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차세대 글로벌 허브로 부상하는 베트남 항공 산업, 도전과 기회
  • 트렌드
  • 베트남
  • 다낭무역관 신경련
  • 2025-04-25
  • 출처 : KOTRA

베트남, 글로벌 항공 제조 기업의 유치를 통해 세계적인 항공부품 생산기지 지향

빠른 항공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MRO, IT솔루션, 자동화기기 등 진출기회 열려

현재 베트남의 항공기 제조 산업은 완제품보다는 부품 제조에 집중되어 있으며, 산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로 시장 규모에 대한 명확한 통계 또한 부재한 상황이다. 하지만, 주요 글로벌 부품 제조 기업들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베트남 정부에서도 지원 관심을 확대하고 있는 주력 산업분야 중의 하나이다.  

 

빠르게 확대되는 베트남 항공 수송 수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베트남 항공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에서 가장 빠른 회복세를 기록하였으며 세계에서 5번째로 빠르게 성장하는 항공 시장으로 2035년까지 1억5000만 명의 항공 승객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24년 기준 베트남의 항공 여객 수는 1억900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 중 국제선 여객의 수는 4140만 명, 국내선은 6800만 명으로 각각 전년 대비 26% 증가, 15% 감소하였다. 항공화물의 경우, 베트남 국내 공항을 통한 화물 처리량은 약 140만 톤으로 이 중 국내 수송량은 20만 톤, 국제 수송량은 120만 톤에 달한다. 이는 지난 10년간 연평균 5-6%가량 성장한 수치이다. 이러한 항공 수송수요에 맞추어 2021~2030년 기간 동안 베트남 내 운항 여객기의 수는 연평균 9.6%씩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2030년까지 승객 처리량은 2억7800만 명, 화물 처리량은 41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 항공 수요 외에도 베트남에 많은 글로벌 제조기업이 들어서고 활발히 생산량을 늘려나감에 따라 관련 부품 및 완제품에 대한 항공 화물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베트남은 현재 삼성, 나이키, 폭스콘 등 대기업의 상당한 투자로 전자제품, 섬유, 의류 등의 제조 및 수출을 위한 중심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항공 화물 운송은 중장기적으로 베트남 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 베트남에는 10개의 항공사가 있으며 20개 국가 및 지역에 98개의 국제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베트남 주요 항공사 및 보유 대수, 사양 (2025년 4월 기준)>

(단위: 개사, 대수, 년)

국가

항공사

현재 항공기 보유 대수

평균 항공기 연령

베트남

10

214

8.8

[자료: PLANESPOTTERS.NET]


<베트남 주요 항공사별 항공기 보유 현황(2025년 4월 기준)>

(단위: 대)

항공사

설립연도

운행 경로수

항공기보유기종

국제

국내

에어버스

보잉

ATR

베트남 항공

1996

57

34

79

17

-

비엣젯 항공

2007

111

38

95

-

-

뱀부항공

2017

9

20

7

-

-

비엣트래블항공

2019

5

7

1

-

-

퍼시픽에어라인

1991

57

12

3

-

-

베트남항공서비스

1987

61

22

-

-

5

합계

-

300

133

185

17

5

[자료: PLANESPOTTERS.NET]

 

항공기 구매도 지속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 항공과 미국의 글로벌 항공기 제조회사인 보잉은 2023년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미화 100억 달러 규모의 보잉 737 맥스 항공기 50대 구매 계약을 장기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마찬가지로, 비엣젯항공은 프랑스의 항공기 제조회사인 에어버스에 총 206대의 항공기를 주문한 바 있으며 이 중 80대를 인도받아 운행 중에 있다.


베트남 정부는 이러한 증가하는 항공수송 수요에 대응하여 공항 건설 및 업그레이드, 항공 교통 서비스 개선, 항공기 유지 보수, 정비 용량 및 화물 운송 개발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이는 관련 외국 기업에게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열악한 자국 산업 역량 vs  높은 외국 기업 의존도

 

다만, 이러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항공산업 전반은 외국 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2023 8 개최된 베트남 물류 항공화물 콘퍼런스에서는 항공화물에서 베트남 항공사의 시장점유율이 12% 불과하고 나머지는 외항사에서 차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하였다. 이는 베트남 자국 항공사의 항공기 관련 부품 제조능력, 전문 운송 항공기 도입 등이 매우 미진하고, 베트남 공항의 처리 능력이 현재 급속히 증가하는 여객 운송을 처리하기에도 버겁기 때문이다현재 항공화물 관련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에는 아직 화물 운송을 위한 전용 항공사가 없다. 현재 베트남 항공화물은 DHL, FedEx Cathay Pacific Cargo 같은 외국계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항공기 관련 부품의 제조의 경우 대부분 프랑스, 일본, 미국, 한국 등 해외 기업이 설립한 현지 기업이다. 순수 베트남 로컬 기업은 베트남 국영기업 비엣텔(Viettel) 그룹의 계열사 2개사가 유일한 3차 부품 공급 업체로 알려져 있다. 항공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기에 정부 차원에서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자체 항공제조 역량 확충에는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진다. 지난 2024년 베트남 국제방산전시회에서 베트남은 최초의 국산 군용항공기인 플라잉 레전드 T-150을 선보였다. 이 항공기의 설계는 이탈리아 기업인 플라잉 레전드에서 진행하였으며 이후 플라잉 레전드 베트남이 기술이전을 받아 완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주요 부품인 엔진, 프로펠러 등 핵심부품은 유럽에서 조달하고 동체, 날개, 랜딩기어, 액세서리 등만 플라잉 레전드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 및 조립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잠재시장, 베트남의 항공기 정비 보수(MRO) 산업  

 

베트남에서 운행되는 항공기의 유지 보수 수리를 포함하는 항공 지원 산업(MRO) 또한 수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높은 성장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향후 10년간 연평균 10.6%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전방산업과 마찬가지로 베트남 MRO 역량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항공 보수 및 수리 서비스의 77%가 베트남 외로 아웃소싱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범위한 인프라 개발(신규 공항 건설), 향후 10년 동안 항공 시장의 급속한 성장률, 높은 MRO 서비스 아웃소싱 비율을 감안할 베트남의 MRO 시장은 확실히 지역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시장 하나이다.


베트남 시장과 함께 여겨보아야 부분이 바로 동남아시아 시장 전체이다. 인도의 글로벌 시장조사 회사인 Mordor Intelligence 따르면 동남아시아의 항공 정비산업 규모는 2025 기준 42 달러이며 2030년까지 72억3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연평균 11.47% 달하는 수치이다. 동남아시아의 허브 공항 중의 하나인 창이 공항을 보유하고 있는 싱가포르는 ST Engineering, SIA Engineering 같은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들이 있어 동남아 시장 전체를 선도하고 있다. 베트남의 폭발하는 항공 수송 정비수요 증가로 이들 싱가포르의 대표 MRO 기업들이 베트남 기업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은 눈여겨볼 만한 사실이다.


지난 2022 7, 베트남 교통부는 롱탕 국제공항에 4개의 MRO 시설을 개발하기 위해 1 1,800 달러 이상의 투자를 승인했다. 시설은 보잉 B777/B787, 에어버스 A330/A350, 협동체 A320/A321 보잉 737 같은 허가된 항공기에 서비스를 제공하여 유럽 미국 표준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베트남 민간항공국(CAAV)은 국내 기업이 외국 투자자와 협력하여 노이바이(Noi Bai), 탄손낫(Tan Son Nhat), 다낭(Da Nang), 추라이(Chu Lai), 깜란(Cam Ranh), 푸꾸옥(Phu Quoc) 껀터(Can Tho) 공항에서 국가의 MRO 용량을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숙련된 인력, 격납고자재 유통 허브의 부족, MRO 관련 정부 지원 취약 등으로 인해 베트남의 MRO 개발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대형 항공사와 MRO 서비스 제공업체가 빅데이터, 블록체인, IOT,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와 같은 기술을 시도하여 여러 선진 기술을 개발하여 관련 산업 기반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항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 및 인프라 확충 노력

 

베트남 정부는 항공기 제조 산업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 투자 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항공 관련 산업에 대해 10% VAT 8% 감면 적용하고 있으며, 조치는 2026년까지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당 분야의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해 투자 절차를 간소화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최근에는 항공산업의 기반이 항공 인프라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하고 있는데, Long Thanh 국제공항, Gia Binh 공항, Chu Lai 공항 주요 거점지역의 공항들을 확장하고 현대화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MRO 수요에 대응하고자 Long Thanh 국제공항에 4개의 MRO 시설을 신규 조성할 예정이다.

 

가장 수요가 집중되는 중심 관문은 역시 하노이와 호치민이다. 먼저 하노이 노이바이 공항은 T2 국제선을 확장하고 있으며 2024 5월에 시작된 확장공사는 2025년말에 완료될 예정이다. 프로젝트에는 4,600 동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확장이 끝나면 연간 수용 능력은 1,000만 명에서 1,500만 명으로 50%가량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호치민시티 딴손녓 공항의 경우, T3 터미널 신규 건설이 막바지에 이르고 있어 올해 상반기 내에 개장할 것으로 보이며, 해당 프로젝트의 투자규모는 11 동에 이른다. 수용능력은 3,000만 명에서 5,000만 명으로 크게 확충될 것이다.


베트남의 항공기 및 부품 제조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나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유치 노력으로 글로벌 기업을 통한 부품 제조와 관련된 협력 및 기술 이전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베트남의 항공 제조산업의 기술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항공기 부품생산  공급망 확장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어버스( 보잉() 협력추진>

[자료: Vietnamnews.vn]

 

지난 3월 팜민찐 베트남 총리는 유럽 기반의 글로벌 항공기 제조기업 에어버스 부사장과의 면담에서 에어버스가 베트남 항공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 지속 투자해 줄 것을 요청했다. 구체적으로 에어버스 항공기 장비의 공급망 및 제조를 확대하고, 항공기 유지 보수 및 수리 센터를 설립하는 한편 베트남 기업의 관련 부품 공장 운영을 확충하기 위해 품질개선 및 인적자원 교육을 지원하는 것이다.    


괄목할 만한 사실은 글로벌 항공제조기업의 양대 산맥인 보잉사 또한 베트남을 중요한 공급망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으며 관련 투자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2024년 9월 또 럼 베트남 당서기장은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뉴욕을 방문했을 당시 보잉 글로벌 회장과 직접 만나 그간 베트남 항공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 보잉사가 추진한 여러 프로젝트 들에 감사를 표하며 향후 고품질의 인적자원 개발, 기술이전, 연구개발 분야의 협력을 촉구한 바 있다. 이처럼 베트남 정부는 유럽, 미국을 아우르는 항공기 제조기업과의 적극적인 협력 및 투자유치에 성공을 거두면서 많은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토대를 탄탄히 다져가고 있는 것이다.

 

주요 활동 기업 현황

 

1990년대 에어버스 베트남을 시작으로 다양한 항공우주 분야의 글로벌 기업들이 베트남을 생산기지로 활용하고 있다. 미국의 보잉(Boeing) 베트남 정부와 협력하여 항공 산업 발전을 적극 지원하며, 부품 제조 협력과 인프라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일본의Mitsubishi Heavy Industries (MHI) 2009 최초 진출한 이래 최근 1600 달러의 확장 프로젝트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부품 제조기업인 미국의 Universal Alloy Corporation (UAC) 또한 베트남 중부 다낭시 17000 달러 규모의 제조시설을 설립한 있으며, 지난 2024 1억5800 달러의 증액 투자를 시행한 있다.


<베트남 중부 소재 항공기 부품제조 글로벌 기업 UAC VIENTNAM 현지 생산품목 현황>

[자료: The Investor, UAC Vietnam]

 

<항공 전후방 산업 관련 주요 활동기업 현황>

구분

기업명

주요 현황











항공기

관련 부품

제조

Airbus Vietnam

진출 연도: 1990

위치: 하노이

법인 주소: Room 1909, 19th Floor, East Building, Lotte Center Hanoi, No. 54 Lieu Giai, Cong Vi Ward, Ba Dinh District, Hanoi City

주요 사업: 항공기 제조 기술이전 협력 

Boeing Vietnam

진출 연도: 1995

위치: 하노이, 호치민

하노이 법인 주소: LEED-accredited Capital Place, Ba Đình District, Hà Nội

호치민 법인 주소: New World Hotel Suite 323, 76 Le Lai Street, District 1, Ho Chi Minh City

주요 사업: 항공기 제조 공급망 관리 주력

MHI Aerospace Vietnam


진출 연도: 2009

위치: 하노이 Thang Long Industrial Park

법인 주소: Plot No. N-8, Thang Long Industrial Park, Vong La Commune, Dong Anh District, Hanoi City

주요 사업: 항공기 부품 생산 수리, 보잉의 1 부품밴더

Hanwha Aero Engines

진출 연도: 2018

위치: 하노이 Hoa Lac Hi-Tech Park

법인 주소: Lô CN1-02B-4-8, Khu công nghiệp công nghệ cao I, Khu công nghệ cao Hòa Lạc, Xã Hạ Bằng, Huyện Thạch Thất, Hà Nội

주요 사업: 항공 엔진 부품, 산업용 가스터빈 부품 생산

Universal Alloy Corporation

진출 연도: 2020

위치: 다낭 Hi-Tech Park

법인 주소: Lot A9, Road No. 4, Da Nang Hi-Tech Park, Hoa Lien Commune, Hoa Vang District, Da Nang City

주요 사업: 항공기 복합재 부품 제조 AIRBUS/BOEING 등에 공급

Flying legend Vietnam

 

진출 연도: 2023

위치 : TDP Huong Loc, Dao Duc, Binh Xuyen, Vinh phuc

주요 사업:군용 경비행기 및 관련 부품 제조

비고: 이탈리아항공기 제조기업과 베트남의 합작법인 

KP Aerospace Vietnam

진출 연도: 2024

위치: 다낭 Hi-Tech Park

법인 주소: Lô A15, Khu công nghệ cao Đà Nẵng, Xã Hoà Liên, Huyện Hoà Vang, Thành phố Đà Nẵng

주요 사업: 항공기 부품 제조(\ Boeing 787, 737 Max 부품 )






MRO

(항공기

보수정비)

VAECO


설립 연도: 2009

위치: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본사), 다낭, 호치민(지점)

법인 주소: Noi Bai International Airport, Soc Son District, Hanoi

주요 사업: 항공기 기본 정비 라인 정비 

비고 : 베트남 항공의 자회사로 베트남 항공  80 이상의 고객사 대상으로 MRO 서비스 제공

VSAE

설립 연도: 2016

위치: 호치민 떤선녓 국제공항

법인 주소: 286 Hoang Hoa Tham Street, Ward 12, Tan Binh District, Ho Chi Minh City

주요 사업: 라인 정비, 부품 수리, 항공기 안전성 관리

비고 : Vietstar Airlines 자회사로 설립

SAAM

설립 연도: 2010

위치: 호치민, 하노이, 다낭 주요 공항

법인 주소: SCSC Building, 30 Phan Thúc Duyện Street, Ward 2, Tan Binh District, Ho Chi Minh City

주요 사업: 라인 유지보수, 결함 수정 AOG 지원

비고: SIA Engineering Company Airports Corporation of Vietnam 합작 회사로서 싱가포르항공, 에미레이트항공 고객사 지원

AESC

설립 연도: 2008

위치: 하노이(본사), 호치민, 다낭, 추라이 (지점)

법인 주소: Lot 43A, Quang Minh Industrial Zone, Me Linh, Hanoi

주요 사업: 항공 MRO 서비스, 항공기 내부 지상 장비 설계 제조, 기술 교육 훈련

비고: 베트남 최초로 EASA(유럽항공안전청) FAA(미국연방항공청)로부터 Part 145 인증 획득하여 국제적 품질 기준 충족

SGS VN

진출 연도: 1989

위치: 호치민

법인 주소: 198 Nguyen Thi Minh Khai Street, Ward 6, District 3, Ho Chi Minh City

주요 사업: 항공 MRO 서비스

비고: 항공 분야 이외 식품, 건설, 제조업, 에너지 사업 투자 활발

[자료: 기업 홈페이지  KOTRA 다낭 무역관 자료 종합]

 

대표적인 MRO 부문 회사로는 베트남 국적기인 베트남 항공(Vietnam Airline) 자회사인 VAECO(Vietnam Arline Engineering Company) 있다. 이들은 모회사의 항공기뿐만 아니라 베트남으로 취항하는 타국 항공사 항고기의 부품수리, 항공기 도장 등의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SAAM(Southern Airports Aircraft Maintenance Services) 경우 싱가포르 에어라인의 정비 자회사인 SIA Engineering Airport Corporation of Vietnam 합작사로 하노이, 호치민시티, 다낭 베트남 주요 도시에 위치한 공항에서 항공 정비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시사점 전망

 

베트남의 항공 제조 및 정비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이나 유망한 산업 분야이다. 베트남은 지리적인 특성 및 높은 관광 및 비즈니스 수요로 인해 항공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근 베트남 정부는 항공우주 산업 육성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주요 글로벌 항공 제조기업의 잇따른 현지 공장 설립 및 투자확대 또한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다만 베트남 항공업계의 높은 외국 기업 의존도와 한정된 인프라, 현지 협력업체 및 고급 인력 부족 및 디지털 변환과 같은 과제가 남아있으며 이는 향후 산업 발전에 주요 변수가 될 것이다.


베트남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항공기 및 관련 부품 제조기업 K사 담당자는 무역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과 저렴한 인건비 대비 양질의 많은 젊은 노동인력 활용은 베트남 항공 산업의 주요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로서는 항공기 제조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는 여건이 열악하며 특히 AS9100 후처리 관련 NADCAP 을 보유한 로컬 제조업체가 거의 없어 관련 수요를 현지에서 처리하지 못하고 타 국가에서 진행 후 베트남으로 들여오는 등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기도 하는 바 이러한 점은 베트남 정부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할 과제라고 언급하였다. 


한편, 최근 여러 항공기 제조 및 부품 제조 기업들은 AI 기반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솔루션, IOT,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다양한 기술 및 솔루션을 접목하고자 노력 중에 있다. 때문에 베트남 항공산업이 발전할수록 항공기 제조뿐만 아니라 건설, 기계장비, ICT 등 여러 분야 기업들의 현지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 기업들은 이러한 시장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며 투자 진출 및 협력 기회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자료: CAAV, Euromonitor, Statistica, Moro Intelligence, VNbriefining, Plainplatter, ITA, 주요 언론자료 및 KOTRA 다낭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차세대 글로벌 허브로 부상하는 베트남 항공 산업, 도전과 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