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자흐스탄의 농업
- 국별 주요산업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이평화
- 2020-09-23
- 출처 : KOTRA
-
- 농업은 자원산업의 발전 이전, 카자흐스탄 경제의 주축으로 기능-
- 강수량이 집중되는 북부, 남동부 지역에 농업 발달 -
- 카 정부는 농업 개발 2017-2021 프로그램 추진 중 -
가. 산업특성
□ 산업 개요
ㅇ 카자흐스탄의 농업은 자원산업 발전 이전까지 사회경제적 발전을 위한 주요 산업으로서 기능
- 90년대 초까지 농업은 국내 총생산(GDP)의 25% 차지
- 그러나 90년대 후반, 석유가스 및 광산 산업이 발전하면서 농업의 GDP 비중 하락
- 현재 농업의 GDP 비중은 4-4.5% 수준
2016-2018년 카자흐스탄 농업의 GDP 비중 변화
자료 : kase.kz
- 카자흐스탄 농업부 차관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의 총 농지 면적은 2억ha에 달하며(세계 5위) 이중 관개농지의 면적은 총 155만ha
- 농산물 생산량의 60%는 작물생산에서 비롯되며 나머지는 축산업이 차지
농산물 생산 구조
자료 : kase.kz
ㅇ 농업은 국민 소득 및 고용에 있어 여전히 중요한 산업
- ’19년 기준, 경제활동 인구 수입의 25% 이상이 농업부문에서 발생
- Atameken 카자흐스탄 국가 기업연합회 의장인 Erbol Yesseneev에 따르면 현재 카자흐스탄 전체 인구의 43%는(약 7백만 명) 농촌에 거주하며, 이 중 120만 명 이상이 농업부문 고용
ㅇ 북부 및 남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농업 발달
- 연중 강수량은 북부 지역인 북 카자흐스탄 주, 악몰린스카야 주, 코스타나이 주와 남동부 지역인 알마티 주, 동 카자흐스탄 주에 집중되며, 이로 인해 동 지역에서 농업이 발달
카자흐스탄 연평균 강수량 분포도
자료 : metod-kopilka.ru
지역별 농업 총생산 비율
자료 : kase.kz
□ 정책 및 규제
ㅇ 국가 프로그램 ‘농업 개발 2017-2021’ 추진
- 2017년, 카자흐스탄 농업부는 국산 농산물의 시장 공급, 수출 경쟁력 강화, 수자원 사용의 효율화, 물류 인프라 확충 등을 목표로 국가 프로그램 농업 개발 ‘2017-2021’ 채택
- 총 투입 예산 : 2조 3,742억 텡게(’17년 환율 기준 약 72억$)
- 2021년까지 주요 달성 목표
1) 2015년 대비 농업부문 노동 생산성 38% 확대
2) 2015년 대비 농업 총생산 30% 확대
3) 식료품 수출액 6억 달러 증가
4) 식료품 수입액 4억 달러 감축
5) 2015년 대비 식료품 도매 거래량 29% 확대
6) 2015년 대비 관개농지 1ha당 관개용수 사용량을 20% 감축 (2015년 9,180㎥ → 7,348㎥)
7) 2015년 대비 하천·강 등 지표 수자원 31.9km 확대
ㅇ 국영 농업 지주회사 KazAgro 설립
- 2006년, 대통령령에 따라 카자흐스탄의 농업 분야 국가 정책 실행 및 전략 목표 달성, 농업 분야의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 위해 국영 농업 지주회사인 KazAgro 설립
- KazAgro는 총 7개의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농업분야 금융지원, 장비 임대, 농업개발을 위한 주요 프로젝트 추진, 국가적 자원 관리, 농업 인프라 구축 등의 역할 수행
ㅇ 2020년, 수확률 향상 및 생산 작물 품질 개선 위한 정부 보조금 지급 실시
- 농업용 비료 구입 비용에 총 34억 텡게(약 800만 달러) 지원
- 또한 농약 비용의 35% 및 살충·살균제 비용의 50% 정부 지원
□ 주요 이슈
ㅇ 세계은행, 카자흐스탄 축산업 발전 위해 5억 달러 규모 대출 제공
- 세계은행은 카자흐스탄 ‘축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
- 카자흐스탄을 대상으로 세계은행이 개발한 본 프로젝트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육류 생산, 카자흐스탄 육류 제품의 수출잠재력 및 부가가치 향상, 이를 통한 농촌 생활 개선 및 경제성장 촉진을 목표로 하며 2021-2025 기간 중 진행될 예정
- 카자흐스탄은 프로젝트 기간 중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축소함과 동시에 수출 지향적인 축산업(육류생산)을 발전시켜야 함
프로젝트의 주요 과제로서 수의서비스 환경 및 가축 등록방식 개선, 육류산업과 관련된 효과적 환경정책 개발 등이 설정
ㅇ 전국 농산물 유통망 구축
- 무역통합부는 단일 도매 유통센터로 구성된 전국 농산물 유통망 구축 예정
- ’22년까지 2,375억 텡게(약 5.7억 달러) 투입하여 20개의 센터 건설 계획 중
- 현재 카자흐스탄에는 장기간 농산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인프라 시설이 부족하여 농산물 유통 시 제조업체의 비용 증가
- 전국 유통망 구축 시 효율적인 운송·물류 채널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농산물의 저장·가공, 유통 및 마케팅 환경이 개선될 전망
- 1차적으로 알마티 주, 파블로다르 주, 투르케스탄 주에 5개 센터를 건설할 예정이며, 이후 단계에서는 PPP를 통한 투자유치를 통해 진행 예정
ㅇ 카 정부, 올해 4~5월 일부 농산품 금수조치 실시
- 코로나로 인한 국내 식량 부족 사태 방지 위해 카자흐스탄 정부는 국가 락다운이 진행된 2개월간 곡물, 밀가루 등 일부 농산품 수출 제한(수출 금지 이후 수출 쿼터제 실시)
- 이로 인해 2개월간 밀 수출액 약 1.5억 달러 상실
- 밀 수출업체인 Nurly Zhol Trade의 대표 Kanat Kobesov에 따르면 “수출 제한이 실시된 각 달에 수출업자들은 밀 30만 톤을 수출 할 수 없었다. 평균 밀 가격이 톤 당 250 달러인 상황에서 한 달에 7,500만 달러 또는 2개월의 제한 기간 동안 1억 5천 달러를 수출하지 못한 것이다. 이것은 모두 카자흐스탄이 잃은 외화 수입이다. 밀 수출의 마진은 톤당 약 5 달러다. 이를 계산했을 때 밀 수출업자들은 총이익 3백만 달러를 잃었다.”
□ 주요기업 현황
기업명
기업 유형
로고
홈페이지
기업 설명
Kaz Agro JSC
공기업
농공단지 지원, 대출 및 장비임대 제공
Agrarian Credit Corporation JSC
공기업
Kazagro의 계열사로 대출 지원
Kaz Agro Finance JSC
공기업
Kaz Agro의 계열사로 대출 및 보험 지원
Tsesna Astyk LLC
제조기업
카자흐스탄 최대 밀가루 생산기업
Olzha Agro LLC
제조기업
-
총 150만 헥타르의 농지와 곡물창고, 농산물 생산/가공 공장을 보유한 농업산업 대기업
자료 : KOTRA 알마티 무역관 종합
나. 산업의 수급현황
2013-2017년 주요 농산물 수급 현황
항 목
2013
2014
2015
2016
2017
곡물
내수 공급
(천톤)
10,166
8,521
12,748
10,821
13,060
수출
(천$)
1,892,882
169,700
1,327,196
1,322,299
1,299,526
수입
(천$)
27,543
31,106
41,603
12,414
18,140
밀
내수 공급
(천톤)
6,654
5,258
8,602
6,800
8,677
수출
(천$)
1,234,965
960,072
688,739
685,069
660,760
수입
(천$)
652
2,389
12,945
3,594
5,541
육류
내수 공급
(천톤)
1,148
1,158
1,161
1,156
1,213
수출
(천$)
10,473
32,102
27,102
22,787
23,317
수입
(천$)
400,211
337,011
265,090
211,452
272,133
자료 : knoema.com
다. 진출전략
□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ㅇ 국내 노동시장의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
ㅇ 밀과 밀가루의 세계적 수출국
ㅇ 유기농 제품의 생산 및 수출 잠재력
ㅇ 넓은 농지
ㅇ 낮은 노동 생산성
ㅇ 신기술의 느린 확산
ㅇ 보관, 포장, 제품 가공을 위한 인프라 부족
Opportunities
Threats
ㅇ 대형 시장인 중국 인접
ㅇ 정부 차원의 농업개발 정책 추진
ㅇ 농장의 디지털화 추진
ㅇ 농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 부족
ㅇ 농촌 인구의 도시 이동 수준 증가 (도시화)
ㅇ 수자원 고갈 및 기후변화
□ 유망분야
ㅇ 유기 농업 개발
- 2016년 카자흐스탄 정부는 토지의 합리적 사용을 보장하고 건강한 식품 및 환경 보호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유기농 제품 생산에 관한 법률" 채택, 유기농 제품 생산에 대한 법적, 경제적, 사회적, 조직적 틀 마련
- 법률 채택을 통해 유기농 농산품 생산을 위한 기업 활동 환경 조성
- 또한 카자흐스탄에서는 건강한 생활양식에 대한 관심증대와 함께 국내 시장에서 유기농 제품에 대한 수요 지속 증가 중
- 이에 따라 유기농 농법 도입 및 적용 확산 전망
ㅇ 농업의 디지털화
- 현재 카자흐스탄에는 20개 이상의 디지털 농장과 약 170개의 신기술이 적용된 선진 농장이 운영 중
- 농업부 계획에 따르면 2023년까지 최소 20개의 디지털 농장과 4천개의 선진 농장이 추가로 조성될 예정
- 카자흐스탄 농업에 적용된 주요 디지털 기술은 GPS 내비게이션, 드론, 전자지도, 병렬 주행 시스템 등임
주* : 병렬 주행 시스템은 GPS를 활용한 주행 기술로 기계가 농지를 개간하거나 파종할 때 정확한 궤도를 유지하여 특정 구간을 건너 뛰거나 중복되는 것을 방지
- 또한 축산업의 경우 디지털 기술을 통해 가축 개체 수 모니터링 및 가축 관리 자동화 진행 중
주* : GPS 추적 시스템을 사용하면 가축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무리에서 이탈한 가축을 찾을 수 있음
- 카자흐스탄 농업부 장관 Saparkhan Omarov는 ’19년 아스타나(현재의 누르술탄) 경제 포럼에서 농업의 디지털화를 통해 곡물 수확량이 2.5배 증가한 반면 비용은 20 % 이상 감소했다고 밝힘
- 향후 농업에서의 빅데이터 처리 및 인공 지능 기술 발전 전망
□ 우리 기업 시사점
ㅇ 카자흐스탄의 온실하우스 시장 성장 중
- 전국 온실하우스의 67%가 집중되어 있는 투르케스탄 주의 농업국은 올해 온실하우스 200ha를 추가 조성할 예정
- 동시에 러시아 농업기업인 ‘Eco Kultura’가 총 14억 달러 투자하여 500ha 규모의 카자흐스탄 최대 온실하우스 투르키스탄 주에 건립 예정
- 남카자흐스탄 주에서도 온실하우스 건축과 관련된 다수의 프로젝트 진행 중
- 우리 기업은 온실하우스 시장이 성장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비닐하우스 필름 등 관련 제품 수출 가능
ㅇ 카 정부가 실시하는 농업 지원 관련 프로그램 활용
- 카 정부는 코로나로 인해 석유 등 자원 수출품목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농업 잠재력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추가 지원 프로그램 개발 중
- 현지 농업 기업을 대상으로 우대대출 제공 등 금융지원 프로그램 추진 시 구매력을 획득한 현지 기업에 기계장비 및 관련 부품 등을 마케팅 할 수 있는 전략 구상 필요
자료 : lsm.kz, 24.kz, finreview.info, avesta-news.kz, kapital.kz, stat.gov.kz, nationalbank.kz, inbusiness.kz, kase.kz, knoema.com, zakon.kz, metod-kapilka.ru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의 농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1년 중국 의료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2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3
2021년 중국 신에너지차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4
2021년 미국 사이버 보안 산업
미국 2022-01-04
-
5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ICV) 산업 동향
중국 2022-01-14
-
6
2021 러시아 자동차 산업
러시아연방 2022-01-19
-
1
2025년 카자흐스탄 건설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5-05-08
-
2
2024년 카자흐스탄 원전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4-10-21
-
3
2024년 카자흐스탄 스마트팜 시장
카자흐스탄 2024-07-09
-
4
2023년 카자흐스탄 소비재 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3-12-20
-
5
2023년 카자흐스탄 제조 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3-12-20
-
6
2022년 카자흐스탄 보건산업
카자흐스탄 2022-08-09
- 이전글
- 다음글