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동북3성 자동차산업 동향 및 진출방안
  • 트렌드
  • 중국
  • 선양무역관
  • 2014-12-08
  • 출처 : KOTRA

 

동북3성 자동차산업 동향 및 진출방안

 

 

 

Ⅰ. 중국 자동차산업 현황과 전망

 

1. 중국 자동차산업 현황

 

□ 중국 완성차 산업 현황

 

 ○ 2009년 이후 중국은 세계 최대의 자동차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부상

  - 2013년 중국의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이 사상 처음으로 2000만 대를 넘어서며 2010년 이후 3년 만에 또다시 두 자리 증가율을 기록

  - 중국자동차산업협회(中业协会)에 따르면 2013년 중국의 자동차 생산량은 2211만7000대, 판매량은 2198만4000대로 전년대비 각각 14.8%, 13.9% 증가

 

 

 ○ 승용차 수요 확대가 중국 자동차 산업의 성장을 주도함.

  - 중국의 전체 자동차 내수(판매량)에서 승용차 비중은 81.6%를 차지하며 높은 내수 증가율을 보임.

  - 2013년 중국 승용차의 생산·판매 대수는 각각 1808만5000대(전년대비 16.5% 증가), 1792만9000대(전년대비 15.7% 증가) 기록

  - 특히 승용차 중에서 SUV의 증가율은 19.4%(299만 대)에 달해 눈부신 성장세를 보임.

 

 

 ○ 외국기업(브랜드), 중국 자동차시장의 과반 이상을 차지

  - 중국 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2013년 중국 토착 브랜드 승용차 판매량은 722만2000대로 전년대비 11.4% 증가했으며 시장점유율은 40.3%로 전년대비 1.6% 하락

 

 

  - 국산화율 제고, 독자 브랜드 육성 등 중국정부의 강력한 지원책에도 중국 토착업체의 성과가 부진한 이유는 낮은 품질경쟁력이라고 볼 수 있음.

 

 ○ 산업 집중도 지속 상승

  - 2013년 상위 5대 자동차 생산기업(그룹: 上海汽, 东风, 第一汽, 安汽, 北京汽)의 판매량은 1583만1000대로 총자동차시장의 72%를 차지하며 자동차 산업 집중도는 작년대비 0.4% 증가

 

 

  - 상위 10개 자동차 생산기업(그룹)의 판매량은 1943만1000대로 총판매량의 88.4% 차지(전년대비 1.4% 증가)

 

 

□ 중국 자동차 부품 산업 현황

 

  중국은 이미 세계 최대 자동차부품 시장의 지위에 올라섰음.

  - 통계에 따르면 2013년 중국 자동차부품 시장의 규모는 매출액 기준 전년 대비 21.7% 상승한 2조7096억5000만 위안을 기록했음.

  - 2005년 이후 연평균 23.8% 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시장이 약 7배 확대됨.

 

 

 ○ 자동차 부품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기술수준이 전반적으로 낙후

  - 대부분의 중국 자동차 부품 기업은 중소기업이고 주로 노동집약형 제품을 생산하며 기술수준이 낮아 완성차 회사와의 긴밀한 관계가 요구되는 OE시장보다는 주로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수리부품시장에 치중함.

  - 여과기, 베어링, 방열기, 타이어 등 주요 생산품은 생산량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나 기술개발 능력이 부족해 중저급 상품에 집중됨.

 ○ 자동차부품 수출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짐.

  - 최근 세계 완성차 업체의 원가절감을 위한 부품 조달의 글로벌화 경향으로 가격 경쟁력이 있는 중국 부품을 수입하는 경우가 증가함.

  - 2013년 기준 중국의 자동차부품 수출 실적은 598억2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8.1% 성장

  - 주요 수출 품목은 로드 휠, 브레이크, 쇼크 압소버, 방열기 등 기술수준이 높지 않고 노동집약형 제품 위주

 

  높은 기술력 요구되는 핵심부품은 수입에 의존

  - 로컬기업 기술력 낙후로 변속기, 전자부품, 에어백 등 높은 기술력 요구되는 제품은 부품을 수입해 중국에서 조립하거나 제품 자체를 수입

  - 특히, 자동변속기의 경우 미국 Borgwarner, 일본 Aisin, 독일 ZF 등 외국 기업이 시장을 독점함.

  - 2013년 중국의 자동차부품 수입액은 334억9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9.3% 상승

 

  외국기업의 중국진출이 지속 확대됨

  -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외국기업의 중국진출이 지속적으로 가속화되며 전 세계 상위 100대 자동차부품 기업의 70% 정도가 중국 시장에 진출함.

  - 주로 엔진, 전자부품, 브레이크, 안전 시스템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해 외자 및 중국 로컬 자동차 회사에 공급함.

  - 최근 부품 현지화율을 높이고 연구센터를 설립하는 등 더욱 적극적으로 중국시장에 진출하며 투자 규모도 확대해 나가는 추세임.

 

2. 중국 자동차 산업 전망

 

□ 높은 성장잠재력 보유

 

  중국은 세계 1위 규모의 자동차시장 보유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보급 수준은 초기 단계로 매우 높은 성장잠재력 보유

  - 2013년 중국의 자동차 보유량은 1억3700만 대로 전년대비 13.7% 증가

 

 

  - 그러나 중국의 자동차 보급대수는 인구 1000명 당 89대로 세계 평균의 146대에 비해 상당한 차이가 있음.

  - 전문가에 의하면 중국은 자동차 보급이 본격화되는 이른바 모터라이제이션의 초기단계에 있어 앞으로 상당기간 자동차 판매가 급팽창 할 것으로 예상

 

□ 신에너지 자동차 발전 가속

 

  2013년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은 1만7533대로 전년대비 39.7% 증가

  - 그중 전기차는 1만4243대,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3290대임.

  - 생산량은 아직 적지만 2012년(50.0% 증가)에 이어 높은 성장을 보임.

 

  또한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는 1만7642 대로 전년대비 37.9% 증가

  - 그 중 전기차는 1만4604대,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3038대임.

 

  중국은 순수 전기차를 중심으로 하는 신에너지 자동차 육성정책 추진 중

  - 2015년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량은 총 50만 대, 2020년에는 연간 생산량이 2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

 

□ 2014년, 전년대비 8~10% 성장 기대

 

  2013년 자동차 판매 호조는 경제의 안정적 성장 및 소득 수준의 향상이 자동차의 신규 구입 및 교체를 촉구했으며 자동차 구입 제한의 도입에 대비 한 갑작스런 수요의 영향도 있음.

 

  중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2014 년의 자동차 판매량은 2374만~2418만 대로, 성장률은 8~10%로 예측됨.

  - 향후 5~10년 중국의 자동차시장은 8~10%의 안정적인 확대에 이어 성장이 한층 더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힘.

 

Ⅱ. 동북3성 자동차산업 현황 및 전망

 

1. 랴오닝성 자동차산업 현황 및 전망

 

□ 랴오닝성 완성차 산업현황

 

  랴오닝성의 자동차공업은 ‘화천(華晨)’을 중심으로 매우 빠르게 성장함. 특히 11.5규획 기간(2006~2010) 이래 제조업 중에서도 자동차 산업이 중심이 돼 발전해 왔으며 다른 산업과의 연계성이 높아 관련 산업의 발전을 촉진시킴.

 

  2013년 랴오닝성 연간 완성차 생산량은 108만 대로 전년대비 23.8% 증가

  - 이는 전국 평균 증가율 보다 9% 높은 수치임.

 

 

  2013년 기준 랴오닝성에는 완성차 기업 14개 사가 있으며 연간 완성차 150만 대를 생산하는 능력을 보유함.

 

 

□ 랴오닝성 자동차부품 산업 현황

 

  랴오닝성의 자동차부품 기업은 약 400여 개 사로 주로 선양, 다롄 등 지역에 집중돼 있음.

 

 

  랴오닝성의 자동차부품 기업은 이미 엔진, 자동 변속기 등 핵심부품을 생산해 현지 자동차 회사에 공급하며 연간 엔진 140만 대를 생산하는 능력을 보유함.

 

  랴오닝성은 글로벌 자동차 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면서 국제 경쟁력을 갖춘 중국 주요 자동차 공업기지를 구축함.

 

 

□ 랴오닝성 자동차산업 전망

 

  자동차 산업 발전 가속화

  - 최근 몇 년간 랴오닝성의 자동차산업은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하며 탄탄한 산업 기반을 바탕으로 중국 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됨.

  - 랴오닝성은 2015년까지 완성차 생산량 300만 대, 완성차 및 부품 총생산액 4000억 위안에 달하는 목표를 세움.

 

  완성차기업과 부품기업 동반성장

  - Brilliance-auto(晨汽), BMW Brilliance(華晨馬), Shanghai GM(上海通用北盛) 등 완성차 기업이 생산능력을 지속적으로 확충하며 관련 부품 산업의 발전을 견인함.

 

 

  - 완성차기업의 성장과 더불어 자동차 부품기업 또한 랴오닝성으로 모여들고 있으며 신규 자동차 부품기업의 현지 생산공장 건립도 활기를 띠고 있음.

 

  신에너지 자동차 발전에 주력

  - 랴오닝성은 신에너지 자동차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Brilliance-auto(晨汽) 등 기업은 신에너지 자동차의 개발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함.

 

2. 지린성 자동차산업 현황과 전망

 

□ 지린성 완성차 산업 현황

 

  자동차산업은 지린성 지주산업으로 전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우수한 자동차 생산 및 연구개발단지로 꼽힘.

  - 지린성 자동차 산업은 중국 내에서 가장 빠르게 시작해 현재 완성차, 특장차, 자동차 부품의 연구, 개발, 생산, 판매를 일체화한 자동차 공업 체계가 형성돼 있으며 중·대형 트럭, 중·고급 승용차, 경차 등 차종을 중심으로 비교적 완비된 자동차 공업 체계를 갖춤.

 

 

  최근 중국내 자동차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지린성 자동차산업도 종래 이상의 기세를 보임.

  - 2013년 지린성 연간 완성차 생산량은 234만2000대로 전년대비 18.6% 증가

 

지린성 완성차 생산 현황(단위: 만대)

자료원: 中商情报网

 

  2013년 기준 지린성에는 완성차 기업 9개 사가 있으며 연간 완성차 약 200만 대를 생산하는 능력을 보유함.

 

 

□ 지린성 자동차부품 산업 현황

 

  2013년 기준 지린성에는 자동차부품 기업 300여 개사가 있으며 지린성 정부는 자동차 부품의 국산화 추진, 부품 조달 체계 구축에 힘씀.

 

 

  지린성은 디이 자동차(第一汽) 중심으로 자동차부품 산업이 발달했으며 우수한 자동차부품 연구개발, 제조, 조립, 서비스 체계를 바탕으로 중국 내 최고 수준의 실력을 갖춘 자동차부품 생산 기지로 성장함.

 

□ 지린성 자동차산업 전망

 

  산업 규모 계속 확대 추세

  - 지린성은 2015년까지 완성차 생산능력을 400만 대로 늘리는 발전목표를 세움.

 

 

  - 완성차 생산능력 확대계획을 마련하는 한편, 신에너지 자동차 발전과 자동차산업 현지화율 향상에 주력해 자동차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추진할 것

 

  자동차 부품의 국산화 가속

  - 완성차 생산능력 계속 성장나 지린성 부품산업은 여전히 총량이 적고 자주 개발능력이 부족하며 핵심경쟁력이 결여돼 있음.

  - 이 같은 상황을 조속히 개선하기 위해 지린성은 자동차 부품의 국산화를 가속화하는 신전략을 제시했으며 2015년까지 부품조달 현지화율을 50% 실현할 목표를 설정

  - 자동차 부품 연구개발(R&D)은 지린대학에 위탁해 부품 테스트와 연구, 제작, 자원개발을 통합하고 국내 일류의 국가급 자동차 부품 R &D센터와 지린성 부품업계를 위한 기술지원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임. 중점기술센터 건립은 자동차 산업발전 특별자금에서 지원할 예정임.

 

3. 헤이룽장성 자동차산업 현황 및 전망

 

□ 헤이룽장성 완성차 산업 현황

 

  2013년 헤이룽장성 완성차 생산량은 10만5000대로 전년대비 21% 성장

 

 

  헤이룽장성의 자동차 산업은 하얼빈항공공업그룹(哈尔航空工)을 중심으로 발전돼 있으며 하페이(哈) 자동차 등 자체 개발능력이 우수한 완성차 기업을 보유함.

 

 

□ 헤이룽장성 자동차부품 산업 현황

 

  2013년 기준 헤이룽장성에는 자동차부품 기업 200여 개사가 있으며 연간 엔진 70만 대를 생산하는 능력을 보유함.

 

 

  헤이룽장성은 중국 내 최대 규모의 자동차 엔진 생산기지로 도약하는 목표를 세웠으며 자동차부품 산업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함.

 

□ 헤이룽장성 자동차산업 전망

 

  신에너지 자동차를 중심으로 산업규모 확대 전망

  - 헤이룽장성은 중국의 주요 중공업기지로 탄탄한 공업 기초를 보유하며 자동차산업을 표한함 장비제조업을 중점적으로 발전시킴.

  - 헤이룽장성은 2015년까지 완성차 110만 대, 신에너지 자동차 1만 대로 생산능력을 확충할 계획이며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중심으로 신에너지 자동차용 엔진, 전기, 배터리, 제어 시스템, 부품, 전기차 충전소 등의 개발, 생산을 적극적으로 촉진함.

 

  자동차 부품 수요 증가

  - 완성차 기업이 생산능력을 지속적으로 확충함에 따라 자동차 부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특장차 발전 가속화

  - 석유, 삼림, 광물 자원 및 식량 생산이 풍부하므로 화물 운송 등에 필요한 특장차에 대한 수요가 많음.

  - 러시아와 인접하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러시아에 대한 특장차 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함.

 

Ⅲ. 동북3성 주요 자동차 업체 현황 및 전망

 

1. 디이 자동차(第一汽,FAW)

 

□ 그룹 개요

 

  디이 자동차(第一汽)는 중국정부가 소련의 기술을 도입해 1953년에 설립한 중국 최초의 자동차 회사임.

  - 1950년 중국은 소련과 ‘중·소 우호동맹 상호원조조약’을 맞으면서 소련으로부터 자동차 기술을 도입했고 이 계획에 따라 디이 자동차(第一汽制造)가 설립됐음.

  - 중국 최초의 본격적인 일괄생산 자동차 회사로 소련의 방식을 도입해 연간 3만 대 생산능력을 갖추게 됐음.

 

  국영업체로 해외 선진업체와 협력을 맺어 100만 대 이상의 생산규모를 갖춘 중국 대형 업체임.

  - 디이 자동차는 사업 초기에 산업 및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트럭을 주력으로 생산해 왔으며 VW, 토요다, 마쓰다와 합작으로 승용차 생산을 시작했음.

 

  FORTUNE 선정(매출기준) 2013년 글로벌 500대 기업 중 141위 기록

 

 

  World Brand Lab에 따르면 2013년 디이 자동차의 브랜드 가치가 1095억45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11.45% 성장하며 중국 자동차 그룹 중 1위를 차지

 

  연간 400만 대가 넘는 생산체계를 확립했으며, 중국 주요 자동차 생산 메이커로 꼽힘.

 

 

  디이 자동차의 제조사는 중국 내 17개 도시에 자리잡고 있으며 주로 동북, 확북 및 교동·서남 등 3개 지역에 집중돼 있음.

 

 

□ 자동차 생산·판매 현황

 

  2013년 디이 자동차의 판매량은 290만8000대로 전년대비 9.9% 성장하며, 매출액은 4604억97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12.49% 증가

  - 2013년 디이 자동차의 시장점유율은 132.%로 상하이 자동차(23.1%), 둥펑 자동차(16.8%)에 이어 중국 내 3위의 자리를 차지

 

 

  트럭을 포함한 상용차의 생산비중이 높은 수준이나 승용차 시장에서의 지배력은 아직 약한 실정임.

 

 

  - 향후 디이 자동차는 전략을 수정해 승용차의 독자 개발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지만 상하이자동차와 둥펑자동차도 독자 브랜드의 판매를 강화하해 이들과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됨.

 

□ 자체 브랜드 개발

 

  디이 자동차는 VW, 토요다, 마쓰다와 합작해 승용차 시장을 주도하는 한편, 해외 협력업체의 기술을 활용해 자체 독자 모델 개발에 주력함.

 

 

□ 전망

 

  완성차 판매 확대 추세

  - 디이 자동차는 2015년까지 완성차 판매 500만 대(독자 모델 판매 200만 대), 판매액 6000억 위안, 수익액 400억 위안에 달하는 목표 수립

 

  독자 브랜드 개발 가속화

  - 2011~2015년까지 독자브랜드 개발사업에 355억 위안을 투자해 16개의 신형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임.

 

 

2. 화천 자동차그룹(晨,Brilliance)

 

□ 그룹 개요

 

  화천 자동차는 지방정부 소유의 승용차사업을 주력으로 2002년에 설립된 완성차 회사임.

  - 토종업체로 2000년대 후반 정부의 자주브랜드 강화정책에 힘입어 성장이 두드러짐.

 

  연간 100만 대 이상의 완성차 생산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중국 대표적인 자주 브랜드로 꼽힘.

 

 

  3개 브랜드를 보유하며 소형트럭에서 고급 승용차까지에 이르는 차급별 브랜드 라인업을 갖추게 됐음.

  - 승용차는 ‘Brilliance(中)’ 브랜드로, 밴·소형트럭 및 소형버스는 ‘Jinbei(金杯)' 브랜드를 활용해 판매하며 중국 내 BMW와 합자회사를 설립해 BMW 모델을 생산함.

 

 

  - 해외에는 이집트, 북한, 베트남, 말레이시아, 러시아, 이란 등 국가에 CKD 조립공장을 설립해 운영함.

 

 

□ 자동차 생산·판매 현황

 

  2013년 환천 자동차의 완성차 판매량은 77만7000대로 전년대비 15.7% 성장하며 매출액은 128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9.9% 증가

 

 

  해외 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서 이집트, 베트남, 북한 등 세계 8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함.

  - 화천 자동차의 수출전략은 ‘3+1’로 유럽, 미국, 러시아 및 수출지역을 선정해 3개 주요 국가에 역량을 집중시킴.

  - 서유럽에 중국 메이커 최초로 수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 등 선진국가로 수출계획을 진행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자 함.

 

□ 자체 브랜드 개발

 

  화천 자동차는 BMW와의 합작으로 개발, 생산 능력을 강화하면서 자체 브랜드 개발에 나섬.

  - BMW의 위임으로 N20 터보차저 엔진을 생산해 자체 독자 모델에 적용할 계획임.

  - BMW에서 파견한 기술팀의 지원을 받으면서 고급 승용차, 상용차 모델 개발함.

 

□ 전망

 

  화찬 자동차는 2015년까지 완성차 판매 150만 대, 엔진 150만 개, 판매액이 200억 위안에 달하는 목표를 수립

 

  개발 측면에서 대형업체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으므로 더 많은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고 해외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어 향후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Ⅳ. 한국 기업 진출전략

 

1. 기회 요인

 

□ 완성차 기업 생산능력 확충에 따른 수요 증가

 

  2015년 동북3성의 완성차 생산계획은 810만 대로 생산능력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

 

 

  디이 자동차, 화천 자동차 등 완성차 기업의 생산라인 증설 및 자체 모델 개발로 자동차 부품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임.

 

□ 자동차 산업의 낙후성에 따른 기회

 

  중국의 자동차 산업은 그간 고속으로 성장해 왔음에도 한국에 비해 뒤쳐져 있어 내수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경쟁상대가 되기에는 단기적으로 어려움.

  - 중국의 자동차 디자인 및 생산, 부품 제조기술 등은 한국에 비해 평균 4년 가량 뒤쳐져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중국 토착기업이 생산 판매하는 자동차는 모두 모방생산 단계에 있으며 품질도 매우 뒤쳐지는 것으로 알려짐.

 

□ 자동차 부품의 현지 조달율 제고 추세

 

  현지 정부는 부품 현지화율을 높이고 연구개발센터 설립지원 등 핵심경쟁력 제고에 주력함.

 

  한편, 완성치 업체도 원가절감을 위해 부품 조달의 현지화 경향이 보임.

 

2. 리스크 요인

 

□ 부품 공급체계가 안정화되면서 OE 시장의 진입장벽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

 

  중국의 OE 시장은 일본, 한국 등 시장보다 훨씬 개방적으로 진입이 용이했음.

 

  그러나 최근 외자기업을 중심으로 부품 공급체계가 안정화돼 신규 기업이 OE시장에 진출하기가 어려워지고 있음. 이러한 경향은 자동차 산업의 모듈화 경향으로 더욱 가속회될 것임.

 

□ 현지 완성차 기업의 보수적인 거래 성향

 

  현지 완성차, 특히 토종 완성차 기업의 경우 전반적으로 보수적인 거래 성향을 띠고 있으며 담당자조차도 파악이 쉽지 않은 상황을 감안할 때 신규 부품 기업의 진입이 용이하지 않은 시장임.

 

□ 중국 업체의 지적재산권 침해

 

  중국 업체의 모방생산이나 ‘짝퉁’생산이 심각한 수준으로 한국 업체의 판매 감소뿐 아니라 제품 이미지 악화를 가져오는 심각한 문제임.

 

3. 진출전략

 

□ 고기술부품분야 진출 유망

 

  현지 자동차 부품 기업 대부분이 중소기업이고, 기술수준이 전반적으로 낙후

  - 생산제품은 의자, 축전지, 타이어, 전동축, 유리 등 노동집약적, 원료가공형에 집중돼 있으며 여과기, 베어링, 방열기, 타이어 등 제품의 경우 기술개발 능력이 부족해 중저급 상품에 치중

  - 높은 기술력 요구되는 핵심부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임.

 

  현지기업 기술력 낙후로 고기술 부품 수출 유망

  - ECU(엔진 제어 모듈), ABS, 크랭크축, 전조등, 계량기, 내부장식, 비타이어고무, 브레이크, 에어컨 시스템, 변속기 등 첨단 기술부품 분야가 한국 기업의 진출에 적합

 

□ 확대되는 전장부품시장 선점 필요

 

  전자장치의 발달로 차량 부품도 갈수록 전장화, 동력원의 전기화가 진행됨.

  - 자동차 제조원가 중 전자부품 및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35%, 2050년에는 50%까지 증가할 것임.

  - 세계 전자부품 시장규모는 580조 원(2015년)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이에 따라 세계 최대 자동차시장인 중국에 맞춘 중국형 전장부품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음.

  - 한국의 자동차부품 생산경험과 IT 기술, 중국 현지기업의 제조원가 경쟁력 결합형 제품 개발을 통한 기술 표준 선점

  - 한중 양국 자동차 부품기업간 핵심기술 획득을 위한 M&A, 교류활성화도 필요함.

 

□ 신에너지 자동차 분야 진출 유망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으로 현지 자동차 업계의 신에너지 자동차 개발이 활기

 

  정부는 신에너지 자동차 기술발전을 위해 외자기업과 국내기업 간 합자 및 기술 양도를 적극 지지해 현지 기업 기술력이 부족한 전지, 발전기, 전자제어 등 핵심분야에서 중국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이 높음.

 

□ 합작형태로 중국시장 진출 검토 필요

 

  자동차부품 산업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지분 제한이 없어 독자 형태로 투자 가능함. 그러나 외국기업은 중국 자동차산업의 강한 지역 보호주의를 의식해 중국 합작 상대방을 통해 내수 판로를 개척하기 위해 합작방식으로도 진출

 

  파트너를 찾아서 합자투자를 하고 공동생산을 하는 방식은 기존의 완성차업체·부품업체 생산네트워크에 편입할 수 있어 유리함.

 

  합작 형태로 진출할 경우 지적재산권 문제를 각별히 주의해야 함.

 

□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 필요

 

  업체 차원의 기술, 생산, 경영 기밀 누설 방지를 위한 노력이 매우 중요하며, 고기술 부품, 신에너지 자동차 분야에 진출할 경우 지적재산권 보호의 전제하에 중국 투자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

 

  예를 들어 합작 체결 시 지적재산권 관련 계약 내용을 분명히하거나 주요 기술에 대한 중국 내 특허권 확보 등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동북3성 자동차산업 동향 및 진출방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