 플랫폼 Coc Coc의 2024년 소비자 식품 구매 경향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소비자의 약 37%가 간편 식품을 정기적으로 섭취하며, 가장 일반적인 섭취 빈도는 주 2~3회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약 8% 증가한 수치로, 간편식 수요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간편식을 구매한 응답자들 중에서는 인스턴트 라면(82%)과 분짜, 후띠우 등을 포함한 인스턴트 쌀국수(70%)류가 가장 높은 소비 비중을 차지하며 대표 품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외에도 즉석 죽(26%), 즉석 떡(22%), 시리얼(21%), 즉석 당면(19%), 즉석 국/수프(6%) 등 다양한 품목이 함께 선택되어, 제품군 간 소비가 세분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23~2024년 간편식품 구매자 대상 제품별 소비 비중>
(단위: %)
주1. 제품별 소비에 대한 복수 응답 반영
주2. 시리얼과 인스턴트 수프의 2023년 정보 없음
[자료: 베트남 광고플랫폼 Coc Coc]
한편, 베트남 소비자들이 간편식을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편리함과 신속성’(59%)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합리적인 가격’(37%), ‘맛의 만족도’(36%), ‘재료 준비 불필요’(29%), ‘기호 충족’(28%), ‘이동 시 휴대 용이성’(24%)등이 주요 구매 요인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결과는 베트남 소비자들이 단순한 가격 외에도 사용 편의성, 맛, 생활 패턴에 부합하는 제품 속성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간편식 소비는 단순한 대체식 개념을 넘어, 일상 소비 구조의 일부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추세다.
<전시회 속 주요 간편식품>
[자료: KOTRA 호치민 무역관 촬영]
베트남 주요 식품 기업
베트남 식품 시장은 분야별로 강점을 지닌 주요 기업들이 산업 성장을 이끌고 있다. 유제품, 해산물, 설탕, 간편식, 식용유, 육류, 제과·음료 등 다양한 부문에서 대표 기업들이 활발히 활동 중이며, 국내 유통뿐만 아니라 수출 확대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도 점차 강화되고 있다.
기업명
로고
기업 소개
Vietnam Dairy Products JSC
- 베트남 최대 유제품 기업.
- 유제품 외 다양한 식품 및 장비, 포장재, 부동산 사업 운영
Minh Phu Seafood JSC
- 새우 중심의 해산물 가공·수출 전문 기업
- 자회사 14개 운영, 양식 및 가공 설비 사업 병행
Thanh Thanh Cong - Bien Hoa JSC
- 베트남 대표 설탕 제조 기업
- 50종 이상 설탕 제품 보유
- 국내외 유통 및 수출 활발
Acecook Vietnam JSC
- 인스턴트 라면, 쌀국수 등 간편식 제조 전문.
- 하오하오 등 인기 브랜드 보유, 글로벌 수출
Cai Lan Oils & Fats Industries Co., LTD.
- 식용유 전문 제조 기업. Neptune, Simply 등 - - 브랜드로 정제유·팜유·대두유 등 국내외 공급
Vissan Joint Stock Company
- 육류·계란 가공 및 유통 전문
- 돼지·소 사육 및 기술 서비스 제공
- 주요 유통망에 제품 공급
URC Vietnam Company Limited
- 제과·음료 전문 기업
- C2, 크림오, 다이너마이트 등 다양한 스낵과 음료 제품 생산·유통
Perfetti Van Melle (Vietnam)
- Mentos, Chupa Chups 등 보유한 글로벌 제과 브랜드
- 츄잉껌·캔디 중심으로 수출 활발
Masan MB one Member Co., LTD.
- 조미료 및 즉석식품 전문 기업. 오마치, 코코미 라면 등 브랜드 보유
- 국내 유통 중심
Interflour Vietnam LTD
- 밀가루·맥아 제조 전문
- 항만·창고 운영 및 곡물 수출입 병행
- 아시아 시장 공급 확대 중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호치민시 식품가공 산업 발전 전략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2024년 10월, ‘식품가공 산업 발전 전략(결의안 4700/QD-UBND)’을 발표하고 2030년을 목표, 2050년을 장기 비전으로 산업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 전략은 식품 안전 기준 강화, 친환경 생산 표준 도입, 제품 추적성 확보를 핵심 과제로 설정했다. 또한, 과학기술을 통해 노동생산성을 높이고 단순 가공에서 정밀 가공으로의 전환을 추진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제품 다각화, 브랜드 경쟁력 강화, 소비시장 확대를 통해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며, 원자재 공급지와의 연계를 통한 식량 안보 강화도 주요 목표 중 하나다. 특히, 2050년까지 식품가공업의 연평균 부가가치 성장률을 7.5~8.5%로 유지하고, 하이테크 산업 비중을 5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식품 가공산업 발전 전략 실현을 위해 호치민시는 식품분야의 인재 육성, 식품 과학기술 혁신, 투자 유치, 인프라 구축, 특허권 등 시장 보호 정책 등도 종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친환경 식품 생산, 정밀 가공, 글로벌 수요에 부합하는 제품 개발이 베트남 식품산업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사점
베트남 식품 산업은 유통 구조의 고도화, 식문화 다변화, 프리미엄 식품 수요 확대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는 한국 식품 기업에게도 실질적인 진출 기회를 제공한다.
첫째, 건강과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 확산은 한국의 기능성 식품, 저당·저염 간편식, 유기농 제품과 높은 접점을 갖는다. 특히 원산지와 식품 안정성, 성분의 자연 친화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품질 신뢰도와 성분 투명성을 앞세운 한국 제품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가공식품과 간편식 수요의 빠른 확대는 한국 식품의 제품군과 높은 접점을 이루며, K-푸드의 시장 확산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고 있다. 컵밥, 레토르트 국·찌개류, 냉동 볶음밥, 가정간편식(HMR) 형태의 한국 간편식은 베트남 소비자에게 간편성과 식사 대용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베트남산 농수산물 등 현지 원재료를 활용한 제품 현지화 전략이 더해진다면, 시장 접근성과 유통 채널 확대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셋째, 베트남 정부의 식품가공 산업 고도화 정책은 기술력 기반의 한국 기업에게 협력 진출의 실질적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현지에서는 단순 가공을 넘어, 고부가가치 제품 및 기술 융합형 가공식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한국의 식품 가공 기술, 포장 기술, 품질관리 시스템 등을 접목한 OEM·ODM 또는 기술제휴형 진출 전략은중장기적으로 현지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한국 식품에 대한 인지도와 한류를 통한 문화적 친숙도는 여전히 유효한 시장 진입 촉진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다만, 단순한 브랜드 이미지에 의존하기보다는 현지 소비자의 기호, 식습관, 구매 성향을 반영한 맞춤형 제품 전략이 병행되어야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자료: Statista, 현지언론(pha pluat, 24.9.10, VnEconomy, 24.8.28), 호치민 식품 및 식료품 협회(FFA), CocCoc, 호치민시인민위원회 관보, 전시회 홈페이지,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호치민 FOODEX 2025로 보는 베트남 식품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성장 잠재력을 가진 이라크 스마트홈 시장
이라크 2025-05-08
-
2
Z세대를 통해 본 미국의 식품 트렌드
미국 2025-05-09
-
3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 아마존 플랫폼에서 찾는 우리기업의 수출 기회
미국 2025-05-08
-
4
싱가포르 식품 산업이 보여주는 미래…친환경, 대체식품, 혁신 기술 중심으로
싱가포르 2025-05-13
-
5
나만을 위한 식단부터 신선도 관리까지, 스마트한 미국 식품 산업의 미래
미국 2025-05-07
-
6
‘저당’은 선택 아닌 필수, 변화하는 중국 식품 트렌드
중국 2025-05-21
-
1
베트남 흑연 산업 및 관련 프로젝트 동향
베트남 2025-07-11
-
2
2025년 베트남 철강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7-07
-
3
2025년 베트남 전자산업 정보
베트남 2025-05-13
-
4
2025년 베트남 섬유의류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11
-
5
2025년 베트남 자동차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02
-
6
2024년 베트남 전력 및 에너지 산업 정보
베트남 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