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러시아 상용차 시장 하락세, 언제까지 계속되나
  • 트렌드
  • 러시아연방
  •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 2014-10-07
  • 출처 : KOTRA

 

러시아 상용차시장 하락세, 언제까지 계속되나

- 어려운 경제상황, 폐차비용 부과 등으로 하락세 지속 

- 러시아 상용차시장 특성을 고려해 진출전략 모색해봐야 -

 

 

 

□ 시장 현황

 

 ○ 2014년 러시아내 상용차 판매량은 20% 감소했으며, 특히 외국브랜드의 경우 판매감소세가 현저하게 나타남. 러시아 상용차시장의 축소는 러시아시장 전반에 큰 영향을 주었음.

 

 ○ 러시아 경제의 침체, 루블가치의 하락, 기업의 축소 및 철수로 인해 러시아 상용차시장의 전망은 긍정적이지 않은 상황임.

 

□ 러시아 상용차시장 침체이유

 

 ○ 상용차에 폐차비용을 부과해 상용차 소매가격이 인상됨. 폐차비용은 차종별로 15~45만 루블 선이며, 상용차 수입시장에 악영향을 미침.

 

 ○ 2011~2012년 러시아시장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경기부양책과 맞물려 급격히 성장하면서, 당시 많은 수요자가 신차를 구입하거나 교체해 최근에는 수요가 다소 주춤해짐.

 

 ○ 2013년 카잔 하계 유니버시아드 및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이 막을 내린 후 상용차에 대한 수요가 줄어듦.

 

 ○ 투자활동이 감소하는 등 현 러시아 경제상황이 긍정적이지 않으며, 특히 경제상황에 민감한 상용차시장은 많은 타격을 받음. 이러한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서 기업은 상용차 신규 구매를 미루고 있음.

 

□ 악화된 상용차시장 상황

 

 ○ 2014년 초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사정은 더욱 악화돼 현지 주요 생산업체인 KAMAZ사와 GAZ사가 생산을 몇 차례 중단하면서 생산량을 축소시킴. 그 결과 2014년 1월, KAMAZ사의 판매량은 전월대비 26% 줄었음.

 

 ○ 시장조사기관인 ‘Avtostat’(www.autostat.ru)에 따르면, 2013년 총 11만5000대의 상용차가 수입됐으며 이는 2012년 대비 15.7% 감소한 수치였음. 이러한 수입량 급감은 주요 시장참여자에게 타격을 주었으며, 상위 10대 기업 중 유일하게 Scania사 만이 수입량이 증가했고 중국의 Shaanxi사는 43.8%의 가장 낮은 감소세를 보임.

 

2013년 러시아 10대 상용차시장 브랜드 현황

(단위: 천 대, %)

브랜드

차량등록대수

2012년 대비 증감률

KAMAZ

33.5

-3.6

GAZ

12.2

-2.0

MAZ

10.4

-30.2

MAN

6.9

-17.6

SCANIA

6.7

1.3

VOLVO

6.5

-19.8

HYUNDAI

6.3

-22.5

MERCEDES

4.4

-15.9

URAL

4.3

-18.0

SHAANXI

4.1

-43.8

자료원: Expert Ural magazine №8 (589), 17.02. 2014(http://expert.ru/ural/2014/08/pokatalis-i-hvatit/)

 

 러시아, 국산제품 선호–선두를 달리는 KAMAZ, GAZ사

 

 2013년 초 러시아 내 트럭 수는 370만 대였고, 그 중 65%는 러시아 현지 생산제품이었음.

 

 Avtostat에 따르면 러시아 업체인 KAMAZ와 GAZ 의 트럭은 러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트럭브랜드 1,2위를 차지했으며, 2013년 판매 감소량이 각각 3.6%, 2.0%로 다른 업체에 비해 적은 편임.

 

2013년 러시아 대형트럭 판매 현황

순위

브랜드

판매대수

1

KAMAZ

33,424

2

GAZ

12,993

3

MAZ (including MAZ-MAN)

10,401

4

MAN

6,926

5

Scania

6,638

6

Volvo

6,556

7

Mercedes-Bents

4,302

8

Shaanxi

4,209

9

URAL (including URAL-Iveco)

4,095

10

DAF

3,898

11

Hyundai

2,365

12

Hino

2,179

13

Foton

1,593

14

Isuzu

1,517

15

Iveco

1,404

16

Fuso

1,324

17

BAW

1,253

18

Renault

1,057

19

Daewoo

807

20

ZIL

678

21

Howo

579

 

총계

110,980

자료원: Za Rulem magazine, 21.05.2014(http://www.zr.ru/content/articles/645957-pokatilis-s-gorki)

 

 국산 제품을 선호하는 러시아 상용차시장에서 KAMAZ와 GAZ사는 전통적으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음.

 

 경량 트럭시장도 전반적인 상용차시장과 마찬가지로 감소 추세이나, 경량 상용차시장에서 판매량이 가장 많은 브랜드 역시 러시아 기업인 GAZ사임.

 

 ○ 중고 상용차시장에서도 KAMAZ는 선도브랜드로, 2013년 동안 약 8만 대의 중고트럭이 판매됨.

 

 러시아업체의 시장전략 및 현황

 

 주요 러시아 상용차 기업은 해외 부품생산업체와의 협력을 증진시키고 있음. 2013년 GAZ 사는 새로운 장거리 화물트럭 생산에 착수했고 동 분야의 시장 점유율을 2~5%에서 25%까지 올리기로 함.

 

 ○ 또다른 러시아 기업인 URAL사는 해외 제조업체의 부품으로 생산된 신제품(modernized four-weel drive truck with higher load carrying ability)을 출시함.

 

 러시아 통계단체인 Rosstat사에 따르면 2013년 러시아는 해외로 2만3000대의 트럭을 수출했으며, 이는 2012년에 비해 3배나 수출량이 증가한 수치임.

 

 ○ 한편 2012년 9월 이후 수입차에만 부과됐던 폐차비용은 2014년 1월부터 수입차 및 국내생산차량에도 부과되기 시작했음.

 

러시아 내 판매량에서는 모스크바가 강세

 

 지역별 판매량의 면에서는, 모스크바가 압도적으로 판매량이 많음. 2013년 9000대의 신규 대형트럭과 2000대 이상의 중형트럭이 모스크바에서 판매됐으며 인근주인 모스크바 주(우리나라의 경우 경기도에 해당) 또한 적재량 16톤 이상의 대형트럭 5500대와 1000대의 중형트럭을 구입했음.

 

 ○ 타지역의 경우 한티만시 자치구(대형트럭 3700대), 상트페테르부르크(대형트럭 3300대), 크라스노야르스크지역(2900대) 그리고 스베들로프스크지역(2100대) 등의 판매량을 보임.

 

 수입동향

 

  20톤이 넘는 대형트럭 수입량은 반으로 감소함. 상위 5개 수입국가는 폴란드, 독일, 스웨덴, 중국 그리고 핀란드이며 한국은 9위를 차지하고 있음.

 

2011~2013 러시아 대형트럭 국가별 수입 통계

HS Code 870423, Motor Vehicles For Goods Transport Nesoi, With Compression-Ignition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Diesel), Gvw Over 20 Metric Tons

            (단위, US$, 증감률)

 

국명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2013/2012

 

총합

738,596,780

993,588,374

495,603,244

100.00

100.00

100.00

-50.12

1

폴란드

89,777,093

123,987,989

136887,244

12.16

12.48

27.62

10.40

2

독일

179,218,250

165,304,804

95,424,352

24.26

16.64

19.25

-42.27

3

스웨덴

55776,590

50,145,371

57,034,212

7.55

5.05

11.51

13.74

4

중국

205,614,546

403,945,797

56,032,069

27.84

40.66

11.31

-86.13

5

핀란드

51,421,519

47,164,395

41,009,702

6.96

4.75

8.27

-13.05

6

네덜란드

21,199,087

38,408,747

17,704,384

2.87

3.87

3.57

-53.91

7

우크라이나

28,262,709

32,856,474

17,061,591

3.83

3.31

3.44

-48.07

8

일본

10,050,362

15,508,723

13,695,990

1.36

1.56

2.76

-11.69

9

대한민국

12,437,522

26,177,562

12,792,649

1.68

2.63

2.58

-51.13

10

벨기에

5,677,048

9,842,046

12,252,806

0.77

0.99

2.47

24.49

자료원:Global Trade Information Services, Inc.(https://www.gtis.com/gta/secure/gateway.

cfm)

 

 노후화된 상용차시장

 

 ○ 러시아내의 68%의 중대형 트럭과 36%의 경량 상용차는 차령이 15년 이상된 차량임.

 

러시아 상용차 차령(Age of Vehicle) 분포(%)

자료원: Za Rulem magazine, 21.05.2014(http://www.zr.ru/content/articles/645957-pokatilis-s-gorki)

 

 시사점 및 전망

 

 러시아 소비자는 유럽과는 다른 구매성향을 지니고 있음. 예를 들어 독일 또는 프랑스에서는 자동차를 구매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주행연비이나, 러시아에서는 구입시 들어가는 최초 지불가격이 가장 중요한 구매요소임(유럽에 비해 주유비가 저렴하기 때문임).

 

 노후화된 러시아 상용차시장의 특성에 주목해 시장진입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음.

 

 ○ 현지 주요 전문가는 러시아의 상용차시장에 대해 그리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음. 하락하는 루블화 가치로 인해 수입량은 당분간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임. 그러나 2013년과 같이 급격한 시장 하락은 예측되고 있지 않으며, 하락세는 10~15%에 그칠 것으로 보임.

 

 모스크바–카잔 간 고속도로 건설, 각종 도로 인프라의 현대화 및 개보수 등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가 상황을 호전시킬 수 있으나, 현재 이 프로젝트는 자금부족으로 인해 중단돼 예측을 하기 어려움. 이러한 프로젝트의 중단이 장기화 된다면, 2015년에도 러시아 상용차시장에 부정적인 상황이 전망됨.

 

 또한 크림반도를 병합하는 상황에서 몇 가지 불확실한 점이 있음. Kerch 해협 다리를 건설하거나, 크림반도 내의 자동차 도로를 건설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미국과 EU의 대 러시아 경제제재로 인해 달러와 유로에 대한 루블화의 가치가 폭락할 수 있음.

 

 

자료원: Expert Ural  magazine(http://expert.ru/ural), Za Rulem magazine(http://www.zr.ru), RBC Daily magazine(http://rbcdaily.ru),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상용차 시장 하락세, 언제까지 계속되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