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부모의 지갑을 여는 '친자소비(亲子消费)' 트렌드 확대
- 트렌드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19-05-30
- 출처 : KOTRA
-
- 2018년 기준, 중국 아동시장 소비규모 약 4조5000억 위안 추정 -
- 산아제한정책 폐지에 따른 아동시장 확대로 관련 업종 급증 -
□ ‘ 부모-자녀가 함께하는 소비’를 뜻하는 ‘친자소비(亲子消费)’ 트렌드 확산
ㅇ 2018년 중국의 화샤은행(华夏银行)은 자녀를 위한 여행, 보험, 의료 등의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친자 신용카드(亲子信用卡)’를 출시함.
- 은행 측은 중국의 ‘1가구 1자녀 정책(獨生子女) 폐지’로 ‘친자소비’가 확대돼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카드를 개발했다고 밝힘.
* 친자소비(亲子消费): 부모가 자녀를 위해 또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소비하는 행태로 부모의 소비가 자녀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는 트렌드를 반영한 신조어. ‘친(亲/親)’은 부모를 뜻하며, ‘자(子)’는 자녀를 나타냄.
ㅇ 중국의 약 80% 가정에서 소득의 약 30~50%를 자녀를 위한 소비 지출에 사용
- 2018년 기준 중국 내 0~14세의 아동 인구는 2억 4737만여 명으로 추정되며, 아동 관련 소비 시장의 규모는 약 4조5000억 위안(한화 약 774조8000억 원)에 달함
- 80~90后(1980~1990년대 출생) 젊은 부모들은 높은 소비 수준을 바탕으로 자녀 양육에 있어 편리함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품질, 서비스, 콘텐츠, 형식, 브랜드, 개성 등 보다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며 이전보다 더욱 세분화된 소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2018년 연령별 아동 인구 현황 (단위: 만 명)
출생연도
만 연령
인구(만 명)
출생연도
만 연령
인구(만 명)
2018년
0세
1,523
2010년
8세
1,592
2017년
1세
1,726
2009년
9세
1,591
2016년
2세
1,786
2008년
10세
1,908
2015년
3세
1,655
2007년
11세
1,595
2014년
4세
1,687
2006년
12세
1,585
2013년
5세
1,640
2005년
13세
1,617
2012년
6세
1,635
2004년
14세
1,593
2011년
7세
1,604
2003년
15세
1,599
자료: 互联网数据资讯中心-199IT
□ '친자소비' 확대에 따라 변화하는 시장
ㅇ 주요 상권에 아동업 신규 입점 증가
- 부모와 자녀가 함께 즐기는 레저활동이 각광받으며 가족 단위의 소비 증가로 도심 내 복합 쇼핑몰 등 주요 상권에 아동업(아동 전문 의류, 요식업, 헤어숍 등) 입점 증가
- 2018년 기준, 중국 주요 42개 도시의 아동업 상업 부지 총면적은 약 1206만m²로 5년 전 대비 5배 이상 증가했으며, 전체 상업부지 대비 아동업 비중은 2011년 5%에서 2018년 기준 17%로 증가함
- 전통 쇼핑몰일 경우, 1인 평균 이용 시간이 1시간 내외인 반면, 아동업이 증가하면서 아동 관련 부가 소비를 하며 평균 쇼핑몰 이용시간이 4.3시간으로 길어지는 등 소비자의 쇼핑몰 이용 패턴에도 뚜렷한 변화를 보이고 있음
중국 복합 쇼핑몰 아동업 분포 비율
(42개 주요 도시 쇼핑몰 평균치)
자료: 华中商业地产观察
ㅇ 자녀와 함께 즐기는 체험형 소비 증가
- 소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비용을 들여 자녀와 함께 즐기는 여가 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아동 놀이시설, 테마파크, 키즈 카페 등 체험형 아동 유흥 시설이 늘어나고 있음.
- 또한 자녀 교육에 대한 지대한 관심으로 체험형 시설 등 취미활동 계발을 위한 전문 교육기관이 분야별로 성행하고 있으며 무용, 미술, 서예, 악기, 무술, 운동, 바둑, 성악, DIY수공예 등 다양한 분야로 관련 시설의 이용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체험형 소비 브랜드 사례: 챠오써우야(巧手丫)
* 중국 최대 아동 DIY 체험관 브랜드인 챠오써우야(巧手丫)는 중국 전역에 800여 개의 체인점을 운영
* 도자기, 수공예품 제작, 쿠키 만들기, 완구 제작 등 100여 가지 아동 체험 교육 테마로 인기를 끌고 있음
* 2018년 기준 매출액 약 3억4000만 위안(한화 약 580억 원) 기록
자료: 91加盟网
□ 중국 아동 소비시장 인기 아이템
1) 아동 전문 헤어숍
ㅇ 중국의 아동 헤어 미용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약 147억 위안(한화 2조5331억 원)으로 추산됨
- 2018년 전체 미용업 시장규모는 약 3408억 위안으로, 이 중 헤어 미용 비중이 약 24.4%, 아동 인구 비중이 약 17.7% 차지
- 헤어 미용에 대한 소비 확대에 따라 젊은 부모들이 자녀 헤어 미용에도 관심을 가지며 아동 전문 헤어숍을 찾는 등 관련 수요 확대- 단순히 헤어 미용 서비스 뿐만 아니라 헤어숍 내에 아동제품, 키즈카페 등 부가사업을 연계하여 종합 아동 서비스 플랫폼 형태의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업체가 증가하고 있음.
아동 미용업 브랜드 사례: Qkuts젠쿠(Qkuts剪酷)
* Qkuts젠쿠는 2013년에 설립된 아동 미용 프랜차이즈 업체로 헤어 미용 서비스를 기본으로 중국 각지에서 30여 개의 직영 아동 서비스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현재 보유 중인 100여 개의 캐릭터 IP를 활용하여 낙서 놀이, 수공예 등 점포 내 어린이 전문 놀이시설을
설치 운영해 차별화하고 있음.
* 어린이 및 부모 고객을 타깃으로 어린이용 친환경 매니큐어, 샴프, 린스, 바디 클렌져, 스킨로션 등 영유아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자료: 赢商大数据
2) 아동용 스마트 워치
ㅇ 아동 유괴와 같은 사회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통화 기능을 결합한 아동용 스마트 워치가 인기를 얻고 있음.
- 현재 중국 내 아동용 스마트워치 제조 업체는 약 600개 사에 달하며, 2018년 1분기 기준 중국 아동용 스마트워치 출고량이 동기 대비 44.6% 증가한 약 507만 대에 이르는 등 시장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
아동용 스마치워치 브랜드 사례 : '360 아동' 스마트워치
* '360 아동(360儿童)'은 2013년에 설립된 아동 웨어러블기기 전문 브랜드로 2017년 7월 기준 누계 판매량이 500만 대를 돌파했으며, 2018년에는 아동용 스마트워치 브랜드 순위 1위 달성
* 스마트워치에 음성기능뿐만 아니라 동요, 동화, 백과사전, 음악, 중국 고시(古詩) 등 다양한 아동용 콘텐츠를
접목한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음.
자료: 360 儿童
3) 영유아 수영장
ㅇ 중국 국민들의 소득 및 문화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영유아 조기 교육붐이 일면서 영유아 전용 수영장이 각광을 받고 있음.
- 특히 만 1세 미만의 운동 능력 발달이 덜 된 영유아를 대상으로 비교적 안전하고, 놀이 형태의 운동인 수영이 인기를 끌며 지역별로 영유아 전용 수영관이 증가하고 있음.
- 단순히 운동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영유아 스킨케어, 마사지, 워터파크, 영유아용품 판매 등 다양한 부가 상품 판매 및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부가 가치를 창출하고 있음.
영유아 수영상 브랜드 사례: PEAYO BABY(培优宝贝)
* 전국 20여 개 도시에 3127개의 영유아 수영관 체인점을 개설하여 중국내 가장 높은 지명도를 보유한 영유아
수영 조기 교육 브랜드 운영
* 0~12세 아동을 주요 타깃으로 연령별, 단계별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자료: 培优宝贝
□ 시사점
ㅇ 영유아 1인당 소비 지출 증가 추세 지속, 산아제한정책 폐지로 시장 지속 성장 기대
- 중국의 노령화와 출산율 저하, 산아제한 정책 실시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현재 중국의 인구 구조는 성인 인구 대비 아동인구 비율이 현저히 낮은 수준임. 이로 인해 중국 가정별 영유아 1인당 집중되는 소비 지출 규모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세대를 건너 자녀에 대한 투자와 소비 니즈가 점차 증가하고, 나아가 산아제한 정책 폐지로 '1가정 2자녀 정책'이 추진되며 중국 아동 시장의 지속 가능한 미래 성장 잠재력을 보여줌.
ㅇ 중국 아동시장 레드오션화, 틈새 수요를 발굴하여 진출하는 노력 필요
- 아동업 세부 업종별로 이미 브랜드 포지셔닝에 성공하여 선도적인 브랜드 입지를 다진 로컬기업들이 있으며, 후발주자의 시장 진출도 가속화되고 있어 중국 아동시장은 분야별로 점차 '초 레드오션화'되고 있다고 판단됨.
- '조기교육', '안전', '친자소비' 등 핵심 키워드를 토대로 부모와 아이를 타깃으로 삼아 새로운 틈새 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신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함.
항저우 L쇼핑몰 점포 관리 관계자 인터뷰
Q1) 쇼핑몰 영업에 있어 최근 아동 시장 트렌드에 대해 어떻게 체감하고 있는가?
A1) 젊은 부모 세대의 소비 의식이 변화되며 '친자소비'가 신흥 소비개념으로 부상하고 있다. 자녀와 함께 하는 체험 형태의 소비를 즐기며 이와 연동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연계 비즈니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특히 아동시장에 있어는 '안전', '교육'과 같은 개념을 접목한 아이디어가 시장 수요를 확대시키고 있다.
Q2) 영유아 비즈니스에 있어 수입 시장은 어떠한가?
A2) 수입 시장은 아직까지 서비스 시장보다는 주로 분유, 기저귀, 이유식, 세제 등 제품 시장에 집중되어 있다. 일본, 호주, 미국,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영국, 한국 등에서 수입한 영유아 제품이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편이다.
자료: KOTRA 항저우 무역관 자체 인터뷰
자료: 儿童产业研究中心, 互联网数据资讯中心-199IT, 赢商网, 界面新闻, 搜狐, 中国青年网 및 KOTRA 항저우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부모의 지갑을 여는 '친자소비(亲子消费)' 트렌드 확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쑥쑥 자라는 베트남 키즈카페 시장
베트남 2018-08-21
-
2
중국 식품, 이대로 괜찮은가?
중국 2014-08-19
-
3
짝퉁천국 중국, 정품 보호에 나서다
중국 2015-04-27
-
4
중국 스포츠웨어 시장, 눈부신 성장 전망
중국 2021-12-03
-
5
출산율 높은 호주에서 새로운 창업 아이템으로 뜨는 키즈카페
호주 2019-12-13
-
6
DR콩고, 중국산 짝퉁 및 불량제품의 실상
콩고민주공화국 2017-01-11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