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최근 한국의 대 미국 무역흑자 대폭 감소
- 통상·규제
- 미국
- 워싱턴DC무역관 Charlie Chung
- 2017-10-27
- 출처 : KOTRA
-
- 최근 5분기 간 한국의 대 미국 무역흑자 감소 추이 확인-
- 한국의 대 미국 상품 교역수지 흑자, 작년 동기 대비 ‘17년 상반기에 34.4% 하락-
- ‘17년 상반기, 한국의 주요 대미 수출 경쟁력 상품 수출량 작년 동기 대비 감소 -
□ 미국의 지난 10분기 간 주요 교역국과의 상품 및 서비스 교역수지 추이
○ 최근 한국의 대 미국 무역흑자 감소
- 한국, 중국, 캐나다, 멕시코 중 한국만 유일하게 대 미국 무역흑자가 지난 5분기 간 감소하는 추이를 보임.
- ‘16년 1분기부터 ‘17년 2분기까지 미국의 대 한국 무역적자는 ‘17년 1분기를 제외하고 모두 전 분기 대비 감소하였음.
- 그러나 멕시코의 경우 최근 3분기 연속 대 미국 무역흑자가 증가하였고, 중국은 최근 4분기 연속 대미 무역흑자가 증가하였음.
- ‘16년 3분기까지 대 미국 무역적자를 기록하였던 캐나다의 경우 ’16년 4분기부터 무역흑자로 전환하였고 최근 ‘17년 1분기에서 2분기사이 무역흑자가 지속 중.
- 따라서, 트럼프 행정부와 통상 마찰을 빚고 있는 한국, 중국, 캐나다, 멕시코 중 한국만 유일하게 대 미국 무역흑자가 감소하고 있음.
지난 10분기 간 미국의 상품 및 서비스 교역수지 추이
(단위: $백만)
총
대 한국
대 중국
대 캐나다
대 멕시코
‘15년 1분기
-127,059
-4,918
-89,646
1,438
-13,813
‘15년 2분기
-122,979
-4,226
-80,962
827
-14,642
‘15년 3분기
-126,756
-4,321
-83,388
-546
-14,078
‘15년 4분기
-123,649
-5,125
-80,025
2,451
-15,790
‘16년 1분기
-126,079
-5,919
-80,457
2,569
-16,168
‘16년 2분기
-123,777
-4,703
-74,729
3,450
-15,487
‘16년 3분기
-123,777
-3,789
-76,372
2,691
-15,318
‘16년 4분기
-134,049
-3,192
-77,714
-978
-16,078
‘17년 1분기
-138,094
-3,750
-81,932
-914
-17,736
‘17년 2분기
-137,313
-1,502
-83,613
-1,045
-18,543
자료원: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
□ 2017년 상반기 한국의 대 미국 상품 교역수지 흑자는 작년 동기 대비 대폭 하락
○ 작년 동기 대비 ’17년 상반기 미국의 대 한국 상품 교역수지 적자는 34.4% 하락(156억 달러에서 102억 달러)
- 반면 중국의 ‘17년 상반기 대 미국 상품교역 흑자는 작년 동기 대비 6.6%, 캐나다는 154.7%, 멕시코는 11.1% 증가하였음.
- 지난 5년간 한국의 상반기 대 미국 상품교역 흑자가 줄어든 경우는 ‘13년 상반기와 ’14년 상반기 사이(4.7% 감소) 이후 이번이 처음임.
미국의 상반기 상품교역 수지 추이
(단위: $백만)
연도
대 한국
대 중국
대 캐나다
대 멕시코
‘12년 상반기
-6,591
-155,497
-18,172
-36,209
‘13년 상반기
-10,547
-159,407
-18,458
-30,523
‘14년 상반기
-10,080
-168,783
-22,343
-29,387
‘15년 상반기
-13,628
-187,006
-11,203
-33,059
‘16년 상반기
-15,590
-173,948
-5,768
-35,682
‘17년 상반기
-10,222
-185,433
-14,393
-39,637
자료원: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
□ 작년 동기 대비 2017년 상반기 주요 상품별 미국의 대 한국 수출입 동향
○ ‘17년 상반기 미국의 대 한국 수입량은 작년 동기 대비 약 9억 달러(2.4%) 감소
- 최근 작년 동기 대비 가장 큰 폭(34.4%)으로 미국의 대 한국 상품교역 수지 적자가 감소한 ‘17년 상반기를 살펴보면, 총 수입량은 357억 달러를 기록하였고 이는 작년 동기(366억 달러) 대비 2.4% 감소한 수치임
- 미국의 ‘17년 상반기 Top10 대 한국 수입품목을 살펴보면 1위 품목(자동차 및 부품), 2위 품목(전기·전자 기기) 모두 각각 8.0%, 16.3% 하락 하였음.
- 미국의 8번째로 많은 대 한국 수입품인 의약품 수입량은 작년 동기 대비 ‘17년 상반기에 무려 37.1%나 하락하였고, 9위 품목인 아연·철강 제품도 21.5% 하락하였음.
- 따라서, ‘17년 상반기 한국의 대 미국 상품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총 2.4% 하락하였으나 품목별로 살펴보면 한국의 수출 경쟁력 있는 상품들(특히 자동차, 전기·전자 기기 및 의약품)의 대미 수출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
상반기 미국의 Top 10 대 한국 수입품 수입 동향
(단위: $백만, %)
순위
HS 코드
품목
수입량
총 수입량 대비 비중
16/17
증감률
‘16년
‘17년
‘16년
‘17년
-
-
총 수입량
36,562
35,655
100
100
-2.4
1
87
자동차 및 부품
11,785
10,847
32.3
30.4
-8.0
2
85
전기·전자 기기
8,391
7,024
23.0
19.7
-16.3
3
84
원자로 및 부품
4,988
5,998
13.7
16.8
20.3
4
27
광물성 연료·광물유
1,050
1,565
2.9
4.4
49.0
5
73
철·강철 제품
817
1,135
2.2
3.2
38.8
6
39
플라스틱 제품
978
1,074
2.7
3.0
9.8
7
40
고무 제품
942
971
2.6
2.7
3.2
8
30
의약품
1,246
784
3.4
2.2
-37.1
9
72
아연·철강
865
679
2.4
1.9
-21.5
10
90
정밀기기
489
548
1.3
1.5
11.9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17년 상반기 미국의 대 한국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44억 달러(21.8%) 증가
- 작년 동기 대비 ‘17년 상반기 미국의 대 한국 수입은은 2.39% 감소한 반면 수출은 무려 21.8% 증가한 245억 달러를 기록
- 한국의 대 미국 상품교역 수지 흑자가 감소한 가장 큰 이유로는 대 미국 수출량 감소(2.39%) 보다 대 미국 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21.8%)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품목별로 살펴보면 미국의 3번째로 많은 대 한국 수출품인 광물성 연료·광물류 수출량은 작년 동기 대비 153.6% 증가하였고, 비행기 및 부품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Top10 대 한국 수출품 수출량이 모두 크게 증가하였음.
상반기 미국의 Top 10 대 한국 수출품 수출 동향
(단위: $백만, %)
순위
HS 코드
품목
수출량
총 수출량 대비 비중
16/17
증감율
‘16년
‘17년
‘16년
‘17년
-
-
총 수출량
20,071
24,451
100
100
21.8
1
84
원자로 및 부품
2,925
4,466
14.6
18.3
52.7
2
85
전기·전자 기기
2,808
3,702
14.0
15.1
31.9
3
27
광물성 연료·광물유
645
1,636
3.2
6.7
153.6
4
90
정밀기기
1,287
1,617
6.4
6.6
25.7
5
88
비행기 및 부품
2,388
1,577
11.9
6.5
-34.0
6
87
자동차 및 부품
1,056
1,149
5.3
4.7
8.9
7
29
유기화학 물질
828
947
4.1
3.9
14.4
8
10
시리얼
501
883
2.5
3.6
76.3
9
02
육류
615
780
3.1
3.2
26.8
10
39
플라스틱 제품
686
745
3.4
3.1
8.5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시사점
○ 트럼프 대통령의 비판과 다르게 최근 미국의 대 한국 무역적자는 큰 폭으로 감소 중
- 2017년 보호무역주의 성향의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한국의 대 미국 무역흑자는 작년 동기 대비 대폭 감소 하였음.
- 그러나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적자와 관련해 비판하고 있는 교역상대국인 한국, 중국, 캐나다, 멕시코 중 유일하게 한국만 최근 5분기 간 무역적자가 감소 하는 추세를 보였음.
- 또한, 최근 5년간 상반기 한국의 대 미국 상품교역 흑자는 ‘16년까지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으나 최근 ‘17년에 34.4%로 대폭 하락하였음.
○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감소 지속될 가능성 시사
- 또한, 한국의 ‘17년 상반기 대 미국 총 상품 수출량은 작년 동기 대비 2.4% 감소하였고 총 상품 수입량은 더 큰 폭인 21.8% 증가하였음.
- 한국의 수출 경쟁력 상품으로 알려진 자동차 및 부품 그리고 전기·전자 기기 상품의 작년 동기 대비 ‘17년 상반기 대 미국 수출량이 모두 감소하였음.
- 작년 동기 대비 최근 한국의 대 미국 상품교역 흑자감소는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정책의 효과일 수도 있으나 중국, 캐나다, 멕시코의 대 미국 상품교역 흑자가 최근 증가함은 한국의 대 미국 수출 경쟁력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감소하였을 가능성도 제기됨
- 따라서, 추후 한국의 대 미국 무역흑자 통계를 꾸준히 모니터링 하여 양국간 교역 추이를 살펴보고 품목별로 분석하여 정확한 수출 감소원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미 상무부, Politico, Inside U.S. Global Trade Atlas,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 기타 현지 언론 및 KOTRA 워싱턴 자체 보유 분석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최근 한국의 대 미국 무역흑자 대폭 감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이집트의 산업 개관
이집트 2022-01-06
-
2
2021년 스페인 자동차 산업 정보
스페인 2021-12-30
-
3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기준 금리 동결과 10월 보유자산 축소 발표
미국 2017-09-22
-
4
홍콩, 조류독감 이유로 한국산 가금류 일부 수입 중단
홍콩 2017-01-11
-
5
2017년 베트남의 관세장벽 현황
베트남 2017-10-24
-
6
취업박람회를 통해 알아본 베트남 취업 전략
베트남 2017-10-27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