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콜롬비아 페소화, 올 세계 최강세 통화
  • 경제·무역
  • 콜롬비아
  • 보고타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08-27
  • 출처 : KOTRA

 

콜롬비아 페소화, 2010년 세계 최강세 통화

- 2010년 1~8월 중 콜롬비아 페소 평가절상률 12.95%로 세계 1위 기록 –

- 수입품 가격 하락에 따른 소비증가 -

 

 

 

□ 최근 환율급감 추이 및 각국 주요 평가절상 통화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속되는 달러가치 하락 흐름 속에 2010년 8월 현재 콜롬비아 페소(COP) 가치가 12.95% 상승함에 따라 중남미를 비롯한 전 세계 통화 각각 11.2%, 11.2%, 9.68%에 그친 코스타리카 콜론화, 몽골 투그릭화와 일본 엔화를 제치고 평가 절상률 세계 1위를 기록함.

 

 ○ 2010년 8월 13일 1달러당 1812.4 페소를 기록, 전년 동기 2026.45 페소 대비 기준 환율이 214.25 페소가 하락 했으며, 지난해 한때 2500페소까지 달한데 비하면 무려 700페소나 하락한 것임. 최근 페소화의 지속적인 평가절상에 따라 수입시장은 활황을 보이는데, 이번 상반기 콜롬비아 수입액은 283억 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대비 154억 달러로 20% 가까이 증가를 보임.

 

자료원 : 콜롬비아 상공 관광부 홈페이지

 

 

자료원 : boomberg

 

□ 주요 평가절상요인

 

  전문가들은 대외적 요인으로 석유, 석탄, 광물자원의 수출 증가 및 외국인 투자 증가를 꼽으며, 대내적 요인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수준, 정부의 재정적자 벌충을 위한 외자 도입 등을 페소화 초강세 이유로 분석함.

 

자료원 : 콜롬비아 상공 관광부 홈페이지

 

콜롬비아 중앙은행(El Banco de la República de Colombia)홈페이지

□ 페소화 가치 등귀가 콜롬비아 국내 경제 및 한국 상품 수출에 미치는 영향

 

 ○ 페소화 평가 절상에 따라 피해를 입은 수출 기업들은 그 구원책을 정부에 요청하며, 해외 시장에 투자한 콜롬비아 투자가들 또한 투자금 회수 시 환차에 의해 손해를 봄.

 

 ○ 반면 콜롬비아 총 외채는 2010년 8월 현재 환율 기준 9,4 % 절감됨. ‘09년 8월 환율(1달러= 2,041.91페소) 적용 시, 61조1100억 페소에 육박하던 외채 규모는 현 환율 적용 시 54조9390억 페소까지 줄어들었음. 전문가들은 콜롬비아 정부가 이번 기회를 맞이해 외채의 일부를 상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함.

 

 ○ 페소의 평가절상으로 기업과 투자자들은 이번 연말까지 현금 달러를 개별적으로 매입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개인 소비 역시 수입품 가격 하락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임.

 

 ○ 이에 따른 수입 수요 증대로 콜롬비아 내국산품 대비 수입상품 시장여건이 좋아져 보다 공격적인 마케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환율 전망

 

 ○ 정부는 페소화 가치가 더 이상 등귀하지 않도록 콜롬비아 중앙은행(Banco de la Républica)을 통해 달러를 사들이겠다고 발표했는데 인플레이션 우려로 달러매입을 통한 환율 방어는 제한적으로 운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당분간 환율은 횡보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 콜롬비아 일간지 el portafolio 8월 13, 16일 자. La REPUBLICA 8월 17일, 18일자. 콜롬비아 중앙은행 홈페이지(Banco de La Republica de Colombia),콜롬비아 상공관광부 홈페이지, KOTRA 보고타KB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콜롬비아 페소화, 올 세계 최강세 통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