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 항공우주산업 동향
  • 트렌드
  • 미국
  • 시카고무역관 홍용택
  • 2014-04-22
  • 출처 : KOTRA

 

미국 항공산업 동향

 

 

 

□ 항공산업 규모

 

  미국 항공 우주 산업 규모 2201억 달러

  - 2013년 미국 우주 항공 산업 시장 규모는 2,201억 달러를 기록 지난 5년간 지속적인 성장세 보임.

  - 미국 연방정부 국방예산 감축의 여파의 2012년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수출의 증가로 상승세를 유지중이며 2014년 2,312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특히, 항공기 유지보수(MRO)시장은 2022년까지 현재의 두 배 수준인 847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미국의 항공산업 규모

(단위 : 십억 달러)

자료원 : 미국 항공산업 협회(Aerospace Industries Association)

 

  미국 항공기 산업은 민수와 군수로 구분

  - 미국항공기 산업은 크게 민수와 군수 시장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시장규모는 약 50:50 비중임.

  - 군수시장는 국방예산 자동삭감의 여파로 2013년에 전년대비 37억 달러 가량 축소됐으나 2014년에는 576억 달러로 전년대비 16억 달러 증가 예상

 

미국의 민수·군수용 항공산업 규모

              (단위 : 십억 달러)

자료원 : 미국 항공산업협회(Aerospace Industries Association)

 

 미국 항공산업 대외교역 현황

  - 수출은 전년대비 125억 달러 증가, 민항기와 엔진 및 부품이 수출이 88%를 차지했고 2014년에도 수출입금융의 지원, 상업용 위성수출이 군수품 리스트에서 해제돼 수출증가 예상

  - 수입은 전년대비 50억달러 감소하여 항공산업 무역흑자가 735억달러로 증가

 

미국 항공산업 대외교역 현황

 (단위 : 십억 달러)

자료원: 미국 항공산업협회(Aerospace Industries Association)

 

미 항공산업 부분별 수입현황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전체

25,132

26,351

29,573

33,641

38,472

항공기

9,299

8,979

9,900

10,163

13,030

군용

0.4

61.7

124.4

103.8

168.2

비행기엔진

3,752

3,799

4,101

5,146

5,508

항공기 및 엔진부품

11,383

12,498

14,293

17,070

18,870

우주선, 미사일 부품

698

1,013

1,154

1,158

895

  자료원: 미국 항공산업협회(Aerospace Industries Association)

 

□ 주요 기업 현황

 

  주요 항공기, 부품 제조회사들은 아래와 같음

  - 보잉 및 락히드 마틴 같은 군수기 제조회사를 비롯 대형 제조업체가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지만   26.4%이르는 중소, 중견기업도 많이 분포하고 있음

  - 군수제조업체를 중심으로 국방예산 삭감으로 인한 대형 업체의 투자삭감 영향에 더 크게 노출이 돼 있음

 

주요 항공기, 부품 제조회사

자료원 : IBIS World Industry Report, Aircraft, Engine & Parts Manufacturing in the U.S

 

  보잉: 시카고에 본사 위치, 종업원 17만 명, 미 국방부에 연 810억 달러 납품하며 민항기시장 점유율은 60%로 Airbus와 함께 세계시장 양분

 

 UTC: 코네티컷 주에 위치. 엔진 제조업체 Pratt & Whiney와 SIkorsky 등 여러 계열사를 보유

 

 락히드 마틴 : 미 국방부 최대의 납품기업기업으로 전투기 등 생산

 

 GE:계열사인 GE Aviation이 비행기 엔진을 제조

 

 Northrop Grumman: 군수업체로 주로 비행기 내부 시스템 제조

 

□ 항공산업 구조

 

  항공기 생산구조

  - 항공기 생산은 R &D단계에서부터 시작하여 디자인, 제조, 조립 등의 공정 순으로 진행

  - 완성 조립업체와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핵심 부품업체 및 원자재 생산업체들로 구성

 

항공기 생산구조

 자료원 : KPMG

 

  정형화된 부품 공급 구조

  - 항공산업은 대형 완제기를 생산업체인 보잉과 에어버스에 핵심 부품 공급업체인 1차 부품 공급업체(Spirit Aerosystem, GE Aviation 등), 2차 부품 공급업체, 3차 부품 공급업체로 구성

  - 핵심 부품업체인 1차 부품 공급업체는 동체 구조물, 엔진, 항법장치, 연료 시스템, 유압 시스템 등 핵심 부품 업체들로 구성

  - 2차 부품 공급업체는 주요 핵심 시스템의 부품들을 생산해 1차 부품업체에 납품하는 업체임. 예를 들자면, 유압시스템의 경우 유압 펌프, 액추에이터, 모터 등을 생산 공급하는 업체임.

  - 3차 부품 공급업체는 유압펌프의 부품인 피스톤, 오링, 실린더 커넥터를 생산해 2차 공급업체에 납품하는 업체임.

 

  자료원 : KPMG

 

□ 정부정책

 

 ○ 미 정부는 예산관리법안에 의거, 자동적으로 국방비를 감축시키는 법안을 2011년 의결함.

  - 예산관리법안에 의해 미 국방예산은 자동적으로 감축되도록 돼 있음.

  - 2017년까지 미 국방부에서 구매하는 프로그램수가 15~20%가량 축소될 것으로 전망

 

                                                        (단위:십억달러)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15~2019년

전체

2014년

540.8

551.4

560

568.6

577.1

2,797.90

2015년

495.6

535.1

543.7

551.4

559

2,684.90

변동

-45.2

-16.2

-16.2

-17.2

-18.1

-113

변동률

 

6.30%

-0.10%

-0.50%

-0.60%

 +1.3%*

자료원 : 미 국방부2015년 예산안

 

 ○ 주재국의 특별한 수입 규제정책은 없음.

  - 하지만, 항공 부품은 안전문제와 직결돼 있기 때문에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로부터 까다로운 승인을 받아야 함. 이에 따라 항공기 및 항공부품제조업체들도 자체적으로 재료 및 생산 방법에까지 엄격한 승인을 요구하는 등 기술 진입 장벽이 높음

  - 항공산업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AS9100(항공 품질 경영 시스템 인증)을 기본적으로 획득해야 하며, 금속 가공 산업의 경우 NADCAP(국제우주항공산업 특별공정 관리프로그램)을 필수적으로 획득해야 하는 등 제품에 따라 다양한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

 

□ 시사점

 

  군수시장 축소예상에도 불구하고, 민간부분의 견조한 수요 상승 예상으로 항공산업은 지속 성장 예정

 

 ○ 미국 항공 업체의 부품업체 선정 조건

  - 부품 업체 선정 시 제품이 품질이 제일 중요하며 기술력과 장기적인 동반 성장 관계 및 신뢰도를 구축이 중요

  - 또한 신규 업체가 부품 공급업체로 선정돼 납품하기 까지 공장 실사 등 품질 테스트 등 복잡한 절차로 인해 평균 2년 정도 소요된다고 함.

  - 미국 항공 업체들은 해외 구매를 확대하고 재고 보유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부품 공급업의 재정비 및 신규 물색을 통한 글로벌소싱을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한국산 항공 부품은 높은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한국산 부품 구매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 특히 금속 가공 기술과 조립 기술 품질관리능력은 선진국 수준이며 중국에 비해 월등히 좋다는 평가를 하고 있음.

 

  가격

  - 중국산 단순 가공 부품의 경우 높은 가격 및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한국산 제품이 가격경쟁력에서 밀리고 있음.

  - 그러나 최근 들어 중국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기존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음.

 

 기술

  - 한국 업체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중국, 인도 등에 비해 높은 가공 기술을 바탕으로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임. 높은 기술 습득력과 빠른 기술개발도 강점임.

 

 미국 항공시장 진출확대를 위해 기존의 국내 Tier1업체를 통한 OEM 간접납품 구조를 공동 R &D 지원 및 벤더등록절차 지원등을 통해 OEM 업체와 직접R &D를 통한 납품채널 확보 필요

  - 또한 F-X사업 등 초대형 국책사업 추진으로 인한 무기판매업체의 절충교역의무가 판매업체에 발생이 예상되는바 이를 통해 기술이전 및 국내 항공부품의 수출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미국 항공산업 협회(Aerospace Industries Association), KPMG, IBIS,  국방부 2015년 예산안, 바이어 인터뷰 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항공우주산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